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volution of Keynes's General Theory: Refutation and Revisitation

케인스 『일반이론』의 혁명성 : 반박과 재검토

  • Cho, Bokhyun (Dept. of Economics, Hanbat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8.01.02
  • Accepted : 2018.01.24
  • Published : 2018.02.28

Abstract

Keynes proposed revolutionary claims in his General Theory that the capitalist economy have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unemployment is general, unemployment could not be automatically restored, business cycle and crisis are inherent in the capitalist economy. Hicks refuted Keynes that unemployment is a special case of depression, and Modigliani argued that it is only valid under a particular assumption of wage rigidity. Also, Pigou and Patinkin contended that unemployment can be automatically recovered in the flexible wages and prices system. These refutations have made the revolutionary reforms appeared in Keynes's General Theory to decline. However, their claims did not correctly interpret Keynes's theories, nor effectively refute them. They interpreted Keynes narrowly within the framework of the classical tradition and refuted Keynes using the claims of the classics. The revolutionary nature of Keynes's General Theory could be not undermined by their refutation, but rather may be more useful in analyzing today's economic reality.

케인스는 그의 "일반이론"을 통해, 자본주의경제는 불완전고용이 일반적이고, 불완전 고용은 자동적으로 회복될 수 없으며, 주기적인 경기순환을 겪는다는 혁명적 주장을 제시했다. 그러나 케인스의 혁명적 주장에 대해, 힉스는 불완전 고용은 불경기에 나타나는 특수한 경우이며, 모딜리아니는 임금경직성이라는 특수한 가정 하에서만 타당하다고 반박했다. 또한 피구와 파틴킨은 임금과 가격이 신축적인 경제에서 실업은 자동적으로 치유된다고 반박했다. 힉스 등의 이러한 도전은 케인스 "일반이론"에서 나타나는 혁명성을 쇠퇴하게 만들었다. 그러나 이들의 주장은 케인스 주장을 올바로 해석한 것도, 또 그것을 효과적으로 반박한 것도 아니다. 이들은 케인스를 협소하게 고전파의 틀 속에서 해석했고, 또 고전파의 주장을 다시 불러내 케인스를 반박했다. 케인스 "일반이론"의 혁명성은 이들의 반박에 의해 그 타당성을 손상받지는 않으며, 오히려 오늘날의 경제현실을 분석하는데 있어서 더욱 더 큰 유용성을 갖는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