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siness Performance Indicators and Determinants Analysis of Small and Medium Sized Shipping Logistics Companies in Korea - Using 2015 Economic Census Data

국내 중소 해운물류기업의 경영성과지표 산정 및 결정요인 분석 - 2015년 경제총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 한상용 (동서대학교 국제통상물류학부) ;
  • 이주석 (한국해양대학교 국제무역경제학부)
  • Received : 2018.11.19
  • Accepted : 2018.12.28
  • Published : 2018.12.31

Abstract

This paper analyzes comparatively business performance indicators and determinants of small and medium sized shipping logistics companies in Korea, using 2015 economic census data.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stimates various business performance indicators according to 2015 small and medium sized companies classification standards, including operating income to sales and gross value-added to sales.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s determinants of business performance using generalized least squares models. The results indicate that average sales, operating income and value-added, sales and operating income per worker, operating income to sales, and material cost to sales of large sized companies are higher than those of small and medium sized companies. The business performance indicators differ by industry and size. Moreover, the determinants of business performance are analyzed in terms of the unemployment rate (-), number of employees (-), sales (+), labor cost ratio (+), and labor cost per employee (-) and the impacts of the individual explanatory variables based on elasticity are different. Finally, this quantitative information could be used to improve the business performance of domestic shipping logistics companies.

본 연구에서는 2015년 경제총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국내 중소 해운물류기업들의 업종별 경영성과지표를 산정함과 동시에 경영성과 결정요인 분석을 수행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국내 해운물류기업 규모에 관계없이 평균 매출액, 평균 영업이익, 종사자 당 매출액, 종사자 당 영업이익, 매출액 영업이익률, 매출액 대비 재료비 비중, 평균 부가가치액 등의 경영성과지표는 기업 규모가 클수록 그 값이 크게 분석된 반면, 매출액 대비 인건비 비중과 부가가치율 지표는 기업 규모가 작을수록 그 값이 크게 분석되었다. 즉 위에서 산정된 국내 해운물류기업들의 경영성과지표들은 업종 및 규모별로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국내 중소 해운물류기업들의 지역 및 기업특성변수들 중 매출액 영업이익률과 매출액 대비 부가가치율 등 경영성과에 미치는 결정요인들은 실업률(-), 종업원 수(-), 매출액(+), 인건비 비중(+), 종업원당 인건비(-) 등으로 분석되었고, 탄력성을 기준으로 한 개별 설명변수들의 영향력은 변수들마다 차이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결과에서 도출된 국내 중소 해운물류기업의 경영성과지표들에 대한 개별 설명변수들의 탄력성 추정치들은 향후 기업별 경영성과지표 개선방안을 수립하는 데 정량적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대경(2013), DEA를 이용한 해운.물류기업의 동태적 경영성과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 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고대경.우수한.강효원(2014), DEA를 활용한 해운 물류 기업의 경영성과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0집 제2호, 93-112.
  3. 김종기.강다연(2008), 국내 해운물류 기업의 경영 효율성 분석,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Vol.7, No.2, 141-150.
  4. 김주은(2017), 기업규모 및 연령에 따른 국내 제조기업의 재무비율 비교분석, 기업경영연구, 제24권 제2호, 57-83.
  5. 김현준.김현아.임영태(2016), DEA모형을 이용한 국적선사의 경영효율성 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2집 제2호, 123-135.
  6. 박광서.구종순.황경연(2012), 한국과 해외 주요 해운선사의 효율성 및 생산성 비교 분석, 해운물류연구, 제75권, 1-33.
  7. 방희석.강효원(2011), DEA를 활용한 글로벌해운선사의 효율성측정,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7집 제1호, 213-234.
  8. 법제처(2018), 중소기업기본법 시행령.
  9. 성효용(2002), 한국 제조업체의 성장 및 생존요인에 관한 연구, 질서경제저널, 제5권 제2호, 85-101.
  10. 송준기(2004), 한국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기업성과 결정요인 비교분석-규모의 경제와 유연성을 중심으로, 중소기업연구, 제26권 제4호, 79-98.
  11. 이상호.윤경석(2003), 외환위기 전후의 제조업 기업규모별 경영성과 분석, 한국중소기업학회 경제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73-94.
  12. 이인권(2002), 한국기업의 나이별 성장, 생존 및 성장가변도, 한국경제연구, 제7권, 5-35.
  13. 이태휘.여기태(2015), 비방사적 DEA 모형을 활용한 외항 해운기업의 경영효율성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1집 제1호, 37-49.
  14. 통계청(2016), 2015년 경제총조사 운수업부문 조사표.
  15. 통계청(2017), 2015년 기준 경제총조사 보고서(기업체편).
  16. 통계청(2018), 2010년-2015년 행정구역(시도)별 지역내 총생산 자료(http://kosis.kr).
  17. 통계청(2018), 2015년 행정구역(시도)별 실업률 자료 (http://kosis.kr).
  18. 한국은행(각년도), 기업경영분석.
  19. 한국해양수산개발원(2017), 한진해운 사태의 반성과 원양 정기선 해운 재건 방안, KMI 동향분석, Vol.45.
  20. 황경연.구종순(2011), 국내외 컨테이너선사의 효율성 비교를 통한 국제경쟁력 평가, 통상정보연구, 제13권 제1호, 123-144.
  21. 황경연.구종순(2015), 해운기업의 환경, 시장 지향성 및 경영성과간의 관계, 해운물류연구, 제31권 제1호, 81-105.
  22. Greene, W. H.(2000), Econometric Analysis, Prentice Hall International, Inc.
  23. Hall, B. H.(1987), The Relationship between Firm Size and Firm Growth in the US Manufacturing Sector,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35(4), 583-606. https://doi.org/10.2307/20985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