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of Teachers' Perceptions Regarding Young Children's Rights

IPA 기법을 통한 교사들의 유아권리에 대한 중요도 및 수행도 인식 차이

  • 고은경 (동아대학교 휴먼라이프리서치센터) ;
  • 강진주 (원광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8.06.26
  • Accepted : 2018.07.23
  • Published : 2018.08.29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and institutional performance regarding young children's rights. Methods: 171 early childhood teacher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s.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paired sample t-test and the IPA graph to identify differences in th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each right. Results: First, the teachers perceived the importance of children's rights to be high but low in institutional performance. The main effect of teaching years on the perception appeared significant only regarding performance of the rights of protection and participation. The main effect of teacher education experiences was significant in all areas except the importance of survival rights. The results from Two-Way ANOVA showed the two variables have no interaction. Second, the second quadrant of the IPA matrix displayed the items regarding initiative and autonomy of young children. Both inexperienced- and highly-experiencedteachers, when they had teacher education, recognized that the items related to participation rights should be further improved. Conclusion/Implications: We discussed the various ways in which children's rights should be improved and ways of improving teacher education according to teacher variables in order to promote young children's rights.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2). 5세누리과정: 교사용지침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 강인숙, 이희경 (2016). 유아교사의 인성과 전문성 발달이 영유아 권리존중 실행에 미치는 영향.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20(4), 49-66.
  3. 강진주, 고은경 (2018). 유아의 참여권 신장을 위한 교육적 접근으로써 기록화의 가능성: 기록화에서 유아의 참여 역할에 관한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3), 751-774. doi:10.22251/jlcci.2018.18.3.751
  4. 구미향, 황소영 (2014). 유아교사의 유아인권에 관한 인식 변화 연구. 한국위기관리논집, 10(7), 119-137.
  5. 김민환 (2016). 수업에 관한 저경력 교사들의 인식과 실행 과정상의 주요 문제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3), 335-358.
  6. 김정래 (1999). 아동권리협약 채택 10주년과 한국 아동의 권리. 아동과 권리, 3(2), 7-11.
  7. 김정화 (2014). 유아교사의 유아권리인식과 유아권리존중 실행에 관한 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5(3), 343-364.
  8. 김정화 (2017). 유아 권리관련 연구동향 분석. 아동교육, 26(4), 185-206. doi:10.17643/KJCE.2017.26.4.10
  9. 김진숙 (2009).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의 의미와 실행수준. 숙명여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김진숙, 서혜정 (2011). 유아교실에서 유아권리 존중을 위한 실행연구.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5(2), 51-79.
  11. 김태윤, 김미숙 (2018). 보육교사의 전문성 발달수준이 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보육교사의 유아권리인식 매개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 108, 97-122.
  12. 김현자 (2008). 유아교사 전문성 관련 논의의 접근방법과 내용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3(5), 197-221.
  13. 김현진, 신은수 (2008). 보육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에 대한 연구: 교사의 개인적 변인(연령, 학력 및 전공, 자격유형, 과거 직업유형)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25(3), 239-259. doi:10.24211/tjkte.2008.25.3.239
  14. 김호현, 장희선 (2017). 영유아교사의 영유아 권리침해 인식의 모호성과 그 근거에 관한 혼합연구. 유아교육학논집, 21(2), 169-194.
  15. 대한민국정부 (2017). 제5.6차 유엔아동권리협약 국가보고서. http://incrc.org/column/?uid=12&mod=document&pageid=1에서 2018년 5월 12일 인출.
  16. 문선화 (2015). 한국사회에서의 아동의 발달권. 동광, 110, 3-38.
  17. 배송희 (2010). 유아권리 교육을 통한 보육교사의 성찰과 영유아의 이미지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서영숙, 서혜정, 김진숙 (2009). 유아권리와 권리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요구 분석.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3(3), 213-232.
  19. 신은정 (2016).경력에 따른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자기결정성이 유아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7(4), 511-535. doi:10.22154/JCLE.17.4.22
  20. 양순경 (2012). 유아권리에 대한 교사의 의식에 관한 연구. 아동교육, 21(2), 181-196.
