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예비평연구
- Issue 57
- /
- Pages.137-168
- /
- 2018
- /
- 1226-7627(pISSN)
DOI QR Code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Writing Style of Jung Ji-yong’s Essay
정지용 수필의 문체적 특성 연구
Abstract
As the discussion on genre originality emerged in the 1930s, essaygrew up as a new literary style. Jung Ji-yong is a prominent poet andbest writer who published two essay collections such asMunhakdokbon(文學讀本) published in 1948 by Bakmun Book Agencyand Sanmun(散文) in 1949 by Dongjisa. Thi study began from theproblem awareness that there is no official analysis of his essay literarystyle despite bunch of data compiled so far.Intrinsic study on literary works is devoted to investigating whatfeatures of sentence composition and writing style are described intoaesthetic effects of texts. Writing style expresses writer's individualitythrough languages and individual features of literary works literallyrefers to the writer's writing style. This study aimed for searchingaesthetic effects presented in his essays and analyze them under theperspective that the characteristic of his essay writing style issignificant in association with literary features.First, “descriptive techniques of repetition and juxtaposition” found intexts with a variety of forms and levels. Repetition is limited toreiteration with similar forms of word expression or partialtransformation, while juxtaposition refers to targeting homeogenous oropposite meanings and structures despite the heterogeneity of languageexpression. Contrary to poems, his essays primarily consisting of prolinarrative style are used as aesthetic device of sentences with a varietyof layers and aspects of repetition and juxtaposition. The reason whythese two literary device is highlighted as text descriptive techniques isfirst of all it is a language form and it can serve as aesthetic devicemore than emphasizing meanings through repetition or building uprhythm.Another feature of his essays is a sensational formalization usingsound symbolic words. It breathes vividness and prose rhythmic senseby using dialects and onomatopoeia as well as mimetic words. Inaddition, it demonstrates an exceptional aspect of sensationalized writingstyle with picturesque description applied with modern disposition. It isworthwhile to note the fact that it actively used the excellence ofKorean language and explored his own singular writing style as hisessay writing style in the 1930s when the reputation of essay was notwell accepted as literature. When his essays are approached based onthis perspective, the implication of the features of his essay writingstyles will be revealed in more details.This study aimed to approach his essays in terms of adding aestheticeffects on his works not as mere analytical subjects. Based on thisassumption, it will explore how feature of his essay literary stylesfunction as aesthetic factors associated with literary features in histexts.
수필은 1930년대에 비로소 장르적 독자성의 논의가 등장하면서 새로운 문학양식으로 부각되었다. 정지용은 탁원한 시인임에 틀림없지만 각종 신문과 문예지에 산문을 꾸준히 발표하고 『문학독본(文學讀本)』(1948, 박문출판사)과 『산문(散文)』(1949, 동지사) 두 권의 산문집을 출간할 만큼 문장가이기도 하다. 지금까지의 연구 축적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정지용 수필 문체 에 대한 본격적인 분석이 없다는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출발하였다. 문학작품에 대한 내재적 연구는 문장의 구성과 문체의 어떤 특징이 텍스트의 미적 효과로 나타나는가를 밝히는 것이다. 문체는 작가의 개성이 언어로 표현되는 것으로써 문학작품이 지니는 개성이란 곧 그 작가의 문체를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번 연구는 수필의 문체적 특성이 문학성과 관련하여 중요하다는 관점 하에 정지용 수필에 나타난 미적 효과를 찾아 분석하고자 하였다. 먼저 텍스트에서 다채로운 형태와 수준으로 나타나는 ‘반복과 병치의 서술기법’이다. 반복이 단어 표현의 동일한 형태나 그 부분적인 변형에 의한 되풀이에 제한한다면 병치는 언어 표현의 이질성에도 불구하고 의미와 구조가 동질적이거나 대립적인 것을 겨냥하는 경우를 가리킨다. 시와 달리 대체적으로 만연체의 서사양식을 취하고 있는 정지용의 수필은 반복과 병치가 다양한 층위와 국면으로 문장의 미적 장치로 쓰이고 있다. 반복과 병치를 텍스트 서술기법으로 부각시키는 것은 우선은 그것이 언어의 형태이며 되풀이에 의한 의미의 강조나 리듬을 구축하는 이상의 미학적 장치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정지용 수필의 또 하나의 특징은 음성 상징어를 활용한 감각적 형상화이다. 방언과 우리말의 의성어·의태어를 활용하여 문장의 생동감은 물론 산문의 리듬감을 살리고 있다. 또 모더니즘적 성향이 투영된 회화적 묘사로 감각적 문체의 뛰어난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문학으로서의 수필 입지가 아직 구축되지 않은 30년대에 우리말의 우수성을 모던한 수필 문체로 적극 활용하여 개성적 문체를 모색한 점은 눈여겨 볼만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접근할 때 정지용 수필의 문체 특성의 의의가 한층 더 긴밀하게 나타날 것이다. 이 연구는 문학작품의 문체란 단순히 분석의 대상이 아닌 작품에 미적 효과를 더하는 것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전제를 바탕으로 정지용 수필 문체의 특성 요소들이 문학성과의 관련 속에서 텍스트 내에서 어떻게 미적 기능을 하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