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주택경비원과 일반경비원의 통합관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grated Management for Multi-Family Housing Security Guard and General Security Guard

  • 투고 : 2018.11.09
  • 심사 : 2018.12.03
  • 발행 : 2018.12.31

초록

공동주택경비와 일반경비는 동종 유사한 업무임에도 불구하고 이원적(二元的) 운영과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공동주택경비원도 교육에 있어서나 각종 신고의무 등에서 보다 전문적 관리가 필요하다. 특히 민간부문에서 경찰업무의 하나인 경비업무를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가 전반의 범죄예방과 치안자원의 상시관리를 담당하고 있는 경찰청의 관리 감독에서 벗어나 있는 현실은 하루속히 개선되어야 한다. '경비업무'는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전문적 영역임에도 불구하고 '공동주택관리업무'가 국토교통부 소관업무라는 이유만으로 '공동주택의 관리'라는 범주에서만 관리 운영되고 있다. 이를 "경비업법"으로 통합하여 관리 운영하여야 한다. 비록 "공동주택관리법"상 경비원과 관련된 규정은 지극히 제한적이지만, 주택경비원의 처우개선 관점에서 공동주택경비원과 일반경비원의 통합관리에 관한 논의를 시작하여, "경비업법" 개정 및 "공동주택관리법"상 준용 규정 신설, 경비업법의 확장해석을 통한 아파트 경비업무 공백 방지, 직무중심의 전문교육 법제화의 방식으로 접근하여야 한다.

The problem is that even though the cost of apartment buildings and general expenses are the same and similar tasks, there is a significant gap between them in quantity and quality. The apartment security guard needs more professional management in education and various reporting obligations. In particular, the reality of being away from the management and supervision of the National Police Agency, which is in charge of crime prevention and policing resources throughout the nation, is a task that needs to be improved quickly. Although the "security service" is a specialized area for protecting the lives and property of the people, it is managed and operated only in the category of apartment management, just because it is under the jurisdiction of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his should be integrated into one cost-related law, such as the "Cost Business Act," for management and operation. Although the regulations concerning security guards under the "Joint Housing Management Act" are very limited, they should start discussing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apartment security guards and general security guards in view of improvement of their treatment. The most realistic method would be to hire a new general security officer with a security law as a security guard in an apartment building.

키워드

참고문헌

  1. 경찰청 (2017). 2016-11 경찰통계연보.
  2. 김성언 (2004). 민간경비의 성장과 함의 : 치안활동의 신자유주의적 재편과 계약적 통치의 등장.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김정규 (2011). 아파트 경비원의 직무환경 개선을 위한 경험적 접근-범죄 예방활동 강화를 중심으로-. 한국경찰학회보, 30, 27-60.
  4. 김지선, 박미랑, 윤정숙 (2010). 아동청소년대상 성범죄의 발생추세와 동향분석 2000-2009년. 여성가족부 아동청소년성보호과.
  5. 노진거, 최경철, 이영호 (2018). 경비업법상 경비원과 파견근로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상 경비원의 비교에 관한 연구. 한국경호경비학회지, 55, 143-167.
  6. 박준석 (2008). 한국 민간경비시장의 과제와 활성화 도입방안. 경호경비연구, 15, 165-190.
  7. 박태형 (2017). 공동주택 경비원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송수복 (2013). 경비업법의 개정을 위한 시론: 직무와 관리권한을 중심으로. 청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이미옥 (2007). 효율적 공동주택 관리를 위한 인력 체계화에 관한 연구. 서울산업대학교 주택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이민형 (2010). 한국민간경비제도 정립을 위한 경비업법 개선방안. 용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이상훈 (2013) 국민생활안전을 위한 개정 경비업법의 평가와 정책과제. 한국경호경비학회.한국산업보안연구학회 공동학술세미나 자료집, 163-202.
  12. 인택환 (2005). 공동주택관리체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조병인 외 9인 (2004). OECD국가와 치안역량비교를 통한 21세기 경찰발전방안.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4. 최석오 (2011). 경비업법 입법체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최선우 (2002). 치안서비스 공동생산론. 대왕사.
  16. 치안정책연구소 (2007). 치안전망 2018.
  17. 한주석 (2016). 공동주택의 관리시스템 체계통합에 관한 연구. 가천대학교 산업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Alarid, L. F., & Novak, K. J. (2008). Citizens' Views on Using Alternate Reporting Methods in Policing. Criminal Justice Policy Review, 19(1), 25-39. https://doi.org/10.1177/0887403407308289
  19. Bureau of Justice Assistance(BJA). (2000). Operation Cooperation-Guidelines for Partnerships between Law Enforcement & Private Security Organizations-, 1-15.
  20. Gunter, W., & Kidwell, J. (2004). Law Enforcement and Private Security Liaison: Partnerships for Cooperation. IFPO: International Foundation for Protection Officers.
  21. Home Office(UK). (2007). Partial Regulatory Impact Assessment: Regulation to Implement the Private Security Industry Act 2001 in Respect of Private Investigators and Recognition Agents.
  22. Meanwell, K. (2008). Police Response to Security System, Association of Chief Police Officer of England. Wales & Northern Ireland.
  23. Stephens, D. W. (1996). Community Problem-Oriented Policing : Measuring Impacts. Quantifying Quality in Policing, (ed) Larry T. Hoover, Police Executive Research Forum, 95-130.
  24. Walsh, W. F., & Donovan, E. J. (1989). Private security and community policing: Evaluation and comment. Journal of Criminal Justice, 17(3), 187-197. https://doi.org/10.1016/0047-2352(89)90019-6
  25. 경비업법(시행 2018. 4. 25., 법률 제14909호, 2017. 10. 24., 일부개정)
  26. 경비업법시행령(시행 2017. 7. 26., 대통령령 제28215호, 2017. 7. 26., 타법개정)
  27. 경비업법시행규칙(시행 2017. 7. 26., 행정안전부령 제3호, 2017. 7. 26., 타법개정)
  28. 공동주택관리법(시행 2018. 9. 14., 법률 제15454호, 2018. 3. 13., 타법개정)
  29. 공동주택관리법시행령(시행 2018. 9. 14., 대통령령 제29151호, 2018. 9. 11., 타법개정)
  30. 공동주택관리법시행규칙(시행 2018. 9. 14., 국토교통부령 제542호, 2018. 9. 14., 일부개정)
  31.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
  32. 국토교통부. 경비원에 대한 부당한 지시나 명령의 범위에 대한 유권해석
  33. 네이버 지식백과 용어사전 http://terms.naver.com.
  34. 대법원 2014. 3. 27. 선고 2013도11969 판결.
  35. 대법원 2016. 1. 28. 선고 2012다17806 판결.
  36. 사이버경찰청 공공데이터 경찰통계자료 http://www.police.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