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전문대학 학사학위 전공심화 교육과정 만족도에 관한 주관성 연구 -호텔조리학과 재학생을 중심으로-

A Subjectivity Study on the Satisfaction of Intensive Major Course in Bachelor Degree Major College -Focusing on hotel culinary department enrolled student-

  • 김찬우 (가톨릭관동대학교 호텔조리외식경영학과)
  • 투고 : 2018.07.27
  • 심사 : 2018.08.28
  • 발행 : 2018.09.28

초록

본 연구는 전문대학 학사학위 전공심화 교육과정 만족도의 주관적 인식을 파악하고자 전공심화과정 호텔 조리학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Q방법론을 적용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전공심화 교육과정 만족도의 구조를 유형화 하며, 전공심화 교육과정 만족도에 관한 유형들 간의 특성을 기술하고 분석하여 향후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유형분석 결과, 총 6가지로 도출되었다. 제 1유형(N=5) : 전공심화과정 교수법 만족형(In-depth major curriculum teaching method satisfaction type), 제 2유형(N=4) : 실기중심 수업 만족형(Practical learning class satisfaction type), 제 3유형(N=3) : 현장 중심 수업 만족형(Place centered class satisfaction type), 제 4유형(N=3) : 취 창업 중심 수업 만족형(Employment Establishment centered class satisfaction type), 제 5유형(N=3) : 이론중심 수업 만족형(Theory centered class satisfaction type), 제 6유형(N=2) : 일 학습 병행 수업 만족형 (Work learning concurrent class Satisfying type)으로 각각의 유형마다 다양한 특징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전문대학 학사학위 전공심화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에서는 많은 문헌과 실증연구를 바탕으로 보다 세밀한 Q방법론적인 질문과 분석기법으로 수정 보완하여, 응답자들의 다양한 의견을 보다 구체적이며 객관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erception of the satisfaction of the undergraduate curriculum in the college undergraduate degre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structure of satisfaction of major curriculum, and to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types of curriculum satisfaction in the major curriculum. The results of the type analysis are as follows. The first type (N = 5): In-depth major curriculum teaching method satisfaction type, the second type (N = 4): Practical learning class satisfaction type, the third type (N = 3) 4 types (N = 3): Employment Establishment centered class satisfaction type, 5th type (N = 3): Theory centered class satisfaction type, 6th type (N = 2) It is analyzed that there are various features for each type. In the future, we will revise and refine it with detailed Q methodological questions and analytical techniques, and analyze various opinions of respondents more concrete and objectively.

