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Emotional Intelligence, and Cultural Orientation on Conflict Management : Focused on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pplied Music

긍정심리자본, 감성지능, 문화성향이 갈등관리방식에 미치는 영향: 실용음악전공 대학생을 중심으로

  • 김경희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화예술학과) ;
  • 최배석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화예술학과)
  • Received : 2018.08.08
  • Accepted : 2018.09.20
  • Published : 2018.09.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emotional intelligence, and cultural orientation on conflict management in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pplied music. The research hypotheses were verified by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283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pplied music.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respondents with mor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ve chosen to use integration and compromise in conflict managements. In particular, self-efficacy has been found to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integration and compromising, optimism on avoiding and obeying, and hope on dominating. Second, respondents with more emotional intelligence have chosen to use more integration and compromising, however they have chosen to use less avoiding and obeying in conflict managements. Particularly, others'emotional appraisal has been found to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integration, obeying and compromising, self-emotional appraisal on avoiding, and regulation of emotion on dominating. Third, respondents with horizontal/vertical collectivism and horizontal individualism have intended to use integration and compromising in conflict managements, additionally horizontal individualism of cultural orientation has been found to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integration and compromising, horizontal collectivism on obeying, vertical individualism on dominating, vertical collectivism avoiding.

본 연구는 실용음악전공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 감성지능, 문화성향이 갈등관리방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혀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실용음악전공 대학생 28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이루어졌으며 상관관계분석과 다변인 회귀분석으로 연구문제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심리자본이 많은 대학생일수록 갈등상황에서 통합방식과 타협방식을 구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기효능감은 통합방식과 타협방식, 낙관성은 회피방식과 복종방식, 희망은 지배방식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감성지능이 높은 대학생일수록 갈등상황에서 통합방식, 타협방식을 구사하는 반면 회피방식과 복종방식은 적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타인 감성이해는 통합방식, 복종방식, 타협방식, 자기감성이해는 회피방식, 감성조절은 지배방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수평적/수직적 집단주의와 수평적 개인주의 성향을 가진 대학생일수록 갈등상황에서 통합과 타협방식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평적 개인주의 문화성향은 통합방식과 타협방식, 수평적 집단주의 문화성향은 복종방식, 수직적 개인주의 문화성향은 지배방식, 수직적 집단주의 문화성향은 회피방식에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지애, 한세영, "대학생의 관계지향성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양가성의 매개적 역할,"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34권, 제4호, pp.135-150, 2016.
  2. W. W. Wilmot and J. L. Hocker, Interpersonal Conflict (6th Ed.), New York, NY: McGraw Hill, 2001.
  3. 이희영, 천태복, "학년 및 성별과 부모의 양육행동에 따른 청소년의 또래 갈등해결전략," 수산해양교육연구, 제17권, 제2호, pp.228-239, 2005.
  4. M. L. Gross and L. K. Guerrero, "Managing appropriately and effectively: An application of the competence model to Rahim's organizational conflict styles," International Journal of Conflict Management, Vol.11, pp.200-226, 2000. https://doi.org/10.1108/eb022840
  5. W. R. Cupach and D. H. J. Canary, Competence in interpersonal conflict, New York: Mcgraw-hill, 1997.
  6. 정동숙, 청소년의 긍정심리자본, 사회적지지, 사회적 자본과 학교 부적응, 가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7. 심수연, 김용수, "불안정 성인애착과 생활스트레스의 관계: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제16권, pp.95-105, 2015.
  8. 장정임, 김성봉,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과 스마트폰 중독의 매개효과," 청소년상담연구, 제23권, pp.447-465, 2015.
  9. D. Goleman, Emotional Intelligence, New York: Bantam Books, 1995.
  10. 한아름, 오인수, "학교 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조절효과," 교원교육, 제30권, 제2호, pp.227-251, 2014.
