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데이터와 감성분석을 이용한 대학평판시스템

The College Reputation System using Public Data and Sentiment Analysis

  • 김은아 (한국폴리텍대학 인천캠퍼스 / 컴퓨터정보과) ;
  • 이연식 (국립군산대학교 / 컴퓨터정보통신공학부)
  • 투고 : 2018.03.12
  • 심사 : 2018.03.30
  • 발행 : 2018.03.31

초록

현대 사회는 인터넷과 SNS를 통해 발생하는 복합적이며 대량의 데이터를 수집 집계 분석하는 빅데이터 처리 기술이 여러 분야에서 요구되고 있다. 그 중 대표적인 활용분야가 기업이나 대학에 대한 평판을 평가하는 평판시스템이다. 대학평판을 측정하고 수치화하기 위해서는 공정하고 객관적인 자료와 효율적인 데이터 처리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공공데이터 지표를 활용하여 정량지수를 구하였고, 뉴스 기사를 활용한 감성분석을 통해서 정성지수를 구한 후 혼합 대학평판 지수를 산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대학평판을 측정하기 위하여 정량지수로 객관성을 확보하면서 감성적 평판을 반영한 혼합 대학평판 지수를 산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혼합 대학평판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Modern society is increasingly demanding in many areas of big data processing technology to collect, aggregate, and analyze large amounts of data over the Internet and SNS. A typical application is to evaluate the reputation of a company or college. To measure and quantify a reputation, fair and precise data and efficient data processing are very important. For this purpose, a quantitative quotient was obtained using public data, a qualitative quotient was obtained through sentiment analysis using news articles, and a complex college reputation quotient was calculated. In this paper, a complex college reputation quotient was calculated based on the quantitative index, reflecting the sentimental reputation, and based on the proposed mixed university system. In this paper, the Complex College Reputation System(CCRS) was proposed, which produced the Complex College Reputation Quotient with an objective quantitative quotient and qualitative quotient reflecting the sentimental reputation to measure the college reput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문송철, 안연식, "스마트폰 가치의 사용자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융합보안학회, 제11권 3호, pp55-66, 2011.6.
  2. 이진형, "데이터 빅뱅, 빅 데이터(BIG DATA)의 동향", 방송통신전파저널, 2012
  3. 박흥식, "평판관리", 커뮤니케이션스, 2016.
  4. Formburn. C. & Shanley, "What's in a name? Reputation building and corporate strategy", Academy of Managing Journal. 33(2), p233-258, 1990.
  5. Formburn. C. & C. Van Rie. "The Reputational landscape", Corporate Reputation Review,1(1), p5-13, 1997. https://doi.org/10.1057/palgrave.crr.1540008
  6. 박슬라 역, "디지털 평판이 부를 결정한다", 중앙북스, 2015.
  7. 이원준,"대학의 종합적 이미지 인식 측정을 위한 실증적 연구",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2015.
  8. 양민혁 외 3인,"SNS 데이터를 활용한 국내대학 인식 및 선호도 분석", 한국빅데이터서비스학회 논문지(1/1), 2014.
  9. 송필준, 김종태, "대학 평가지표들에 대한 상관분석과 변수선택에 의한 선형모형추정", 한국데이터 정보과학회지, 2012.
  10. 홍연웅, "공공데이터 이용 활성화를 위한 정책에 관한 연구",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014.
  11. IDG, "감성분석의 이해", IDG Tech Report, 2014.
  12. http://word.snu.ac.kr/kosac/index.php
  13. http://konlpy.org/ko/latest/#a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