Relationship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with Academic Self-efficacy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관계

  • Received : 2018.07.30
  • Accepted : 2018.09.18
  • Published : 2018.09.30

Abstract

In this study, we look at the effect that the achievement goal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has on academic self-efficacy and the difference in academic self-efficacy depending o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help students to efficiently increase their academic self-efficacy, develop research and study life guidance measures to improve negative factors, and select professors and learning methods. To achieve the purpose, survey was conducted with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measurement tools(26 questions) and academic self-efficacy measurement tools(28 questions) for 745 students of 18 specialized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in 5 distri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eference to task difficulty and self-controlling efficacy have high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mastery goal orientation and confidence and mastery avoidance goal orientation have highly negative correlations each other. Seco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form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were divided into 5 forms; 'execution avoidance(34.8%)', 'mastery orientation(20.8%)', 'approach(17%)', 'avoidance competition(14.9%)', and'mastery avoidance(12.5%)'. In preference to task difficulty, 'approach'group showed the highest average point and 'mastery avoidance'showed the lowest average point. The average point of 'approach' group was higher than other groups in confidence, but 'mastery orientation' group showed the highest average point.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academic self-efficacy makes an effect by a certain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it's necessary to access academic problems differently according to student's goal directivity. Therefore, it's necessary to provide educational method by student type based on explanation about academic self-efficacy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and analysis o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form.

이 연구에서는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성취목표지향성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과 성취목표지향성의 유형에 따른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살펴 보았다. 이를 통하여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효율적으로 높일 수 있고, 부정적 요소를 개선할 수 있는 연구 및 학습 생활지도 방안 도출, 교수 학습방법 선정에 도움을 주는 것에 그 목적이 있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국 5개 권역 18개교 공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 745명을 대상으로 성취목표지향성 측정 도구(26문항), 학업적 자기효능감 측정 도구(28문항)를 사용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제난이도 선호와 자기조절효능감은 숙달접근 목표지향성과 정(+)의 방향으로 높은 상관관계, 자신감과 숙달회피 목표지향성은 음(-)의 방향으로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성취목표지향성 유형은 '수행 회피형(34.8%)', '숙달접근 지향형(20.8%)', '접근형(17%)', '회피적 경쟁형(14.9%)', '숙달 회피형(12.5%)'의 5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과제난이도 선호에서 '접근형' 집단의 평균점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숙달 회피형' 집단의 평균점수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접근형' 집단의 평균점수는 자신감에서도 다른 집단에 비하여 높게 나왔으나 '숙달접근 지향형' 집단의 평균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성취목표지향성에 따라 일정한 방향성을 가진 채로 영향을 미치고, 학생이 가진 목표지향성에 따라 학업적 문제를 다르게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대한 설명력과 성취목표지향성 유형 분석을 바탕으로 학생 유형에 따른 교육 방법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남희(2000). 교사효능감과 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성공적인 학교 생활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 김아영, 박인영(2001).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학연구, 39(1), 95-123.
  3. 김아영, 이주화(2005). 학업적 성취목표지향성 척도 개발. 교육심리연구, 19(1), 311-325.
  4. 김아영, 조영미(2001). 학업 성취도에 대한 지능과 동기변인들의 상대적 예측력. 교육심리연구, 15(4), 121-138.
  5. 김아영 외(2012). 학업능력 집단별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적 자기조절효능감 간의 관계: 학업동기유형의 매개효과. 교육심리연구, 26(2), 543-562.
  6. 김희정(2007). 성취목표지향성과 완벽주의성향 및 자기불일치 간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7. 박미연(2011). 부모지지, 성취목표지향성,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고등학생의 진로포부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8. 박병기, 이종욱(2005). $2{\times}2$성취목표지향성과 성격 및 학업성취간의 관계연구. 교육심리연구, 19(1), 327-352.
  9. 박순선(2015).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학교생활적응이 진로성숙도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10. 박은예(2015). 중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대인관계능력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가톨릭관동대학교.
  11. 박인영(1998).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구인 및 측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2. 송영명(2009). 학생과 교사 수준 변인이 성취목표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13. 신소희(2012). 성취목표지향성 척도 비교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14. 신현숙, 윤숙영(2015). 남녀 중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 프로파일 유형에 따른 학업적 및 심리적 적응. 한국심리학회지, 12(3), 271-293.
  15. 오지은(2010). 중.고등학생의 성취목표 지향성이 자기구실 만들기, 시험불안 및 학업적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16. 이석영(2009).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결정성동기, 학업성취간의 관계 연구.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17. 이종욱(2007). 성취목표지향성 개념의 재분화. 박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18. 조윤희(2009). 고등학생의 주의 집중력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19. 조혜미(2014). 초등학생의 기본심리욕구와 성취목표지향성, 학교행복감, 학업성취도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서울여자대학교.
  20. 주희진(2011).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 동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의 인과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1(2), 237-259.
  21. 최옥순(2014). 고등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 부모지지, 교사-학생관계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22. Ames, C., Archer, J.(1988). Achievement goal in classroom: Students' learning strategies and motivation proces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9, 409-414.
  23. Ames, Carole.(1992). Classrooms: Goals, Structures, and Student Motivat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4(3), 261-271. https://doi.org/10.1037/0022-0663.84.3.261
  24. Bandura, A.(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 Prentice-Hall.
  25. Elliot, A., & McGregor, H.(1999). Test anxiety and the hierarchical model of approach and avoidance achievement motiv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6, 628-644. https://doi.org/10.1037/0022-3514.76.4.628
  26. Elliot, A., & McGregor, H.(2001). A $2{\times}2$ achievement goal framework. Journal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0, 501-519. https://doi.org/10.1037/0022-3514.80.3.501
  27. Finney, S. J., Pieper, S. L., & Barron, K. E.(2004). Examining the psychometric context. Educational psycholoty, 64, 365-382.
  28. Hair, J. F., & Black, W. C. (2000). Cluster analysis. In L. G. Grim & P. R. Yarnold (Eds.), Reading and understanding more multivariate statistics, 147-205. Washington DC: Psychological Association.
  29. Harackiewicz, J. M.,Linnenbrick, E. A.(2005). Multiple achievement goals and multiple pathways for learning: The agenda and impact if Paul R. Pintrich, Educational Psychologist, 40(2), 75-84. https://doi.org/10.1207/s15326985ep4002_2
  30. Meece, J. L., Blumenfeld, P. C., Hoyle, R. H.(1988). Students' goal orientation and cognitive engagement in classroom activitie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0, 514-523. https://doi.org/10.1037/0022-0663.80.4.514
  31. Pintrich, P. R.(2000). Multiple goals, multiple pathways: The role of goal orientation in learning and achievemen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2, 544-555. https://doi.org/10.1037/0022-0663.92.3.544
  32. Skaalvik, E. M.(1997). Self-enhancing and self-defeating ego orientation: Relation with task and avoidance orientation, achievement, self-perception, and anxiety.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9, 71-81. https://doi.org/10.1037/0022-0663.89.1.71
  33. Weiner, Bernard.(1985). An attributional theory of achievement motivation and emotion. Psychological review, 92(4), 548-573. https://doi.org/10.1037/0033-295X.92.4.5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