  11. H. C. Triandis, "Individualism-collectivism and personality," Journal of Personality, Vol.69, No.6, pp.907-924, 2001. https://doi.org/10.1111/1467-6494.696169
  12. W. B. Gudykunst, "Cutural variability in communication: An introduction," Communication Research, Vol.24, pp.327-348, 1997.
  13. F. Luthans, B. J. Avolil, J. B. Avey, and S. M. Norma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Measurement and Relationship with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Personal Psychology, Vol.35, pp.541-571, 2007.
  14. F. Luthans, C. M. Youssef, and B. J. Avolio, Psychological Capital: Developing the human competitive edge, Paju: Lux Media, 2007.
  15. A. Bandura, Self-efficacy: The exerciseof control, New York; W. H. Freeman & Company, 1997.
  16. C. R. Snyder, The psychology of hope: You can get three from here, New York: Free Press, 1994.
  17. 신우열, 김민규, 김주환, "회복탄력성 검사 지수의 개발 및 타당도 검증," 한국청소년연구, 제20호, pp.5-131, 2009.
  18. A. S. Masten and M. J. Reed, "Resilience in development," In C. R Synder & S. Lopez(Eds.),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pp.74-88, 2002.
  19. 서수경, 병원간호사의 갈등관리유형에 따른 의사소통능력과 자기효능감, 순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20. 서해인, 신나나,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남녀 청소년의 낙관성이 갈등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제37권, 제5호, pp.65-82, 2016. https://doi.org/10.5723/kjcs.2016.37.5.65
  21. 노현숙, 낙관성과 스트레스 지각이 갈등해결양식 및 이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22. J. D. Mayer and P. Salovey,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Vol.9, No.3, pp.185-211, 1990. https://doi.org/10.2190/DUGG-P24E-52WK-6CDG
  23. C. S. Wong and K. S. Law, "The effects of leader and follower emotional intelligence on performance and attitude: An exploratory study," Leadership Quarterly, Vol.13, No.3, pp.243-274, 2002. https://doi.org/10.1016/S1048-9843(02)00099-1
  24. 김정아, "정서지능과 갈등관리 스타일 및 스트레스 대처와의 관계: 전문대학 비서학 전공생을 중심으로," 한국전문대학교교육연구학회논문집, 제10권, 제2호, pp.100-122, 2009.
  25. 임수진, 이재신, "청소년의 자아분화와 갈등해결 전략의 관계: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중등교육연구, 제65권, 제1호, pp.173-194, 2017.
  26. H. R. Markus and S. Kitayama, "The cultural psychology of personality,"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Vol.29, pp.63-87, 1998. https://doi.org/10.1177/0022022198291004
  27. H. R. Markus and S. Kitayama, "Culture and the self: Implications for cognition, emotion, and motivation," Psychological Review, Vol.98, No.2, pp.224-253, 1991. https://doi.org/10.1037/0033-295X.98.2.224
  28. T. M. Singelis, "The measurement of independent and interdependent self- construal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Vol.20, pp.580-591, 1994. https://doi.org/10.1177/0146167294205014
  29. M. Singelis, H. C. Triandis, D. D. Bhawuk, and M. Gelfand, "Horizontal and vertical dimension of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A theoretical and measurement refinement," Cross-Cultural Research, Vol.29, pp.240-275, 1995. https://doi.org/10.1177/106939719502900302
  30. T. M. Singelis and W. J. Brown, "Culture, self, and collectivist communication: Liking culture to individual behavior,"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Vol.21, No.3, pp.354-389, 1995. https://doi.org/10.1111/j.1468-2958.1995.tb00351.x
  31. H. C. Triandis, "Individualism-collectivism and personality," Journal of Personality, Vol.69, No.6, pp.907-924, 2001. https://doi.org/10.1111/1467-6494.696169
  32. 박여미, 조긍호, "청소년의 문화성향과 일관성 선호경향 및 가치관 수용의 관계," 인간이해, 제26권, pp.69-91, 2005.
  33. 김호정, "문화성향과 갈등관리행태의 관계," 한국조직학회보, 제8권, 제3호, pp.61-89, 2011.
  34. 최태진, "청소년의 문화성향에 따른 교우간 갈등 해결전략," 한국청소년연구, 제17권, 제1호, pp.5-31, 2006.
  35. M. A. Rahim, "A measure of styles of handling interpersonal conflict,"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26, pp.368-376, 1983.
  36. M. A. Rahim, "Referent role and styles of handling interpersonal conflict,"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Vol.125, pp.79-86, 1986.
  37. M. A. Rahim, N. R. Magner, and D. L. Shapiro, "Do justice perceptions influence styles of handling conflict with supervisor?: What justice perceptions, precisely," International Journal of Conflict Management, Vol.11, 2000.
  38. 김기범, 대인관계 속에서 도덕성과 내집단-외집단 구별: 문화비교 분석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