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Perception and Attitude of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on Child Abuse - Preparation with other Major Students -

예비보육교사의 아동학대 신고에 관한 인식과 태도: 타전공 대학생과의 비교

  • Kim, Tae Yeon (Dept. of Child Development and Family Studies, Duksung Women's University) ;
  • Jung, Hyun Sim (Dept. of Human Ecology,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 김태연 (덕성여자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 정현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생활과학과)
  • Received : 2018.07.30
  • Accepted : 2018.09.06
  • Published : 2018.09.30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erception on childe abuse of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who will become the closest witnesses to child abuse, and also whether they have the proper knowledge and attitude to report abuse. Methods: Surveys were conducted at five universities in Seoul and Kyonggi-province. We investigated students from child development major, and additionally students from other majors as a comparative group.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level of abuse severity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 major students. They were more aware of child abuse reporting system and reporting obligations than other major students. Second, pre-service teachers had higher intention of reporting then other major students. However, both groups barely know about child protection institution, and have negative perception on the effect of reporting. Conclusion/Implication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pre-service teachers are more aware of child abuse and willing to report than other major students, however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report effectiveness. Also, it provide implications for future policy-making related to child abuse by suggesting that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promotion through mass media is necessary and efforts should be made to reduce the risk of disclosure of the identity of the complainant in reporting abuse.

