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암, 심뇌혈관 질환자의 소득수준에 따른 사망 및 이차 질환 발생 위험

Risk of Death and Occurrence of Secondary Disease of Cancer and Cardiovascular Disease Patient by Income Level in Korea

  • 강민진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연구소) ;
  • 손강주 (연세대학교 의학전산통계학협동과정)
  • 투고 : 2018.08.14
  • 심사 : 2018.10.24
  • 발행 : 2018.10.28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보험공단 코호트를 이용하여 한국의 사망원인 1, 2, 3 위에 해당하는 질병이자 4대 중증질환에 포함되는 암, 뇌졸중, 심근경색 환자의 소득수준이 사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발병 1년 이후 이차적으로 암, 심뇌혈관 질환에 발생할 위험을 확인하고자 한다. 2007년 해당 질환으로 신규 발병한 환자를 대상자로 하여 2015년까지 관찰하였고, 분석은 Cox 확률비례위험모형과 경쟁위험모형을 이용하였다. 소득수준은 2007년 발병 당시 정보를 사용하였으며, 소득분위 수 1~3/4~7/8~10으로 나눠 각각 low/mid/high로 범주화하였고 '의료급여'군은 low군으로 분석에 포함했다. 연구 결과에서 소득분위 수준에 따라 암, 뇌졸중, 심근경색이 발병한 환자의 사망 위험이나 추가 발병 위험에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저소득층의 초기 사망을 낮추기 위한 사회적 안전망이 필요하다는 것과 더불어 현 정책과 같이 중증질환에 대한 보편적인 보장성 강화도 지속해서 필요하다고 보인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effect of the income level of cancer, stroke, and myocardial infarction on mortality by using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NHIS) Cohort 2.0 DB. Patients who newly developed the disease in 2007 were observed till 2015. The analysis used the Cox probability proportional risk model and the competing risk model. The income level used information at the time of the onset of the disease in 2007, categorized into low / mid / high.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risks of death and secondary disease in patients with cancer, stroke, or myocardial infarction according to the income level. In addition to the need for a social safety net to lower the incidence of early deaths in low-income families, it seems necessary to continue to strengthen universal protection for serious diseases similar to the current policy.

키워드

참고문헌

  1. 사회통계국 인구동향과, 2016 사망원인통계연보, 통계청, 2017.
  2. V. L. Feigin, C. M. Lawes, D. A. Bennett, S. L. Barker-Collo, and V. Parag, "Worldwide stroke incidence and early case fatality reported in 56 population-based studies: a systematic review," Lancet Neurol, Vol.8, No.4, pp.355-369, 2009. https://doi.org/10.1016/S1474-4422(09)70025-0
  3. V. L. Feigin, M. H. Forouzanfar, R. Krishnamurthi, G. A. Mensah, M. Connor, and D. A. Bennett, "Global and regional burden of stroke during 1990-2010: findings from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0," Lancet. Vol.383, No.9913, pp.245-254, 2014. https://doi.org/10.1016/S0140-6736(13)61953-4
  4. A. E. Moran, M. H. Forouzanfar, G. A. Roth, G. A. Mensah, M. Ezzati, A. Flaxman, C. J. Murray, and M. Naghavi, "The global burden of ischemic heart disease in 1990 and 2010: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2010 study," Circulation, Vol.129, No.14, pp.1493-1501, 2014. https://doi.org/10.1161/CIRCULATIONAHA.113.004046
  5. R. G. Wilkinson, M. A. MMedSc, and E. P. Kate, "Income Inequality and Socioeconomic Gradients in Mortality,"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Vol.98, No.4, pp.699-704, 2008. https://doi.org/10.2105/AJPH.2007.109637
  6. J. E. Duggan, R. Gillingham, and J. S. Greenlees, Mortality and Lifetime Income: Evidence from U.S. Social Security Records, IMF Working Paper,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07.
  7. G. S. Goda, J. B. Shoven, and S. N. Slavov, Differential Mortality by Income and Social Security Progressivity, SIEPR Discussion Paper No.08-61, Standard Institute for Economic Policy Research, 2009.
  8. 이상이, 소득계층별 암 발생, 암 치명률의 불평등 연구 - 건강보험 지역가입자와 의료급여대상자를 중심으로 -, 국민건강보험공단, 2005.
  9. The Lancet, "Cancer survivors: living longer, and now, better," Lancet, Vol.364, pp.2153-2154, 2004. https://doi.org/10.1016/S0140-6736(04)17601-0
  10. L. A. G. Ries, D. Harkins, and M. Krapcho, SEER cancer statistics review, 1975-2003, National Cnacer Institute, 2006.
  11. 김한상, 보장성 강화 효과 분석-4대 중증질환 중심으로 일반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8.
  12. 이은경, 4대 중증질환 보장성 확대 정책에 대한 소고, 재정포럼, 2013(12).
  13. 최원호, Charlson Comorbidity Index를 활용한 고관절치환술 환자의 건강결과 예측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14.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건강보험 청구자료 분석 매뉴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7.
  15. D. R. Cox, "Regression Models and Life-Tables," J.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Series B (Methodological), Vol.34, No.2, pp.187-220, 1972. https://doi.org/10.1111/j.2517-6161.1972.tb00899.x
  16. P. F. Jason and J. C. Robert, "A Proportional Hazards Model for the Subdistribution of a Competing Risk," J.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Vol.94, No.446, pp.496-509, 1999. https://doi.org/10.1080/01621459.1999.10474144
  17. 김동진, "우리나라 건강형평성 현황 및 대책," 이슈앤포커스, Vol.194, pp.1-8, 2013.
  18. https://stats.oecd.org/
  19. 임정수, 최대경, 임준, 홍두호, 김종균, 박상현, 윤성태, "소득계층에 따른 뇌심혈관질환 사망률 차이,"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23권, 제2호, pp.109-119, 2006.
  20. 김가희, 임지혜, "뇌졸중 환자의 Charlson Comorbidity Index에 따른 사망률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3호, pp.22-32,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3.022
  21. K. L. Wilkins and R. L. Woodgate, "Preventing second cancers in cancer survivors," Oncology Nursing Forum. Vol.35, No.2, pp.E12-E22, 2008. https://doi.org/10.1188/08.ONF.E12-E22
  22. A. B. Mariotto, J. H. Rowland, L. A. Ries, S. Scoppa, and E. J. Feuer, "Multiple cancer prevalence: A growing challenge in long-term survivorship," Cancer Epidemiology, Biomarkers, and Prevention, Vol.16, No.3, pp.566-571, 2007. https://doi.org/10.1158/1055-9965.EPI-06-0782
  23. L. B. Travis, "The epidemiology of second primary cancers," Cancer Epidemiology, Biomarkers and Prevention, Vol.15, No.11, pp.2020-2026, 2006. https://doi.org/10.1158/1055-9965.EPI-06-0414
  24. 이수형, "중증질환자의 의료이용 및 의료비 지출이 주는 시사점: 지역과 개인의 사회경제적 수준을 중심으로," 이슈앤포커스, Vol.235, pp.1-8, 2014.
  25. 국립암센터 국가암관리사업단 중앙암등록사업부 암등록통계과, 2007 국가암등록사업 연례보고서, 중앙암등록본부,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