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about the Experience of Xenophobia to Immigrant Workers in Korean Society : Grounded Theory Approach

이주노동자들의 한국 사회에서의 제노포비아 경험에 대한 연구 : 근거이론 접근

  • 김서영 (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 Received : 2018.10.25
  • Accepted : 2018.12.12
  • Published : 2018.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substantive theory about the phenomenon of Xenopobia in Korea. This study approached the Grounded Theory. The study involved 18 migrant workers. The data were constructed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Data were analyzed by Strauss and Corbin(2008) in the order of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The researcher presented a paradigm model based on 13 categories of open coding and analyzed the process, and the core category was 'The Life of Loss Identity because of Treated Enemy in the Future in Korea of Internal Contradiction'. Finally, the author discusse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nd made suggestions for mitigating the phenomenon of Xenophobia.

본 연구는 이주노동자들이 한국 사회에서 경험한 제노포비아(Xenophobia)에 대한 연구로 한국적 상황과 맥락에서의 제노포비아 현상에 대한 실체이론(Substantive Theory)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는 근거이론(Grounded Theory) 연구방법으로 접근하였다. 연구에는 18명의 이주노동자가 참여하였다. 자료는 심층면담을 수행하여 구성하였다. 자료는 Strauss와 Corbin(2008)이 제시한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 순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자는 개방코딩에서 구성한 13개의 범주를 중심으로 패러다임 모형을 제시하고 과정분석을 하였으며 핵심범주를 "내적모순이 충일한 한국 사회에서 미래의 적으로 간주되어 정체성을 상실하고 유사한 한국인으로 우거하는 삶"으로 구성하였다. 연구자는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논의를 하였고 제노포비아 현상을 완화할 수 있는 제언을 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