  21. 유니세프한국위원회, 한국아동권리학회 (2014). 한국 아동의 놀권리 현주소와 대안. 서울: 사단법인 유니세프한국위원회.
  22. 유니세프한국위원회 (n.d.). 유엔아동권리협약. http://www.unicef.or.kr/education/outline_01.asp에서 2018년 5월 10일 인출.
  23. 유해미, 김은설, 황옥경, 김재원 (2011). 육아지원기관에서의 아동권리 실태와 증진방안 연구.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24. 윤진희 (2006).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아동권리에 대한 교원과 학부모의 인식과 실천에 관한 모형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이명순, 이은주 (2013). 아동권리에 대한 보육교사와 부모의 인식 및 이행수준. 아동과 권리, 17(2), 265-284.
  26. 이미숙 (2010). 영유아 인권 및 인권교육에 대한 실태 및 교사 인식 분석.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이영애, 곽정인 (2013).영유아권리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11), 988-1003. doi:10.5392/JKCA.2013.13.11.988
  28. 이용교 (2004). 영유아보육시설과 유아교육기관에서 영유아의 참여권의 신장방안. 아동과 권리, 8(2), 169-188.
  29. 이유미, 안지혜 (2014a).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행 간 차이 분석.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8(4), 569-591.
  30. 이유미, 안지혜 (2014b). 유아교사의 전문성이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8(3), 239-259.
  31. 이은영 (2001). Katz의 교사 발달단계에 따른 유아교사의 전문성.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이혜경 (2010). 유아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경력교사들의 인식. 유아교육학논집, 14(5), 287-314.
  33. 장원주, 이화도 (2017). 유아인권교육관련 연구동향 분석 - 2000년부터 2016년까지 학회지 논문을 중심으로. 아동교육, 26(2), 327-347. doi:10.17643/KJCE.2017.26.2.16
  34. 정진이 (2014). 보육교사의 인권의식 및 민감성과 영유아 학대 인식 간의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5. 조숙영, 원혜경 (2016). 유아교사의 유아권리인식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11), 1165-1185. doi:10.22251/jlcci.2016.16.11.1165
  36. 주한수 (2005). 초등학교 아동의 인권교육에 대한 교사인식 분석.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황옥경 (2010). 아동권리교육의 실태 분석. 아동과 권리, 14(4), 677-706.
  38. Abalo, J., Varela, J., & Manzano, V. (2007). Importance values for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A formula for spreading out values derived from preference ranking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60(2), 115-121. doi:10.1016/j.jbusres.2006.10.009
  39. Dahlberg, G., Moss, P., & Pence, A. (2007). Beyond qual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Languages of evaluation (2nd ed.). NY: Routledge.
  40. Hart, R. A. (2008). Children's participation: The theory and practice of involving young citizens in community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care. NY: Earthscan.
  41. Hart, S. N., & Zeidner, M. (1993). Children's rights perspectives of youth and educators: early findings of a cross national project.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Children's Rights, 1(2), 165-188. doi:10.1163/157181893X00043
  42. Katz, L. G. (1972). Developmental stages of preschool teachers.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73(1), 50-54. doi:10.1086/460731
  43. Koo, M. H., & Hwang, S. (2014). 유아교사의 유아인권에 관한 인식 변화 연구. 한국위기관리논집, 10(7), 119-137.
  44. Shier, H. (2001). Pathways to participation: Openings, opportunities and obligations. Children & Society, 15(2), 107-117. doi:10.1002/chi.617
  45. Sinclair, R. (2004). Participation in practice: Making it meaningful, effective and sustainable. Children & Society, 18(2), 106-118. doi:10.1002/chi.817
  46. Stern, R. (2006). The child's right to participation - Reality or rhetoric?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ppsala University, Uppsala, Sweden.
  47. Wall, J. (2011). Can democracy represent children? Toward a politics of difference. Childhood, 19(1), 86-100. doi:10.1177/09075682114067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