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Humanity in the Posthuman Era : Aesthetic authenticity

포스트휴먼시대의 인간다움 : 심미적 진정성

  • Received : 2018.01.15
  • Accepted : 2018.02.21
  • Published : 2018.02.28

Abstract

This is an attempt to reflect on humanity in the post-human era. Here, I think that the question of future human beings should be critically raised in the following two meanings. First, can post-humans recover the body, emotions, nature and women's voices suppressed by modern enlightened subjects? Second, can post-humans preserve humanity by fighting inhumanity without presupposing human essence or immutable foundations? In answer to these questions, I will have a dialogue with M. Heidegger(1889-1976), W. Benjamin(1892-1940), Th. W Adorno(1903-1969). The three philosophers looked at the inhuman world situation brought about by modern subjects and technology, and found the possibility of new human beings. The three philosophers' new human image are the three possible models of post-humanism, 'a human being as ek-sistence' (Heidegger, Chapter 2), 'the man who restored the similarity with the other through innervation' (Benjamin, Chapter 3), 'A human being who negates the inhuman society' (Adorno, Chapter 4), and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each. In conclusion, as long a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developed as a system of digital capitalism that controls the world as a whole from human senses, impulses, and unconsciousness, the necessity of the post-human era is aesthetic authenticity.

이 글은 포스트휴먼이 단순히 과학기술의 효과가 아니라 인문학의 이념에 의해 제약될 수밖에 없다는 관점에서 포스트휴먼시대의 인간다움을 성찰하는 한 가지 시도이다. 필자는 휴머니즘 또는 인간중심주의(anthropocentricism)의 시각에 갇힌 근대성을 넘어선 새로운 인간에 대한 물음이 두 가지 의미에서 비판적으로 제기되어야 한다고 본다. 첫째, 포스트휴먼은 근대의 계몽적 주체에 의해 억압된 타자인 신체, 감성, 자연, 여성의 목소리를 회복할 수 있는가? 둘째, 포스트휴먼은 인간의 본질이나 불변의 토대를 상정하지 않고 지금 이곳에서 비인간적인 것과 싸우면서 인간성을 보존할 수 있는가? 위 물음을 제기하는 과정에서 필자는 근대의 계몽적 휴머니즘의 파국을 각기 다른 경로를 따라 동시에 겪었던 하이데거(M. Heidegger, 1889-1976), 벤야민(W. Benjamin, 1892-1940), 아도르노(Th. W. Adorno, 1903-1969)와 대화를 시도한다. 세 철학자는 근대 휴머니즘과 기술문명이 초래한 비인간적 세계상황을 목도하면서 계몽적 주체의 타자인 예술과 예술작품으로부터 인간 이후의 인간의 가능성을 발견했다. 필자는 세 철학자가 주장한 새로운 인간상을 '끊임없이 탈존하는 인간'(하이데거/ 2장), '신경감응을 통해 타자와의 유사성을 회복한 인간'(벤야민/ 3장), '비인간적인 사회를 규정적으로 부정하는 인간'(아도르노, 4장)으로 특징짓고, 각각의 현재성을 검토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필자는 4차산업혁명 시대가 인간의 감각, 충동, 무의식에 이르기까지 세계 전체를 더욱더 촘촘히 관리하고 통제하는 디지털 자본주의의 시스템으로 전개되는 한, 포스트휴먼시대 인간다움의 필요조건이 '심미적 진정성'(${\ddot{a}}sthetische$ $Authentizit{\ddot{a}t$)이라고 주장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