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ison of Gesture Characteristics of Career Teachers and Novice Teachers in Elementary Science Class - Focused on the 5th Grade Unit of the Function and Structure of Our Body -

초등과학 수업에서 경력교사와 초보교사의 제스처 특징 비교 - 우리 몸의 구조와 기능 단원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18.08.08
  • Accepted : 2018.08.16
  • Published : 2018.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of gesture between career teachers and novice teachers in elementary science class. In order to analyze the gesture of elementary science teachers, gesture analysis framework was developed.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were 2 beginner teachers and 2 career teachers. We analyzed 'bones and muscles', 'digestion', 'breathing', and 'excretion' of 'body' section in the second semester of 5th grade. The video recording of the class scene with the camcorder was recorded and analyzed by Observer X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areer teacher lessens unnecessary gestures than the novice teacher. During the class, the career teachers lessened the gestures not related to the context of the class. These differences were more prominent in the activities of the group with many unexpected situations than those of the teachers who prepared the class contents. Second, career teachers have more communication control act than novice teachers. Career teachers have often made adjustments to induce learner presentations or control unnecessary utterances. Third, career teachers efficiently interacted with learners using gestures that can enhance communication.

Keywords

References

  1. 고경진, 김동용, 이영지, 권승혁, 권용주(2017). 실험 수업에서 경력교사와 예비교사의 시선을 통한 공감의 특징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8), 1-19.
  2. 김영순(2000). 한국인 손동작의 의미와 화용. 한국어의미학회지, 6, 27-47.
  3. 김영순, 김효남, 신애경(2011). 반성적 사고를 강조한 수업장학이 초등교사의 과학수업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8), 1092-1109.
  4. 김우룡(2004).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론. 파주: 나남출판.
  5. 김장환, 신원섭, 신동훈(2018). 탐구형 초등과학수업 '호흡'차시에서 교사의 경력에 따른 교수행동 및 시각적 주의 분석. 초등과학교육, 37(2), 206-218.
  6. 변정호, 이일선, 권용주(2011). 시선추적기(Eye-Tracker)를 활용한 시선집중 및 배분 교수행동 패턴의 컨설팅 사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1(4), 173-199.
  7. 신원섭(2016). 초등과학 교육연구에서 시선추적 연구방법의 고찰. 초등과학교육, 35(3), 288-304.
  8. 신원섭, 김장환, 신동훈(2017). 이동형 시선추적기를 활용한 초등교사의 과학수업 분석. 초등과학교육, 36(4), 303-315.
  9. 신원섭, 신동훈(2018). 강의형 초등과학수업에서 교사의 경력에 따른 시각적 주의 분석 - 5학년 우리 몸의 구조와 기능 단원을 중심으로 -. 생물교육, 46(1), 154-164.
  10. 이경희(2004). 교사의 비언어적 행동에 대한 초등학생의 경험과 선호도에 관한 연구. 교육발전연구학회지, 20(2), 103-136.
  11. 이정아(2013). 초등예비교사가 생각하는 좋은 과학수업의 특징: 대응쌍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32(1), 1-9.
  12. 이춘우, 김선연(2016). 교사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이 학생 개인 특성에 따라 수업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지, 10(5), 185-197.
  13. 임지룡, 김영순(2000). 신체언어와 일상언어 표현의 의사소통적 상관성. 언어과학연구, 17, 59-78.
  14. 조규락(2011). 교사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이 학생의 수업 참여도와 학업 성취도 도움에 미치는 영향.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7(3), 261-282.
  15. 최승현, 황혜정(2009). 내용교수지식(PCK)에 기초한 수업컨설팅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지, 12(1), 27-45.
  16. 한재영, 최정훈, 신영준, 손정우, 차정호, 홍준의 (2006). 과학 탐구에서 몸짓의 역할과 중요성. 초등과학교육, 25(1), 51-58.
  17. 황명자, 이경희(2004). 교사의 비언어적 행동에 대한 초등학생의 경험과 선호도에 관한 연구. 교육발전연구, 20(2), 103-136.
  18. 허영주(2007). 교사의 의사소통적 침묵의 교육적 기능과 의미. 교육방법연구, 19(1), 41-57.
  19. Berliner, D. C. (1991). Educational psychology and pedagogical expertise: New finding and new opportunities for thinking about training. Educational Psychologist, 26(2), 145-155. https://doi.org/10.1207/s15326985ep2602_6
  20. Ekman, P. & Friesen, W. V. (1972). Hand movement. Journal of Communication, 22, 353-374. https://doi.org/10.1111/j.1460-2466.1972.tb00163.x
  21. Kidron, Y. & Fleischman, S. (2006). Promoting adolescents' prosocial behavior. Educational Leadership, 63(7), 90-91.
  22. Phelan, A. M. & McLauhin, H. J. (1995). Educational discourses, the nature of the child, and the practice of new teacher.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6(3), 165-174. https://doi.org/10.1177/0022487195046003002
  23. Roth, W. -M. & Welzel, M. (2001). From activity to gestures and scientific languag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8(1), 103-136. https://doi.org/10.1002/1098-2736(200101)38:1<103::AID-TEA6>3.0.CO;2-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