본 연구는 이후 아동학대의 가장 가까운 목격자이자 신고의무자가 될 예비보육교사들이 아동학대 신고에 대해 얼마나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으며, 학대신고를 위한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의 5개 학교에서 아동학과와 타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고, 두 집단 간 응답을 비교하여 예비보육교사들의 아동학대 및 신고에 대한 인식 및 태도가 어떠한지 살펴보았다. 검사도구로는 정종오(2008)의 아동학대 인식척도와 김소연과 윤혜미(2003)의 아동학대 신고인식 태도 척도 등을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IBM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독립표본 t-test와 교차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보육교사들의 학대에 대한 심각성 인식 수준은 타전공 대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학대신고제도 및 신고의무에 대한 인지 수준 역시 타전공 대학생보다 높았다. 그러나 아동학대 담당기관에 대해서는 두 집단 모두 정확히 알고 있지 못하였다. 둘째, 예비보육교사는 아동학대 목격 시 타전공 대학생보다 신고의향이 높았다. 그러나 신고의 효과성에 대해서는 두 집단 모두 다소 부정적이었다. 또한, 신고의 저해요인으로써 신분 노출에 대한 우려를 가장 많이 선택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예비보육교사들의 신고의향을 높이기 위해 신고 처리과정 및 결과의 정확한 전달과 신고자의 신분 노출을 방지할 효과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아동학대를 예방하고 학대신고제도를 활성화하기 위해 학대신고의 정확한 방법과 필요성, 효과성에 관한 대중매체를 통한 정보전달과 홍보가 필요함을 지적하는 등, 아동학대와 관련된 이후 정책 제정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소연, 윤혜미(2003). 보육교사의 아동학대 인식과 신고 의무에 대한 태도. 생활과학연구논총, 7(1), 1-20.
  2. 김슬기(2014). 제정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검토. 법학연구, 24(2), 201-229.
  3. 김의향, 신혜원(2014). 2급 예비보육교사 양성을 위한 표준교과개요 개정 고찰. 한국보육학회지, 14(3), 229-252.
  4. 김지경(2002), 아동복지시설종사자들의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 연구: 서울시 아동양육시설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태연(2015). 예비보육교사의 전공과목 수강에 따른 보육교사 전문성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15(3), 193-209.
  6. 박금하(2004). 대학생의 아동학대 인식 및 태도에 관한 연구. 호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박기원(2014). 부모의 방임 및 학대가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 아동학회지, 35(1), 1-15. https://doi.org/10.5723/KJCS.2014.35.1.1
  8. 법무부(2014).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lsInfoP.do?l siSeq=150753&ancYd=20140128&ancNo=12341&efYd=20140929&nwJoYnInfo=N&efGubun=Y&chrClsCd=010202#0000에서 2018년 7월 29일 인출
  9. 보건복지부(2012). 아동복지법.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15717&ancYd=20110804&ancNo=11002&efYd=20120805&nwJoYnInfo=N&efGubun=Y&chrClsCd=010202#0000에서 2018년 8월 28일 인출
  10. 보건복지부(2016). 영유아보육법 시행규칙.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78904&ancYd=20151231&ancNo=00388&efYd=20160101&nwJoYnInfo=N&efGubun=Y&chrClsCd=010202#0000에서 2018년 7월 30일 인출
  11. 보건복지부/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2017). 2016 전국아동학대 현황 보고서(pp. 179-202). 세종: 보건복지부.
  12. 성영화, 이숙자(2018). 영유아 학대예방 관련 부모교육 및 가정에서의 자녀교육 실태. 한국보육학회지, 18(1), 125-146.
  13. 안재진(2002). 아동학대 신고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서울시 학부모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양명자(2015). 보육교사의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이 신고의무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기독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여성가족부(2012). 아동 청소년의 성 보호에 관한 법률.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 lsInfoP.do?lsiSeq=115726&ancYd=20110804&ancNo=11002&efYd=20120805&nwJoYnInfo=N&efGubun=Y&chrClsCd=010202#0000에서 2018년 7월 29일 인출
  16. 오숙자(2015). 보육교사의 역할수행과 심리적 소진이 조직 헌신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5(2), 45- 64.
  17. 유흥옥, 유영의, 이진희(2013). 예비.현직 보육교사의 아동학대 심각성 및 신고의 효과성, 신고 저해요인에 대한 인식 조사. 한국보육학회지, 13(3), 241-257.
  18. 이경은, 김미정(2014). 아동보호문기관 상담원의 분리보호수행 경험에 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30(4), 207-234.
  19. 이경은, 염동문, 김미정, 김경희, 장화정(2017). 아동학대 위험사정문항개발에 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33(3), 73-100.
  20. 이미정(2013). 통합교사 자격체계 방안의 모색. 한국보육학회지, 13(4), 387-402.
  21. 이천현(2018). 아동학대범죄 신고의무에 관한 소고. 소년보호연구, 31(1), 1-30.
  22. 이혜란(2004). 성 학대 피해 아동 치료에 관한 일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4(2), 129-148.
  23. 이혜란, 전영순(2007). 문학적 접근에 기초한 유아 성 학대 예방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2(1), 1-29.
  24. 임선아(2015). 아동학대 피해가 심리사회적 적응을 매개하여 비행행동에 미치는 영향-가족소득의 조절효과. 한국아동복지학, 50, 85-108.
  25. 장신재, 양혜원(2015). 부모의 방임과 중학생의 휴대전화 의존 관계에 미치는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 사회과학연구, 31(2), 133-156.
  26. 정종오(2008). 아동양육시설 종사자들의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정현심, 김태연(2015). 어린이집 CCTV에 관한 예비보육 교사의 인식: 타전공대학생과의 비교. 아동교육, 24(4), 293-309.
  28. 조윤정, 신혜령(2013). 아동학대 신고의무자의 아동학대 신고 경험과 인식에 관한 차이 및 신고행동의 영향요인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44, 213-237.
  29. 차영숙, 문혜련(2009). 예비유아교사가 지각한 유아교육 기관의 아동학대 -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58, 61-80.
  30. 허경미(2014). 현대사회와 범죄학. 서울: 박영사.
  31. Kaye, B. K., & Sapolsky, B. S. (2001). Offensive language in prime time television: Before and after content ratings.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45(2), 303-319. https://doi.org/10.1207/s15506878jobem4502_7
  32. Polanin, J. R., Espelage, D. L., & Pigott, T. D. (2012). A meta-analysis of school-based bullying prevention programs' effects on bystander intervention behavior. School Psychology Review, 41(1), 47-65.
  33. Thornberry, T. P., Ireland, T. O., & Smith, C. A. (2001). The importance of timing: The varying impact of childhood and adolescent maltreatment on multiple problem outcomes.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13(4), 957-979. https://doi.org/10.1017/S0954579401004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