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Discussion Using Personality Picture Books on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and Pro-Social Behaviors

인성그림책을 활용한 토의 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8.06.19
  • Accepted : 2018.09.29
  • Published : 2018.10.31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iscussion using personality picture books on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and pro-social behaviors. Methods: Participants consisted of thirty-nine 5-year-old children who were going to a kindergarten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Nineteen children belong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wenty children to the comparative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carried out discussion using personality picture books, and the comparative group carried out conversation activitie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scored higher than the comparative group in self-regulation ability and pro-social behaviors. That is to say, the experimental group scored higher than the comparative group in three sub factors of self-regulation ability and seven sub factors of pro-social behaviors. Conclusion/Implications: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provides useful information about discussion using personality picture books with young children that can be used in the early childhood field.

Keywords

References

  1. 강정애 (2015). 협동적 통합요리놀이 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제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권민균, 석미경 (2004). 친사회적 동화를 활용한 소그룹 토의 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1(4), 359-378.
  3. 김무련, 김수향 (2017). 인성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이 유아의 자아개념 및 조망수용 능력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8(4), 107-132. doi:10.22154/JCLE.18.4.5
  4. 김민서 (2011). 그림책을 활용한 영성지향 평화프로그램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효과.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세루, 최미숙 (2005). 반편견 동화를 활용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반편견적 인식 및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 28, 27-47.
  6. 김세정, 김희태 (2016). 그림책을 활용한 인성교육 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20(5), 259-280.
  7. 김수미, 이태섭, 최양미 (2014). 춤 감상과 연계한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1(1), 357-379.
  8. 김수혜 (2013). 인성교육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자아개념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순란 (2012). 마음이론 요소가 포함된 동화책 토의 프로그램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추론과 또래인기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김승희 (2016). 영유아발달. 경기: 정민사.
  11. 김영옥 (2003).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평가 척도 개발 연구. 아동학회지, 24(5), 105-118.
  12. 김영옥, 장명림, 유희정 (2009).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14(5), 297-324.
  13. 김윤숙 (2009). 환상그림책의 토의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과 상상력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김은실, 김낙흥, (2016).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이 유아 리더십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7(3), 73-94. doi:10.22154/JCLE.17.3.4
  15. 김점희 (2012).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군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김지아 (2002). 자기조절향상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김현선 (2015). 그림책을 활용한 갈등상황 토의활동이 유아의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연구, 17(2), 1-28. doi:10.15409/riece.2015.17.2.1
  18. 김현정, 김숙자, 윤나리 (2013). 동화를 활용한 인성교육 활동이 유아의 자아개념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학논집, 17(3), 31-53.
  19. 노미숙, 김경숙 (2015). 동화를 통한 가정연계 인성교육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애니어그램연구, 12(1), 9-34.
  20. 박경선, 이경화 (2012). 그림책활용 토의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과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Global Creative Leader, 2(2), 23-40.
  21. 박덕경 (2014). 인성동화를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박은희, 정정희, 최효정 (2011). 신체움직임을 통한 음악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신체표현과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4), 235-258.
  23. 박지현, 송하나 (2010).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증진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육아지원연구, 5(2), 49-72. doi:10.16978/ecec.2010.5.2.003
  24. 박지혜 (2006). 집단게임놀이가 학령전기 유아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 행동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박찬옥, 홍찬의 (2014). 역동적 평가를 통한 만 5세 유아의 토의, 토론 능력 발달과정 탐구. 유아교육학논집, 18(1), 247-271.
  26. 박혜림, 이진희 (2014). 패러디 그림책을 활용한 주제환상극 놀이가 유아의 마음이론과 인지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미디어연구, 13(1), 223-246.
  27. 배옥선 (2003). 그림책을 통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자아개념과 조망수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손현정 (2013). 친사회적 동화 활용 토의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성 행동과 이야기 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군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송순옥 (2012). 그림책을 활용한 정서표현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송주진, 전일우 (2006).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생태유아교육연구, 5(2), 1-22.
  31. 신민주 (2010). 집단음악치료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안경숙, 신애선 (2016). 그림책을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신체적 자아개념, 자기조절력,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0(4), 655-684.
  33. 이경미 (2005). 유아의 정서지능 및 친사회적 행동과 유치원 적응간의 관계.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이성은 (2013). 그림책 활용에 따른 인성교육활동이 만 3세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이윤미, 김경숙 (2016). 동화를 활용한 실천적 나눔 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아동교육, 25(4), 317-336. doi:10.17643/KJCE.2016.25.4.16
  36. 이지현 (2014). 포스트모던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도덕성 발달과 도덕적 추론에 미치는 효과.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이현경 (2013). 인성교육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동극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전문숙 (2001). 문제해결을 위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대처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전방실 (2001).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1), 155-173.
  40. 조세진, 김승희 (2014). 연령에 적합한 종이접기 조형활동이 혼합연령반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9(5), 215-241.
  41. 조순희, 정현숙 (2012). 협동적 신체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교육논총, 32, 61-86.
  42. 최복자 (2017). 유아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 강원대학교 산업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Bronson, M. B. (2000). Self-regulation in early childhood: Nature and nurture. NY: The Guilford Press.
  44. Eisenberg, N., Fabes, R. A., Karbon, M., Murphy, B. C., Wosinski, M., Polazzi, L. et al. (1996). The relations of children’s dispositional prosocial behavior to emotionality, regulation, and social functioning. Child Development, 67(3), 974-992. doi:10.1111/j.1467-8624.1996.tb01777.x
  45. Flook, L., Goldberg, S. B., Pinger, L., & Davidson, R. J. (2015). Promoting prosocial behavior and self-regulatory skills in preschool children through a mindfulness-based kindness curriculum. Developmental Psychology, 51(1), 44-51. doi:10.1037/a0038256
  46. Kendall, P. C., & Wilcox, L. E. (1979). Self-control in children: Development of a rating scal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7(6), 1020-1029. doi:10.1037/0022-006X.47.6.1020
  47. Valiente, C., Lemery-Chalfant, K., & Swanson, J. (2010). Prediction of kindergartners’ academic achievement from their effortful control and emotionality; Evidence for direct and moderated relation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02(3), 550-560. doi:10.1037/a0018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