키워드

참고문헌

  1. 이희경, 김정숙,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 학생의 학교 만족도 실태 및 요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제22권, 제1호, pp.5-32, 2018.
  2. 김경아, 안유정, "재학생 사전조사를 통한 전문대학 전공심화과정 운영방안 연구," 한국컴퓨터정보학회 동계학술대회 논문집, 제26권, 제1호, pp.199-200, 2018.
  3. 한대희, 양한주, 김유라, 강성환, "전문대학 평가 인증 기준 중요도 분석을 통한 인증기준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고등직업교육학회논문집, 제16권, 제1호, pp.125-138, 2015.
  4. 양한주, 한재석, 윤석무, 황광모,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 운영실태 평가방안 연구, 서울: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2008.
  5. 김경아, 안유정, "재학생 사전조사를 통한 전문대학 전공심화과정 운영방안 연구,"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제26권, 제1호, pp.199-200, 2018.
  6. http://news.unn.net/,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 10주년을 돌아보며," 한국대학신문, 2018.
  7. 홍정석, "전공심화과정 교육의 질적 향상방안," 고등직업교육 경쟁력 강화를 위한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 학과장 연수자료집, 서울: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pp.21-31, 2017.
  8. https://namu.wiki/, "전공심화과정", 네이버 나무 위키, 2018.
  9. 조길복, 심재형, 임준우, 최윤정, "학사학위 전공 심화과정에 대한 산업체 만족도 영향 요인 연구," 한국고등직업교육학회논문집, 제13권, 제3.4호, pp.145-157, 2012.
  10. http://news.mk.co.kr/, "전문대에서 4년제 학사학위 따고 대기업 뚫었어요," 매일경제, 2018.
  11. 박용석, 대학 교육서비스 만족요인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12. 이인학, "한국 전문대학의 교육여건 및 발전방안에 관한 교수.학생 만족도 분석," 한국고등직업교육학회 논문집, 제11권, 제1호, pp.1-10, 2010.
  13. 선일석, 이원동, 권재현, "전문대학의 물류학과 전공심화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실증분석," 교육종합연구, 제9권, 제1호, pp.121-137, 2011.
  14. 오영림, 손덕순, 박종팔, "전문대학 사회복지과 전공심화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임상사회사업연구, 제1권, 제2호, pp.53-84, 2013.
  15. 임진형, 원계선, "전문대학 3년제 유아교육과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 교육과정 분석," 아동보육연구, 제8권, 제1호, pp.5-22, 2012.
  16. 정철영, 김진모, 김호동, 허영준, 김영은, "한국농업대학 학사학위 수여전공심화과정 개설을 위한 연구," 농업교육과인적자원개발, 제40권, 제4호, pp.35-63, 2008.
  17. 곽영숙, "전공심화과정의 영유아 학급운영관리 과목에서 팀 기반학습(Teambased-learning) 적용에 관한 실행연구," 유아교육연구, 제37권, 제4호, pp.207-245, 2017.
  18. 서혜정, 문혜경, "전공심화과정에서 현장연구자가 된 유아교사의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2호, pp.259-281, 2015.
  19. 이성태,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전공심화과정의 운영문제와 대안," 계명연구논총, 제17권, 제1호, pp.63-82, 1999.
  20. 정영재, "문헌정보학 전공심화과정 도입과 향후 과제," 부산여자대학논문집, 제28권, pp.19-43, 2006.
  21. 이준엽,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 학습자들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만족도 분석," 한국고등직업 교육학회논문집, 제11권, 제1호, pp.1-10, 2010.
  22. 김경화, "전문대학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의 학습자 요구분석," 한국고등직업교육학회논문집 제11권, 제2-3호, pp.87-102, 2010.
  23. 박영철, 최성경, 권춘우, 남경현, 황광모, 양한주, "전문대학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 제도 개선 및 질 관리 방안 정책연구," 서울: 교육부,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고등직업교육연구소, 제13호, 제21호, 2013.
  24. 남기헌, 강문상, 김민경, 류지영, 박효식, 심범식, 오양현, 홍정석, 김호동, 박영철, 오병진, 4차산업 혁명에대비한학사학위전공심화과정발전방안연구, 서울: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2017.
  25. 권춘우,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 활성화 방안," 한국고등직업교육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8권, pp.87-129, 2009.
  26. 윤영미, "대학생의 동아리 활동과 대학생활 적응 및 진로준비 행동과의 관계," 지역사회개발연구, 제38권, 제2호, pp.21-30, 2013.
  27. 남기헌,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 운영실태와 문제점", 고등직업교육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 학과장 연수 자료집, 서울: 한국 전문대학교육협의회, pp.3-17, 2017.
  28. 이제영, "건강 공익광고 수용효과에 관한 연구- 광고홍보학과 전공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9호, pp.85-93,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9.085
  29. 이제영, "고속도로 휴게소 이용고객에 대한 음식 선호도 주관성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호, pp.507-510, 2014.
  30. J. Dryzek, Discursive Democrac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31. S. Brown, Political Subjectivity: Applications of Q Methodology,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p.46, 1980.
  32. S. Brown, D. During, and S. Selden, "Q Methodology, In G. Miller and M. Whicker, eds., Handbook of Research Methods in Public Administration," New York: Marcel Dekker, 1999.
  33. 선우동훈, "Q방법론에 의한 소비자행동 연구," 광고연구, 여름호(제11호), 한국방송광고공사, p.7, 1991.
  34. 김흥규, "주관성 연구를 위한 Q방법론의 해," 간호학 논문집, 제6권, 제1호, pp.1-11, 1992.
  35. P. M. Patterson, T. J. Burkink, R. S. Lipsey, J. Lipsey, and R. W. Roth, "Targeting tourists with state branding programs Agribusiness," Vol.19, No.4, pp.525-538, 2003. https://doi.org/10.1002/agr.10073
  36. W. Stephenson, "Consciousness Out- Subjectivity," In, The Psychological Record. p.18, 19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