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aircraft ownership and air business control requirement in Korea

항공운송사업자의 국적 제한에 관한 고찰

  • Received : 2018.05.30
  • Accepted : 2018.06.27
  • Published : 2018.06.30

Abstract

The air transportation industry is a field where control and interference of the state are generalized compared to other industries. However, the premise for national intervention in the air transportation industry is the determination of the nationality of the aircraft or airline company concerned. This is because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distinction between the domestic and foreign carriers so that they can exercise airspace sovereignt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the current status and contents of Korean law and regulations on the determination of nationality with the foreign legal system. To this end, the starting point of the discussion is to look at the history of nationality restrictions on the US air transport industry and the issues that arise in the content and operation of the system today. In addition, this paper examined the provisions of the Japanese aviation law, which is very similar to that of Korea, and then compared the current legal provisions of the United States, Japan and Korea. As a conclusion, this paper sought the direction of revision of the Korean law on the basis of the foreign status of the restriction of nationality in the air transportation industry. Compared with our law, the US and Japan are generally regarded to be more concerned with the contents of their own airline companies than those of foreigners or non-citizen.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re are many laws and regulations in the United States regarding the de facto dominance of domestic airline companies by foreigners, there have been a lot of controversies in this matter. By the way, Japan has been stipulating regulations on holding companies and affiliated companies. In the global era, it would be meaningful to check the status of the nationality restrictions in the aviation industry, which is based on internationality. I hope that this study will be able to build a legal institutional basis for Korea's aviation industry development from a reasonable protectionist point of view rather than a narrow nationalism in a rapidly changing era.

항공운송산업은 여타 산업에 비해 국가의 통제와 간섭이 일반화된 분야이다. 그리고 항공운송산업에 관한 국가의 개입을 위한 전제는 해당 항공회사의 국적 확정이다. 자국 항공사와 외국 항공사의 구분이 명확히 되어야 비로소 영공주권도 행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항공운송산업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 국적확정에 관한 우리나라 법률규정의 현황과 내용을 외국의 법률제도와 비교하여 검토할 목적으로 기술되었다. 이를 위해 우선 미국의 항공운송산업에 관한 국적 제한의 역사와 오늘날 그 제도의 내용 및 운영에 있어서 발생된 여러 쟁점들을 살피는 것을 논의의 출발점으로 정하였다. 나아가 본 논문은 우리나라와 법제도적인 측면에서 유사성이 있는 일본 항공법의 규정도 살펴보았으며, 이를 토대로 미국과 일본 그리고 우리나라의 현행 법률규정을 비교하고 그 시사점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항공운송산업에서의 국적제한규정에 관한 외국의 현황을 바탕으로 우리 법률의 개정방향을 모색하였다. 우리법과 비교할 때 미국이나 일본은 대체로 자연인이 외국인 보다는 외국기업의 자국 항공회사 관련내용을 보다 중시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외국인에 의한 자국 항공회사의 사실상 지배에 관하여 미국에서 법률상 명문규정을 두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논쟁이 있었던 점이나, 일본에서 지주회사에 관한 규정을 마련하고 있는 점에서 그러하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사실상 지배에 관한 내용은 지나치게 작게 규정하면서, 외국인 임원영입을 원천적으로 금지하는 규정을 두고 있다. 더욱이 상법상의 용어가 아닌 기업실무상의 '임원'이라는 용어를 사용함으로써 자칫 항공산업에서 우수한 외국인 인재를 유치하는데 걸림돌로 작용할 여지마저 두고 있다. 한편, 요즘 우리나라의 항공 산업이 세간의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항공회사 경영층의 부적절한 언행으로 논란이 촉발되었고, 그 와중에 회자되는 뜨거운 쟁점 중의 하나가 바로 항공회사의 국적, 보다 자세하게는 항공회사에서의 외국인 임원의 인정여부에 관한 문제이다. 이와 관련하여 일각에서는 외국인의 항공사업 참여를 전면적으로 제한하는 내용의 입법을 검토하는 움직임도 있다고 한다. 오늘날은 각 분야에서 국가 간의 교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고, 항공산업도 예외가 아니다. 이러한 글로벌 시대에 국제성을 본질로 하는 항공산업에서 국적제한 규정의 현황을 점검해 보는 것은 의의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가 급변하는 시대에 편협한 국수주의가 아닌 합리적인 보호주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항공산업 발전을 위한 법제도적 토대를 미력하나마 구축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Keywords

References

  1. 서명선.조주은, "항공자유화정책상 상용고객우대제도의 제휴 성과와 국제경쟁에 관한 연구", 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제25권 2호,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 2010. 12.
  2. 이철송, 회사법강의, 제23판, 박영사, 2015.
  3. 이창재, "일반항공에서의 제조물책임에 관한 연구", 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제29권 제2호,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 2014. 12.
  4. 최준선, 회사법, 제13판, 삼영사, 2018.
  5. 홍순길, "공(空)의 자유와 AIR CABOTAGE - 법적 개념과 그 확대적용의 제문제 -", 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제4권,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 1992.
  6. Destiny Scott, United States Ownership, Control and Charter Restrictions: Maritime Coastwise Trade Laws vs. Aviation Laws, Journal of Transportation Law, Logistics & Policy. 2nd Quarter 2014, Vol. 81 Issue 2.
  7. John C. Cooper, National Status of Aircraft, 17 J. Air L. & Com. 292, 292(1950).
  8. Joseph W. Hardy, Overcoming U.S. Citizenship Hurdles for Aircraft Financiers, 72 J. Air L. & Com. 369 (2007).
  9. Kirsten Bohmann, The Ownership and Control Requirement in U.S. and European Union Air Law and U.S. Maritime Law-Policy; Consideration; Comparison, 66 J. Air L. & Com. 689, 695 (2001).
  10. Major Stephen M. Shrewsbury, September 11th and the Single European Sky: Developing Concepts of Airspace Sovereignty, 68 J. AIR L. & COM. 115, 118 (2003).
  11. Peter Francis Humcle, The Withering of Foreign Ownership Restrictions and the Rise of Competition in the North American Airline Industry, Institute of Air and Space Law, McGill University, 73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