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vel and Sentimental Education: Sympathy and Empathy

소설과 감정교육: 공감과 동감

  • Received : 2018.11.10
  • Accepted : 2018.12.12
  • Published : 2018.12.30

Abstract

This essay attempts a historical examination of educational function of the novel. It pays attention to the eighteenth century sentimentalism, and its historical vicissitudes up to early twenties century. The eighteenth century is the period in which debates on the nature of emotion and its moral and aesthetic role have passionately taken place and the modern paradigm of thought on affect has been formed. This is why "affect revival phenomenon" in the late twenties century goes back to this period. This essay finds in Adam Smith the most sophisticated arguments on sympathy in their relation to the development of the novel; it examines the relationship of Smith's argument with modern novel in the tradition of sentimentalism, and its revision in modernist novel. Through this examination, it discusses how cognitive and non-cognitive approaches, the two representative positions in contemporary thinking on emotion/affect, have revised and transformed the eighteenth century sentimentalism.

이 논문은 소설이 수행하는 감정교육 기능을 역사적으로 검토한다. 이를 위해 감정에 대한 새로운 시각이 대두한 18세기 감성주의에 주목하고 20세기 모더니즘에 이르기까지 감성주의가 영문학사에서 변천되어 온 역사적 과정을 살펴 본다. 18세기는 서구문화에서 이런 문제들이 새로운 절박성을 띠고 격렬하게 논의되었던 시기이면서, 동시에 소설이라는 장르가 역사상 처음으로 등장하여 그 형태를 찾아가던 시기이다. 18세기는 감정과 도덕과 미학의 상관관계에 대한 현대적 사유의 패러다임이 형성되었던 때라고 할 수 있다. '정서적 전환'이라고 명명되는, 20세기 후반 서구 학계의 정서 부활 흐름이 18세기로 거듭 돌아가 그곳에서 감정의 성격과 감정이 수행하는 도덕적, 미학적, 정치적 역할을 새롭게 읽어내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 글은 소설의 감정교육 기능을 가장 섬세하고 포괄적으로 읽어낼 수 있는 단초를 마련한 논의를 애덤 스미스의 공감론에서 찾는다. 스미스의 이론을 통해 먼저 감성주의와 관련하여 공감이 근대소설과 맺는 관계를 검토해보고, 이 입장이 20세기 모더니즘 소설에서 어떻게 수정되고 있는지 살펴본다. 다음으로 현대 정서론의 양대 흐름을 형성하고 있는 감정론과 정동론이 18세기 감성주의를 어떻게 변형, 재편, 재구성하고 있는지 논의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