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Early Childhood Teacher's Emotional Experience - Focusing on Domestic Journals -

영유아교사의 정서경험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국내학회지를 중심으로

  • Kim, Soo Jung (The Department of Child and Youth Welfare, Pyeongtaek University)
  • 김수정 (평택대학교 아동청소년복지학과)
  • Received : 2018.07.30
  • Accepted : 2018.09.05
  • Published : 2018.09.30

Abstract

Objective: By doing a more comprehensive review of recent domestic studies related to the emotions experienced by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current study aims to suggests the direction of various emotional research experiences; and provide the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program that helps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 more positive emotions in the child care setting and effectively addresses the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 Methods: 87 previous studies which were published in the journals related to various emotional experiences experienced by the early childhood teacher since 2008 were analyzed.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emotion - related artic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that, compared with before 2012, it increased after 2013. Also, the tendency of the data collection method was mostly composed of the papers using the questionnaire method using the test and the scale. As the most studied topic related to the emotional experi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s were the exhaustion experienced by the teachers. And the most studied topics on positive emotional experiences were the happiness experienc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research that explores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happiness experienced by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the majority. Conclusion/Implications: The analysis of this study suggests a systematic understanding of emotions experienc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suggests future directions for supporting healthy emotional experiences.

본 연구는 최근 수행되어진 영유아교사가 경험하는 정서와 관련된 국내의 연구들을 보다 종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추후 영유아교사들이 경험하는 다양한 정서 관련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영유아교사들이 보육현장에서 보다 긍정적인 정서를 경험함과 동시에, 부정적인 정서 경험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최근 영유아교사가 경험하는 다양한 정서 경험과 관련되어 학술지에 개재된 87편의 선행연구들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영유아교사의 정서 관련 논문은 2012년도 이전과 비교하여, 2013년도 이후,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연구유형의 경향은 검사 및 척도를 적용한 설문조사 방법을 사용한 논문이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영유아교사의 정서경험과 관련하여 가장 많이 이루어진 연구주제로서, 부정적인 정서경험에 관하여서는 영유아교사들이 경험하는 소진이었으며, 긍정적인 정서경험에 관하여 가장 많이 연구되어진 주제는 영유아교사들이 경험하는 행복이었고, 영유아 교사가 경험하는 행복과 관련된 변인을 탐색하는 연구들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었었다. 본 연구의 분석을 통해 영유아교사들이 경험하는 정서에 관한 체계적인 이해 및 건강한 정서 경험을 지원하기 위한 추후 연구의 방향을 제안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미자(2013). 보육교사의 역할스트레스가 정서적 고갈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8(4), 153-179.
  2. 강상, 류경희(2016). 유아교사의 여가활동과 감정노동과의 관계. 한국보육학회지, 16(2), 105-117.
  3. 강현미(2015). 영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 역량 탐색.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2(3), 159-184.
  4. 고재욱(2012). 보육교사의 감정노동 해소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6(2), 271-294.
  5. 권정윤(2010).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정서노동 및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30(6), 269-289.
  6. 권혜진(2009). 보육교사의 정서노동이 정서적 고갈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규칙의 중재효과. 유아교육학논집, 13(6), 55-276.
  7. 김건옥(2016). 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MeFOT 창의인성연구, 5(1), 5-22.
  8. 김경호(2013).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이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 보건사회연구, 33(2), 326-365.
  9. 김경희, 송진영, 박용순(2017).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GRI 연구논총, 19(3), 419-445.
  10. 김기철, 신애선(2016). 영아교사의 전문성, 민감성, 행복감과 영아-교사 상호작용의 관계 및 영향력. 한국보육학회지, 16(2), 57-82.
  11. 김난실, 이진화(2017). 보육교사의 정서노동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육아지원연구, 12(1), 199-222.
  12. 김미진, 황해익(2015). 성격 강점에 기반한 유아교사의 행복 증진 프로그램 개발. 열린유아교육연구, 20(5), 65-94.
  13. 김수연, 조혜진(2015). 보육교사의 정서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정서지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9(3), 71-93.
  14. 김수정, 이윤길(2017). ESM 기반 보육교사 정서 연구를 위한 데이터 표집기술 개발에 관한 기초연구.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7(6), 199-206.
  15. 김연옥, 천성문, 이정희(2012). 유아교사 소진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열린유아교육연구, 17(4), 273-298.
