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2). 5세누리과정: 교사용지침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 강인숙, 이희경 (2016). 유아교사의 인성과 전문성 발달이 영유아 권리존중 실행에 미치는 영향.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20(4), 49-66.
- 강진주, 고은경 (2018). 유아의 참여권 신장을 위한 교육적 접근으로써 기록화의 가능성: 기록화에서 유아의 참여 역할에 관한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3), 751-774. doi:10.22251/jlcci.2018.18.3.751
- 구미향, 황소영 (2014). 유아교사의 유아인권에 관한 인식 변화 연구. 한국위기관리논집, 10(7), 119-137.
- 김민환 (2016). 수업에 관한 저경력 교사들의 인식과 실행 과정상의 주요 문제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3), 335-358.
- 김정래 (1999). 아동권리협약 채택 10주년과 한국 아동의 권리. 아동과 권리, 3(2), 7-11.
- 김정화 (2014). 유아교사의 유아권리인식과 유아권리존중 실행에 관한 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5(3), 343-364.
- 김정화 (2017). 유아 권리관련 연구동향 분석. 아동교육, 26(4), 185-206. doi:10.17643/KJCE.2017.26.4.10
- 김진숙 (2009).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의 의미와 실행수준. 숙명여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진숙, 서혜정 (2011). 유아교실에서 유아권리 존중을 위한 실행연구.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5(2), 51-79.
- 김태윤, 김미숙 (2018). 보육교사의 전문성 발달수준이 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보육교사의 유아권리인식 매개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 108, 97-122.
- 김현자 (2008). 유아교사 전문성 관련 논의의 접근방법과 내용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3(5), 197-221.
- 김현진, 신은수 (2008). 보육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에 대한 연구: 교사의 개인적 변인(연령, 학력 및 전공, 자격유형, 과거 직업유형)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25(3), 239-259. doi:10.24211/tjkte.2008.25.3.239
- 김호현, 장희선 (2017). 영유아교사의 영유아 권리침해 인식의 모호성과 그 근거에 관한 혼합연구. 유아교육학논집, 21(2), 169-194.
- 대한민국정부 (2017). 제5.6차 유엔아동권리협약 국가보고서. http://incrc.org/column/?uid=12&mod=document&pageid=1에서 2018년 5월 12일 인출.
- 문선화 (2015). 한국사회에서의 아동의 발달권. 동광, 110, 3-38.
- 배송희 (2010). 유아권리 교육을 통한 보육교사의 성찰과 영유아의 이미지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서영숙, 서혜정, 김진숙 (2009). 유아권리와 권리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요구 분석.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3(3), 213-232.
- 신은정 (2016).경력에 따른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자기결정성이 유아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7(4), 511-535. doi:10.22154/JCLE.17.4.22
- 양순경 (2012). 유아권리에 대한 교사의 의식에 관한 연구. 아동교육, 21(2), 181-196.
- 유니세프한국위원회, 한국아동권리학회 (2014). 한국 아동의 놀권리 현주소와 대안. 서울: 사단법인 유니세프한국위원회.
- 유니세프한국위원회 (n.d.). 유엔아동권리협약. http://www.unicef.or.kr/education/outline_01.asp에서 2018년 5월 10일 인출.
- 유해미, 김은설, 황옥경, 김재원 (2011). 육아지원기관에서의 아동권리 실태와 증진방안 연구.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 윤진희 (2006).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아동권리에 대한 교원과 학부모의 인식과 실천에 관한 모형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명순, 이은주 (2013). 아동권리에 대한 보육교사와 부모의 인식 및 이행수준. 아동과 권리, 17(2), 265-284.
- 이미숙 (2010). 영유아 인권 및 인권교육에 대한 실태 및 교사 인식 분석.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영애, 곽정인 (2013).영유아권리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11), 988-1003. doi:10.5392/JKCA.2013.13.11.988
- 이용교 (2004). 영유아보육시설과 유아교육기관에서 영유아의 참여권의 신장방안. 아동과 권리, 8(2), 169-188.
- 이유미, 안지혜 (2014a).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행 간 차이 분석.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8(4), 569-591.
- 이유미, 안지혜 (2014b). 유아교사의 전문성이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8(3), 239-259.
- 이은영 (2001). Katz의 교사 발달단계에 따른 유아교사의 전문성.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혜경 (2010). 유아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경력교사들의 인식. 유아교육학논집, 14(5), 287-314.
- 장원주, 이화도 (2017). 유아인권교육관련 연구동향 분석 - 2000년부터 2016년까지 학회지 논문을 중심으로. 아동교육, 26(2), 327-347. doi:10.17643/KJCE.2017.26.2.16
- 정진이 (2014). 보육교사의 인권의식 및 민감성과 영유아 학대 인식 간의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조숙영, 원혜경 (2016). 유아교사의 유아권리인식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11), 1165-1185. doi:10.22251/jlcci.2016.16.11.1165
- 주한수 (2005). 초등학교 아동의 인권교육에 대한 교사인식 분석.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황옥경 (2010). 아동권리교육의 실태 분석. 아동과 권리, 14(4), 677-706.
- Abalo, J., Varela, J., & Manzano, V. (2007). Importance values for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A formula for spreading out values derived from preference ranking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60(2), 115-121. doi:10.1016/j.jbusres.2006.10.009
- Dahlberg, G., Moss, P., & Pence, A. (2007). Beyond qual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Languages of evaluation (2nd ed.). NY: Routledge.
- Hart, R. A. (2008). Children's participation: The theory and practice of involving young citizens in community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care. NY: Earthscan.
- Hart, S. N., & Zeidner, M. (1993). Children's rights perspectives of youth and educators: early findings of a cross national project.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Children's Rights, 1(2), 165-188. doi:10.1163/157181893X00043
- Katz, L. G. (1972). Developmental stages of preschool teachers.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73(1), 50-54. doi:10.1086/460731
- Koo, M. H., & Hwang, S. (2014). 유아교사의 유아인권에 관한 인식 변화 연구. 한국위기관리논집, 10(7), 119-137.
- Shier, H. (2001). Pathways to participation: Openings, opportunities and obligations. Children & Society, 15(2), 107-117. doi:10.1002/chi.617
- Sinclair, R. (2004). Participation in practice: Making it meaningful, effective and sustainable. Children & Society, 18(2), 106-118. doi:10.1002/chi.817
- Stern, R. (2006). The child's right to participation - Reality or rhetoric?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ppsala University, Uppsala, Sweden.
- Wall, J. (2011). Can democracy represent children? Toward a politics of difference. Childhood, 19(1), 86-100. doi:10.1177/09075682114067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