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Students' Cognitive Level and Cognitive Demand of Activities in 'Mirror and Shadow' Unit

'거울과 그림자' 단원 수업 활동의 인지요구도와 학생의 인지수준과의 관계 분석

  • Received : 2018.07.31
  • Accepted : 2018.08.23
  • Published : 2018.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omparing cognitive development of elementary $4^{th}$ graders and cognitive demand of activities in lesson 'The mirror and the shadow.' Also, the researchers tried to reveal how cognitive development of elementary $4^{th}$ graders and cognitive demand of textbook activities affects the achievement of students. To study students' cognitive development, the researchers use GALT(Group Assessment of Logical Thinking). Piaget's scientific thinking is used to evaluate cognitive demand of textbook activities. With several experts in science education the researchers discussed which scientific thinking is contained in each activities. The results were followed as : (1) The third of activities are significantly affected by students' cognitive development. (2) The another third of activities are influenced by not only students' cognitive development but also other factors experimental instrument. (3) The environmental factors had meaningful impact on the other third of activities.

Keywords

References

  1. 곽영순(2006). 교과별 내용 교수법(PCK) 개발 연구의 이론과 실제. 열린교육실행연구, 10.
  2. 곽영순(2011). 초등 과학수업 실태 점검 및 개선 방안 연구. 한국지구과학학회지, 32(4), 422-434.
  3. 박인후(2017). 초등 과학과 '렌즈의 이용' 단원에서 교사 개념 이해 유형에 따라 나타나는 교수.학습 곤란 양상.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박준형, 전영석(2016). 무게 단원 수업에서 겪는 교사와 학생의 어려움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3), 295-301.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3.0295
  5. 박하나, 전영석(2015). 2009 개정교육과정 초등 과학과 "소리의 성질" 단원의 학생 성취도 및 교수.학습 곤란도 분석. 한국초등교육, 26(4), 83-97.
  6. 백성혜, 정연경(2009). '빛과 상'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이해와 학습 내용에 대한 인식 변화에 대한 사례 연구. 초등과학교육, 28(3), 245-262.
  7. 이경란, 박종호, 백남권(2016). 초등학생의 빛의 성질 개념에 대한 학습 발달과정의 개발. 초등과학교육, 35(3), 326-335.
  8. 이미경, 김경희(2004).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 성취도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2), 399-407.
  9. 임아름, 전영석(2014). 초등학교 5학년 과학과 '전기회로' 단원 수업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교수.학습 곤란도와 곤란 원인 분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67, 61.
  10. 임채성, 윤혜경, 장명덕, 임희준, 신동훈, 김미정, 박헌우, 이인선, 권치순, 이대형, 김남일(2007). 초등학교 3-4학년 차세대 과학 교과서 체제 개발 연구. 초등과학교육, 26(5), 580-595.
  11. 정은영, 장명덕(2017). 초등 6학년 과학 교과서의 요구 인지 수준과 학생의 심리적 난이도 비교 분석. 한국초등과학교육, 36(4), 356-366. https://doi.org/10.15267/KESES.2017.36.4.356
  12. 정하나, 전영석(2014). 초등학교 "물체의 속력" 단원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이 느끼는 교수, 학습 곤란도 분석. 초등과학교육, 33(1), 172-180.
  13. 최병순, 한효순, 신애경, 김선자, 박종윤(2003). CASE 프로그램에 의한 초등학생들의 인지가속 효과. 초등과학교육, 22(1), 1-14.
  14. Duschl, R. A., Schweingruber, H. A. & Shouse, A. W. (2007). Taking science to school: Learning and teaching science in grades K-8,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15. Roadranka, V., Yeany, R. H., & Padilla, M. J. (1983). Th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group assessment of logical thinking.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Dallas, Texas.
  16. Shayer, M. & Adey, P. (1992a). Accelerating the development of formal thinking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I: Postproject effects on science achieve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1), 81-92. https://doi.org/10.1002/tea.3660290108
  17. Van Driel, J. H., De Jong, O. & Verloop, N. (2002). The development of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Science Education, 86, 572-590. https://doi.org/10.1002/sce.1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