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mandatory insurance for aircraft operators

항공보험 가입의무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8.11.30
  • Accepted : 2018.12.26
  • Published : 2018.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reasonable and concrete standard for the Korean aviation insurance compulsory subscription system. Through this, we aim to improve the current revision of laws and regulations, and ultimately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the safety and property of the Korean people who use aircraft with appropriate aviation insurance can be secured. In particular, by reviewing the aviation business law and its new laws and regulations enacted in 2017, the legislative improvement direction of aviation insurance will be proposed. In order to maintain the continuous growth of the air transportation industry and to make amicable compensation for the victim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otal accident, instantness, and giganticness of air accidents in which a lot of people and property are lost in the event of an accident, adequate insurance coverage is essential. In this respect, the compulsory insurance to amend the principle of freedom of contract, which is the great principle of the modern judicial system, will be persuasive. However, in comparison with foreign legislation, the legal provisions on Korea's obligation to comply with aviation insurance need to be revised around the following issues: First, it is reasonable to enforce the regulation of the mandatory aviation insurance by legislation from the Congress not by administrative regulations. Because it will force the monetary obligations of the individual such as common air carriers. Second, our law regulations respond to various kinds of air damages by using the phrase "limit of liability stipulated in international conventions". However, as we have seen in the text, the range of compensation are various according to the use of legal instruments in international conventions such as the Montreal Convention, which governs the compensation of passengers for damages to passengers today. Third, in countries with narrow territories, such as Korea, there are big differences in flying time and insurable risk between domestic and international transport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ivide domestic transportation and international transportation even in the obligation to join the insurance. This dual discipline has the advantage for rookies in air carrier market who mainly start their business from domestic service. Fourth, according to Korean law, the regulations of automobile loss insurance is applicable to the aviation mandatory insurance of unmanned aerial vehicle accident which is lack of persuasion. In the future, it will be appropriate to discipline insurance for unmanned aerial vehicles with unlimited potential for development from a long-term perspective.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항공보험 의무가입제도의 현황을 파악하고 외국 입법례와의 비교를 통해 우리 실정에 알맞은 합리적이고 구체적인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현행 법령의 개정방향을 밝혀 개선을 유도하고 궁극적으로 적절한 항공보험으로 항공기를 이용하는 우리 국민의 안전과 재산이 담보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2017년 새롭게 시행된 항공사업법과 그 하위법령을 검토함으로써 향후 항공보험에 관한 입법적 개선방향을 제시하고 이로써 입법적 오류, 시행착오 등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사고 발생 시에 수많은 인명과 재산이 손실되는 항공사고의 전손성, 순간성, 거대성이라는 특성을 감안할 때 항공운송산업의 지속적 성장을 유지하고 피해자를 위한 원만한 배상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항공운송인에 의한 적절한 항공보험의 가입과 유지가 필수적이다. 이런 측면에서 근대 사법체계의 대원칙인 계약자유의 원칙을 수정하는 항공보험 가입의무의 강제가 설득력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다만 외국의 입법례와 비교하여 우리나라의 항공보험 가입의무에 관한 법규정은 다음과 같은 쟁점들을 중심으로 재정비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본다. 첫째, 항공운송인에 대해 적절한 수준의 항공보험의 가입과 유지를 강제하는 것은 국가의 개인에 대한 금전적 의무를 강제하는 성격을 가지게 되므로 시행규칙이 아닌 본법에 규정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은 규정의 태도는 다른 외국의 입법례에서 흔히 목격되는 사항이다. 둘째, 우리 법 규정은 "국제협약에서 규정하는 책임한도액"이라는 문구를 사용함으로써 여라 가지 다양한 경우의 항공손해배상에 대응하고 있다. 하지만 본문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국제협약 중에서 어떠한 수단(legal tools)이 사용되는가에 따라 배상범위가 달라지는 점, 오늘날 승객에 대한 손해배상을 규율하는 몬트리올 협약은 항공운송인의 과실이 있는 경우 그 책임한도액이 철폐된 점, 책임한도액이 철폐된 점, 그리고 지상 제3자의 손해에 관한 로마협약체계에는 우리나라가 가입하고 있지 않은 점 등을 고려할 때 "국제협약에서 규정하는 책임한도액"은 더 이상 만병통치약이 되지 못한다. 셋째, 우리나라와 같이 좁은 영토를 가진 국가에서는 국내운송과 국제운송이 비행시간이나 거리에서 큰 차이가 있다. 따라서 항공보험 가입의무에 있어서도 국내운송과 국제운송을 나누어 규율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본다. 이러한 이중적 규율은 항공운송업에 새롭게 진출하고자 하는 신생 항공사에게 국제운송과 같은 필요 이상의 보험가입을 강제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넷째, 무인비행장치의 사고에 따른 항공보험에 자동차손해보험을 준용하는 것은 무인비행장치 사고에 관한 특성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향후 무한한 발전가능성을 가진 무인비행장치에 관한 보험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일반적인 항공보험과 분리하여 규율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두환, "몬트리올 조약에 있어 국제항공여객운송인의 손해배상책임", 항공우주법학회지 제18호, 한국항공우주법학회, 2003.
  2. 김선이. 정다은, "항공보험에 관한 약간의 고찰 - 항공보험의 담보범위를 중심으로 -", 항공우주법학회지 제25권 제2호, 한국항공우주법학회, 2010.
  3. 김종복, "New Warsaw Convention: Montreal Convention 1999 소개", 항공우주법학회지 제17, 한국항공우주법학회, 2003.
  4. 김종복, "상법 항공운송편 제정의 필요성과 방향에 관한 고찰", 인하대 법학연구 제11집 제1호,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08.
  5. 김학만. 주기종, "항공보험에 있어서 제3자책임보험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 제17권, 한국법학회, 2004.
  6. 박길준. 송승헌, "항공배상책임보험에 관한 고찰", 비교사법 제11권 4호, 한국비교사법학회, 2004.
  7. 박종화, "재난 관련 피해보상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 정책성보험 및 의무보험을 중심으로", 한국조세재정연구원 세미나자료 2014권 1호, 한국조세재정연구원, 2016.
  8. 성연영, "항공공제제도의 도입 방안 연구", 항공진흥, 2016.
  9. 이창재, "항공사고에 관한 미국 해사법정관할", 항공우주정책. 법학회지 제31권 제2호, 한국항공우주정책. 법학회, 2016.
  10. 이태희, "한국에서의 항공법 및 항공보험 발전추이와 당면과제", 항공법학회지 제4권, 한국항공법학회, 1992.
  11. 전무부, "우리나라 민항기 추락사고 실태와 항공보험의 제 문제", 국제무역연구 제8권 1호, 2002.
  12. 정다은, "2009 몬트리올 협약에서의 제3자 배상책임보험에 대한 고찰", 항공진흥, 2012.
  13. 정재중, "한미간 항공화물운송에 관한 공통조약관계의 존재 여부 - Chubb & Son, Inc. v. Asiana Airlines (2nd Cir. 2000) 및 미국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 항공우주정책. 법학회지 제16권, 한국항공우주정책. 법학회, 2002.
  14. 최창희, "드론보험의 전망과 과제", KiRi Weekly (보험연구원) 제396호, 2016.
  15. 항공진흥협회 발간, 항공시장동향 제55호, 2017.
  16. 항공진흥협회, "항공보험 실태조사 및 관리방안 연구"(2015. 12. 국토교통부 연구용역 보고서).
  17. R. D. Margo, Aviation Insurance (London: Butterworth, 1980).
  18. Wells and Chadbourne, Introduction to Aviation Insurance and Risk Management, Krieger Publication(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