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Effectiveness of NCS Mathematics Ability Course in Junior College

전문대학에서 NCS 수리능력 수업의 효과성 분석

  • Received : 2018.01.29
  • Accepted : 2018.03.26
  • Published : 2018.06.30

Abstract

Junior college students in located Eup-Myeon areas commonly fail to meet the basic standards of mathematics. This leads students to lack basic knowledge and to have difficulties in studying their majors. In addition, students often lose their interest in the study and eventually leave school or drop out, while some have difficulties in their life at work. To remedy and solve these problems, the country propose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The basic occupational competencies proposed in NCS are essential occupational abilities required to successfully perform the job. I want to apply mathematical ability, which is one of the basic occupational competencies, to mathematics education of junior college. Applying NCS mathematical ability to junior college students, I would like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NCS mathematical ability cour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way of education of desirable mathematical ability and to raise basic academic ability and interest in mathematics.

읍면지역의 전문대학 학생들은 공통적으로 수학의 기초학력 부족을 겪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전공의 기초지식이 부족하여 전공학습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그리고 학업에 흥미를 잃어 결국 휴학이나 자퇴를 하는 경우가 많거나 취업을 하여도 직장생활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 해결하고자 국가에서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제안하고 있다. NCS에서 제안하는 직업기초능력은 직종이나 직위에 상관없이 대부분의 직종에서 직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는데 필요한 능력이다. 이러한 직업기초능력 중 하나인 수리능력을 전문대학의 수학교육에 적용시키고자 한다. NCS 수리능력을 전문대학 학생들에게 적용하였을 경우, NCS 수리능력 수업의 효과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바람직한 전문대학 수리능력의 교육방향을 모색하고 수학의 기초학력 제고와 흥미를 유발하게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언화 (2017). 공업계열 고등학교 수학과 전기회로의 연결성에 의한 재구성교재의 효과. 석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2. 고용노동부, 한국산업인력공단 (2013).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매뉴얼. 세종: 고용노동부, 한국산업인력공단.
  3. 교육부, 한국연구재단 (2015). NCS(국가직무능력표준) 기반 교육과정 가이드라인. 세종: 교육부, 한국연구재단.
  4. 국가직무능력표준. www.ncs.go.kr
  5. 권재길, 맹보학, 이중섭, 이형수, 김경희, 배효진, 신민규, 최용하, 정재선, 권기환, 현교진 (2015). NCS(국가직무능력표준) 기반 교육과정 가이드라인. 세종: 교육부, 한국연구재단.
  6. 김미숙, 김현수, 박종성, 박윤희 (1998). 기술분야 기초직역능력 인증제도 연구. 세종: 한국직업능력개발원.
  7. 나승일 (2013). 학벌 아닌 능력중심사회를 위한 NCS 구축과 활용. 진천: 한국교육개발원.
  8. 나승일, 장석민, 서우석, 김진모, 이성 (2003). 기초직업능력 영역설정 및 표준개발. 울산: 한국산업인력공단.
  9. 나승일, 장석민, 정철영, 서우석, 김진모 (2004). 기초직업능력 표준개발(2차년도). 울산: 한국산업인력공단.
  10. 박주현, 변상석, 이애경, 송윤신, 이근우 (2010). 직무분석을 활용한 전문대학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실증적 연구. 산학경영연구, 23(1), 45.
  11. 윤수근 (2015). 직업기초능력과 직무수행능력을 통합한 전문대학 NCS 기반 교육과정 구성 탐구. 박사학위 논문. 경성대학교 대학원, 부산.
  12. 이무근, 이용환, 정철영, 배진한, 최애경, 이종성, 정태화, 나승일 (1997). 직업능력인증제 도입을 위한 정책 연구. 직업교육연구(한국직업교육학회), 16(2), 109-130.
  13. 정철영, 나승일, 서우석, 송병국, 이종성 (1998). 직업기초능력에 관한 국민공동 기본교육과정 분석. 세종: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4. 조은아, 도종훈, 박윤범 (2017). 농업계 특성화고 동물자원과 전공 교과목에 제시된 수학 관련 내용 및 이에 대한 학생들의 학습 실태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0(2), 77-89.
  15. 최원영 (2014). 대학에서 수학 클리닉의 필요성과 효과에 관한 연구 -H 대학교를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7(1), 109-121.
  16. 한국교육개발원 (2017). 교육통계연보. 진천: 한국교육개발원.
  17. 한국산업인력공단 (2016). 직업기초능력 프로그램 수리능력. 울산: 한국산업인력공단.
  18. 허영준, 김기홍, 박동열, 전승환 (2014). 능력중심사회 구현을 위한 직업교육훈련체제 개편 방안 연구. 세종: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9. 홍장용 (2012). 특성화 전문계고등학교 학생들의 수학교과 학업실태 조사. 석사학위 논문. 국민대학교 대학원, 서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