  16. 김은주, 이기종(2014).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삶의 질, 교사효능감, 자기결정성 간의 관계 검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1(1), 205- 223.
  17. 김정희, 최미경(2013). 보육교사의 개인변인, 정서노동, 직무소진의 관계. 생태유아교육연구, 12(2), 51-68.
  18. 김혜순(2015). 유아교사의 애착실행모델과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성의 매개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 95, 153-171.
  19. 김화선, 조홍자(2017). 보육교사의 정서노동과 이직의도. 아동과 권리, 21(4), 585-604.
  20. 김화순, 문혁준(2016). 보육교사의 정서지능 및 직무만족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생활과학연구논집, 35(1), 43-70.
  21. 남기원, 이은형(2015). 초임유아교사의 행복감 특성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9(5), 255-277.
  22. 노희연(2007). 영아관련 연구동향 분석: 국내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27(4), 277-301.
  23. 박병기, 김미애, 이세현, 권태순, 김지영, 이시은(2014). 유아교사의 행복 경험: 여섯 교사의 내러티브 탐구. 아동교육, 23(3), 205-224.
  24. 박선미(2013). 유아교사의 정서조절능력, 유아-교사 관계, 소진 감 간의 관계. 아동교육, 22(1), 21-32.
  25. 박영신(2017). 정서적 지원과 직무 스트레스가 유아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경력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열린부모교육연구, 9(4), 309-325.
  26. 방해순, 조옥선(2017).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직무소진과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1(3), 309-332.
  27. 서미정, 이경님(2017).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에 대한 원장과 동료의 정서적 지지,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셀프 리더십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1(2), 1-28.
  28. 서정아(2010). 유치원 현장에서 교사의 긍정적 정서와 부정적 정서. 한국교원교육연구, 27(2), 229-262.
  29. 송미선(2014). 유아교사의 행복 관련 연구의 동향분석. 어린이미디어연구, 13(3), 149-169.
  30. 신동주, 김승옥(2016). 보육교사의 정서노동유형과 사회적 지지 및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 육아지원연구, 11(1), 119-141.
  31. 신애선(2017). 영아교사의 애착 및 영아의 몸짓과 영아 언어발달 간의 관계. 한국보육학회지, 17(4), 121-143.
  32. 신희정, 문혁준(2013). 영아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어린이집 조직문화가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3), 29-48.
  33. 안혜준(2010). 유아교사의 반성적 정서저널쓰기 과정의 의미탐색. 유아교육학논집, 14(4), 287-314.
  34. 양연숙(2011).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및 전직의도에 미치는 보육효능감과 소진의 상호작용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4), 205-221.
  35. 양옥승(1997). 유아교육연구방법. 서울: 양서원.
  36. 오봉희, 송주연, 박수경(2017). 영아교사의 정서노동, 직무만족도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1(2), 201-223.
  37. 오정민, 신나리(2017). 보육교사의 정서노동과 회복탄력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생활과학연구논총, 21(1), 15-30.
  38. 유경숙(2017).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26(4), 23-38.
  39. 이강훈, 황해익(2017). 유아교사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위계적 선형모형 (HLM) 분석. 아동교육, 26(2), 247-270.
  40. 이경화, 심은주(2013). 영, 유아교사의 영성과 기관 내 사회적 지지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7(2), 219-239.
  41. 이나영, 국지윤, 김영옥(2014).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정서노동의 매개 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 89, 341-359.
  42. 이병임(2014).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정서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4(3), 129-152.
  43. 이선미, 이승미(2013). 영아교사의 정서노동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정서지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8(6), 153-180.
  44. 이승미, 이승연(2009). 만 2 세 영아반 교사로서 맺는 다양한 관계에서 경험하는 정서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26 (2), 297-322.
  45. 이연준, 서영숙(2015). 보육교사의 정서표현규칙과 정서노동 수행전략에 관한 연구.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11(5), 19-37. https://doi.org/10.14698/JKCCE.2015.11.5.019
  46. 이영미, 민하영(2011). 영유아보육.교육기관 교사의 표면적 정서노동과 직무소진간 관계에서 시설장, 동료교사, 학부모의 정서적 지지의 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1), 167-185.
  47. 이유경, 이선미(2016). 보육교직원의 정서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조직문화와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3(4), 99-122.
  48. 이은숙, 이경님(2015). 영유아교사의 정서지능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직무스트레스 및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2), 221-238. https://doi.org/10.14698/jkcce.2015.11.2.221
  49. 이재무, 송영선(2012). 영유아 보육료 지원정책의 확대 시행에 따른 만족도 조사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72, 379-399.
