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 the 'realization' meaning of possibility expressions - '-ul swu iss-' and its counterparts in Japanese and Chinese -

가능 표현의 실현 용법에 대하여 - '-을 수 있-' 및 일본어·중국어의 대응 표현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18.02.10
  • Accepted : 2018.03.01
  • Published : 2018.03.30

Abstract

It is noted that generally speaking, the expressing of actualization or non-actualization of events is not the main role of possibility for the utilization of expressions. In spite of this fact, it is possible to see many examples in which possibility expressions represent actual events, and impossibility expressions represent a type of non-actualization in relation to events. This effect can be described as a semantic extension, by which the participant-internal possibility is extended to actualization due to participant-internal factors, and the participant-external possibility is extended to the actualization due to participant-external factors. When the related possibility expressions are used in this extended sense, they express the dynamic evaluative meaning of 'desirability' of the realized event, while it is determined that when the impossibility expressions are used in this extended sense, they are seen to express the evaluative meaning of 'regretfulness' about the non-actualization of the event. In Modern Japanese, it is noted that there are a few expressions of ability and possibility. They can be largely divided into four types of expressions, according to their origins or uses of expression, which are 'ability verbs', affixes '-れる/られる(-reru/rareru)', '-できる(-dekiru)', and '-得る(-eru)'. They can all express participant-internal possibility and participant-external non-deontic possibility. While 'ability verbs', affixes '-れる/られる' and '-できる' can express participant-external deontic possibility, '-得る' cannot. However, '-得る' is the only possible element to designate the event of a epistemic possibility. Also, the four types of expressions have the usage of conveying 'actualization/non-actualization,' as is the case of the Korean language. However in Japanese, in fact adjectives cannot be associated with 'ability verbs' or 'ability affixes.' Thus the expressions of 'regrets' should in that case depend on the use contexts, unlike the expression 'adj+-지 못하다' as noted in Korean. The ability and possibility in Modern Chinese are mainly expressed by means of the four auxiliary verbs '能($n{\acute{e}}ng$)', '会(huì)', '可以(kěyǐ)' and '可能 ($k{\check{e}}n{\acute{e}}ng$)'. '能' and '会' along with '可以' can all convey participant-internal possibility. In this way '能' and '可以' can express participant-external possibility. Only '会' and '可能' can express epistemic possibility. As for 'actualization,' among the four auxiliary verbs, only '能' can represent actualization. Also, among the negatives of the four auxiliary verbs, only '沒能' can represent non-actualization.

가능의 의미를 나타내는 양태 표현은 본래 사태의 실현이나 비실현을 나타내는 것이 주 임무가 아니다. 그러나 '-을 수 있-' 같은 가능 표현이 사태의 실현을 나타내는 현상, '-을 수 없-' 같은 불가능 표현이 사태의 비실현을 나타내는 일이 종종 있다. [참여자 내부 양태]로부터 [참여자 내부 요인에 의한 실현], [참여자 외부 양태]로부터 [참여자 외부 요인에 의한 실현]으로 의미의 확장이 일어난 것이다. 가능 표현이 실현을 나타낼 때에는 [바람직한 사태]라는 평가 양태적 의미를 나타내고, 불가능 표현이 비실현을 나타낼 때는 [아쉬움, 바람직하지 않음]이라는 평가 양태적 의미를 나타낸다. 이런 현상은 한국어뿐 아니라 일본어, 중국어에서도 보인다. 현대 일본어에는 [가능]을 나타내는 표현이 다양하게 존재한다. 크게 '가능동사', '-れる/られる(-reru/rareru)', '-できる(-dekiru)', '-得る(-eru)'로 나뉜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참여자 내부 가능성과 참여자 외부 비당위 가능성을 나타낼 수 있지만 참여자 외부 당위 가능성에는 '-eru'가 쓰일 수 없고, 인식적 가능성에는 이와 반대로 '-eru'만이 쓰인다. 또한 한국어와 마찬가지로 실현 비실현용법으로 쓰이기도 한다. 한편 형용사+가능표현의 조합은 불가능하므로 한국어에서 '형용사+-지 못하다'가 나타내는 '아쉬움'은 문맥에 기대어 나타낼 수밖에 없다. 현대 중국어에서 [가능]의 의미는 주로 조동사 '능(能)', '회(会)', '가이(可以)', '가능(可能)'을 통해 나타낸다. '능(能)', '회(会)', '가이(可以)'는 공통적으로 참여자 내부 가능성을 나타낸다. '능(能)'과 '가이(可以)'는 참여자 외부 가능성을 나타낼 수도 있다. '회(会)'와 '가능(可能)'만 인식적 가능성을 나타낼 수 있다. 네 조동사 중 '능(能)'만이 실현 용법으로 확장되어 쓰인다. 네 조동사에 대한 부정형 중 '몰능(沒能)'만 비실현으로 확장되어 쓰이고 다른 부정형은 모두 가능성 자체에 대한 부정을 나타낸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