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과 sns를 이용한 마약거래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rug trading countermeasures via internet and sns

  • 박호정 (건양대학교 국방경찰행정학부)
  • 투고 : 2018.02.28
  • 심사 : 2018.03.30
  • 발행 : 2018.03.31

초록

인터넷과 sns를 이용한 일반인들의 마약거래가 급증하고 있어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일반인들의 마약수요를 억제하기 위하여 사전에 마약 관련 정보를 제공하여 마약범죄를 예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일반인들은 인터넷과 sns를 이용한 마약거래를 하더라도 적발가능성이 낮다고 판단하여 인터넷과 sns를 이용한 마약거래를 하게 된다. 따라서 인터넷과 sns를 이용한 마약거래의 적발가능성이 높다고 일반인들이 인식하게 한다면 인터넷과 sns를 이용한 마약거래는 감소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통제배달기법규정의 구체화와 위장수사제도의 도입을 통해 인터넷과 sns를 이용한 마약거래의 적발가능성을 높인다면 일반인들이 쉽게 인터넷과 sns를 이용한 마약거래를 할 수는 없을 것으로 본다. 이와 함께 마약범죄 처벌규정을 세분화하여 단순마약구매자에 대하여는 처벌보다는 치료위주의 처우를 통해 마약수요를 억제하고 마약공급자에 대한 처벌규정은 강화해야 한다. 마약류 대부분이 해외에서 밀반입되므로 외국에서 마약이 공급될 수 없도록 마약정보의 공유시스템을 구축하고 마약공급국가와 공조와 검색체계의 강화를 통해 인터넷과 sns를 이용하여 국내이용자가 해외에서 들여오는 마약공급을 사전에 차단해야 할 필요가 있다.

The drug trade among the general public via the Internet and sns have been increasing, which is becoming a social problem. The general public believe that even if they do the drug trade via the Internet and sns the probability of detection is low. so they will conduct drug trade via the Internet and sns. Therefore, if the general public recognize that there is a high likelihood of disclosure, drug trade via the Internet and sns are likely to decline. If the possibility of punishment increases through specification of controlled delivery techniques and Introduction of entrapment investigator, it seems that the general public can not easily deal with drug trade via the Internet and sns. Also by further subdividing the penalties for drug offenses, for simple drug buyers through cure-oriented treatment rather than punishment drug demand be suppressed and penalties for drug suppliers should be strengthened.

키워드

참고문헌

  1. 관세청, 2016년도 마약류밀수동향, p.28, 2017.
  2. 마약구입 인터넷.sns로 확산.. 최근 5년간 지속증가, 뉴시스, 2017.7.17.
  3. 관세청, 2016년도 마약류밀수동향, p.28, 2017.
  4. 관세청, 2016년도 마약류밀수동향, p.29, 2017.
  5. 검찰청, 마약류 범죄백서 2016, p.34, 2017.
  6. 비트코인이 역풍맞은 이유? 마약거래 춤추게 하는 화폐, 아주경제, 2017.12.27
  7. 지난해 마약사범 '역대 최다'...sns.인터넷 거래급증, 한겨레, 2017.9.4
  8. SNS에 '아이스' '작대기'... 법망 비웃는 마약 광고, 파이낸셜 뉴스, 2017.12.2
  9. 이경렬, 국제조직범죄에 대한 통제배달기법의 활용: 특히 국제마약사범을 중심으로, 247면. 형사정책연구 57권 제1호, 2004.
  10. 심의기, 세관직원의 국제우편물 개봉.시료채 취와 수사기관의 통제배달, p.51, 비교형사법 연구 제16권,제2호, 2014. 12.
  11. 이경렬, 국제조직범죄에 대한 통제배달기법의 활용: 특히 국제마약사범을 중심으로, p. 249. 형사정책연구 57권 제1호, 2004.
  12. 도심서 대마 재배...비트코인 받고 '딥웹'에 판매한 일당 적발, 중앙일보, 2017.9.11
  13. 마약 청정국가라면서... 커피숍.거리에서도 약물 거래, 한국일보, 2018.1.17
  14. 스마트폰 채팅앱 통해 필로폰 거래까지...경북경찰청 마약사범 26명 검거, 경향신문, 2017.6.14.
  15. 비트코인이 역풍맞은 이유? 마약거래 춤추게 하는 화폐, 아주경제, 2017.12.27.
  16. 박근숙, 사이버공간에서 함정수사 기법에 관한 연구, p.19,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17. 예상균, 마약수사에서의 함정수사기법 고찰, 한양법학 제28권 제4집, p. 245, 한양법학회, 2017.11.
  18. 윤태영, 초국가적 위협 및 테러리즘 증가와 통합국경안보체계 구축:미국, 캐나다, 호주를 중심으로, 융합보안 논문지 제17권 제4호, p.76, 한국융합보안학회, 2017.10.
  19. 예상균, 마약수사에서의 통제배달기법고찰, p.6 법과정책연구 제15집 제2호, 한국정책학회, 2015. 6.
  20. 심의기,세관직원의 국제우편물 개봉.시료채취와 수사기관의 통제배달, p.66, 비교형사법연구 제16권,제2호, 2014.12.
  21. 이경렬.이종하, 국제마약사범에 대한 특수수사방법연구, p.301,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4. 12.
  22. 심희기, 세관직원의 국제우편물 개봉.시료채취와 수사기관의 통제배달, p.67, 비교형사법연구 제16권 제2호, 2014. 12.
  23. 신의기외 5인, 마약 및 조직범죄의 형사정 책적 현안과 종합적 대응방안, p.285,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6. 12.
  24. Gray T. Marx : Police:undercover Tactics, in: Encycopedia of Crime and Justice, vol. 3, p.1156-1157.
  25. 도중진, 조직범죄의 유형변화와 대처방안, p.106,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4. 2.
  26. 신의기, 마약류규제를 위한 국제협력체제 구축방안, p.208,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4.
  27. 중국형사법, 법무부 형사법제과, p.126-130, 2008.
  28. 남선모, 마약류중독범죄의 확산방지를 위한 효과적 대책, p.41. 교정연구 제6호, 2014.
  29. 윤태영, 초국가적 위협 및 테러리즘 증가와 통합국경안보체계 구축:미국, 캐나다, 호주를 중심으로, 융합보안 논문지 제17권 제4호, p.76, 한국융합보안학회, 201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