  50. 이지연, 이효림, 정정희(2015). 정서노동이 유아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집단자존감의 매개효과.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6(2), 617-636.
  51. 이진화, 박은혜(2008). 개인 및 기관 정서변인이 보육교사의 정서노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교육연구, 25(1), 5-27.
  52. 이진화, 이혜원, 유진경(2010). 유아교사의 정서지능․ 자기효능감․ 정서노동과의 관계. 육아지원연구, 5(2), 117-136.
  53. 이춘복(2016). 정서적 역량 증진 프로그램에 따른 유아교사의 정서적 역량 변화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20(2), 167-192.
  54. 이혜진, 정대련(2017). 유아교사의 정서노동 관련 연구동향 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8(2), 337-364.
  55. 임소연(2017). 유아 교사의 행복감과 정서표현성 및 교사 효능감 간의 관계. 교육연구, 2(1), 121-143.
  56. 임수진, 여은진, 이혜원(2013). 영유아 교사의 직무만족, 교사 효능감, 조직몰입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33(3), 301-318.
  57. 임승렬, 김정림, 전방실(2014). 영유아교사의 행복 측정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8(1), 405-431.
  58. 임영미, 정희정(2016). 보육교사의 정서지능, 정서노동, 정서 표현성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6(4), 77-105.
  59. 장희선(2017). 영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의사소통능력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 열린 유아교육연구, 22(1), 303-323.
  60. 정다우리(2013).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감, 관심사 및 교사 인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과의 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 81, 49-70.
  61. 정덕희(2015). 보육교사의 소진에 대한 이야기.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2(2), 77-99.
  62. 정순영, 김경란(2017). 보육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행복감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미디어연구, 16(3), 1-22.
  63. 정순희, 최영미, 이희영(2013). 영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정서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0(4), 193-215.
  64. 정재은, 김성현(2018). 정서노동이 유아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8(1), 193-216.
  65. 정지언, 박영희(2015). 보육교사의 근무환경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소진의 매개효과와 정서지능의 조절효과. 유아교육연구, 35(6), 297-316.
  66. 정지언, 박영희(2016). 보육교사의 직무소진에 대한 직무스트레스, 자아탄력성과 정서적 지지의 구조적 관계. 사고개발, 12(1), 111-132.
  67. 정희정, 김정희(2016).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관련 국내학술지 연구동향 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7(3), 293-317.
  68. 조미숙, 전홍주(2016). 만 1 세 영아반 교사의 정서적 노동에 대한 경험 탐색. 한국보육학회지, 16(4), 23-50.
  69. 조복희, 강희경, 김양은, 한유미(2013). 한국 보육의 역사 및 관련법과 현황.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5), 381- 405. https://doi.org/10.14698/jkcce.2013.9.5.381
  70. 조혜진, 김수연(2012). 영아 교사의 정서지능과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7(5), 189-208.
  71. 최진영, 김영희, 김대광(2015). 보육교사와 유치원 교사의 직장내 지지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9(4), 573-593.
  72. 최형성(2015).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9(5), 193-212.
  73. 최혜진, 이호필(2015).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셀프리더십이 교수몰입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6(2), 515-537.
  74. 탁진국, 노길광, 이은경(2009). 보육교사의 정서노동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4(4), 567- 589.
  75. 황해익, 강현미, 탁정화(2014). 유아교사의 유머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긍정성의 매개효과. 유아교육학논집, 18(1), 341-363.
  76. 황혜신(2010). 정서노동 및 자아탄력성이 보육교사의 소진에 주는 영향.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8(7), 23-32.
  77. Bakker, A. B. (2005). Flow among music teachers and their students: The crossover of peak experience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6(1), 26-44. https://doi.org/10.1016/j.jvb.2003.11.001
  78. Beilock, S. L., Gunderson, E. A., Ramirez, G., & Levine, S. C. (2010). Female teachers' math anxiety affects girls' math achievement.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7(5), 1860-1863.
  79. Chang, M. L. (2009). An appraisal perspective of teacher burnout: Examining the emotional work of teachers.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21(3), 193-218. https://doi.org/10.1007/s10648-009-9106-y
  80. Csikszentmihalyi, M., Rathunde R., & Kalen, S. (1997). Talented teenagers: The roots of success and failur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81. Edwards, C. P., & Raikes, H. (2002). Extending the Dance: Relationship-Based Approaches to Infant/Toddler Care and Education. Young Children, 57(4), 10-17.
  82. Fredrickson, B. L., & Joiner, T. (2002). Positive emotions trigger upward spirals toward emotional well-being. Psychological Science, 13(2), 172-175. https://doi.org/10.1111/1467-9280.00431
  83. Frenzel, A. C., Goetz, T., Lüdtke, O., Pekrun, R., & Sutton, R. E. (2009). Emotional transmission in the classroom: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student enjoymen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01(3), 705. https://doi.org/10.1037/a0014695
  84. Goldstein, L. S., & Lake, V. E. (2000). Love, love, and more love for children: Exploring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s of caring.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6(8), 861-872. https://doi.org/10.1016/S0742-051X(00)00031-7
  85. Hagenauer, G., Hascher, T., & Volet, S. E. (2015). Teacher emotions in the classroom: Associations with students’ engagement, classroom discipline and the interpersonal teacher-student relationship. European Journal of Psychology of Education, 30(4), 385-403. https://doi.org/10.1007/s10212-015-0250-0
  86. Hall-Kenyon, K. M., Bullough, R. V., MacKay, K. L., & Marshall, E. E. (2014). Preschool teacher well-being: A review of the litera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42(3), 153-162 https://doi.org/10.1007/s10643-013-0595-4
  87. Hargreaves, A. (1998). The emotional practice of teaching.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4(8), 835-854. https://doi.org/10.1016/S0742-051X(98)00025-0
  88. Hochschild, A. R. (1990). Ideology and emotion management: A perspective and path for future research. Research Agendas in the Sociology of Emotions, 117, 117-142.
  89. Honig, A. S. (2002). Secure relationships: Nurturing infant/toddler attachment in early care settings. Washington DC: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90. Keller, M. M., Chang, M. L., Becker, E. S., Goetz, T., & Frenzel, A. C. (2014). Teachers’ emotional experiences and exhaustion as predictors of emotional labor in the classroom: An experience sampling study. Frontiers in Psychology, 1442(5), 1-10.
  91. Larson, R. (1989). Beeping children and adolescents: A method for studying time use and daily experienc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18(6), 511-530. https://doi.org/10.1007/BF02139071
  92. Lee, S. Y. (2006). A journey to a close, secure, and synchronous relationship: Infant–caregiver relationship development in a childcare context. Journal of Early Childhood Research, 4(2), 133-151. https://doi.org/10.1177/1476718X06063533
  93. Muehlenkamp, J. J., Engel, S. G., Wadeson, A., Crosby, R. D., Wonderlich, S. A., Simonich, H., & Mitchell, J. E. (2009). Emotional states preceding and following acts of non-suicidal self-injury in bulimia nervosa patients.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47(1), 83-87. https://doi.org/10.1016/j.brat.2008.10.011
  94. Pekrun, R., Goetz, T., Titz, W., & Perry, R. P. (2002). Academic emotions in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hievement: A program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Educational Psychologist, 37(2), 91-105. https://doi.org/10.1207/S15326985EP3702_4
  95. Radel, R., Sarrazin, P., Legrain, P., & Wild, T. C. (2010). Social contagion of motiva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 Analyzing underlying processe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02(3), 577-587. https://doi.org/10.1037/a0019051
  96. Seligman, M. E. (2006). Learned optimism: How to change your mind and your life. New York: Random House, Inc.
  97. Seligman, M. E., Steen, T. A., Park, N., & Peterson, C. (2005). Positive psychology progress: Empirical validation of interventions. American Psychologist, 60(5), 410. https://doi.org/10.1037/0003-066X.60.5.410
  98. Sutton, R. E. (2005). Teachers' emotions and classroom effectiveness: Implications from recent research. The Clearing House, 78(5), 229-234.
  99. Sutton, R. E., & Wheatley, K. F. (2003). Teachers' emotions and teaching: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15(4), 327-358. https://doi.org/10.1023/A:1026131715856
  100. Yip, T., & Douglass, S. (2013). The application of experience sampling approaches to the study of ethnic identity: New developmental insights and directions. Child Development Perspectives, 7(4), 211-214. https://doi.org/10.1111/cdep.12040
  101. Zirkel, S., Garcia, J. A., & Murphy, M. C. (2015). Experience-sampling research methods and their potential for education research. Educational Researcher, 44(1), 7-16. https://doi.org/10.3102/0013189X145668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