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Reform Proposal of Involuntary Commitment Law Under the Revised Mental Health Act of 2016 - as well as of Article 947-2 (2) of Civil Code -

개정 정신건강복지법상 비자의입원 규제에 대한 입법론적 고찰 - 민법 제947조의2 제2항의 검토를 겸하여 -

  • 이동진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 Received : 2018.09.12
  • Accepted : 2018.09.27
  • Published : 2018.09.30

Abstract

Under the Korean law, there are two routes of involuntary civil commitment of the mentally-ill: involuntary commitment process under the Mental Health Act (MHA) and the guardian's commitment backed up by family court approval under article 947-2 (2) of the Civil Code. Despite of the recent fundamental revision of MHA in 2016, the Korean involuntary commitment law has still serious flaws, especially the lack of due process like prior notice, hearing, and independent guardian ad litem for the mentally-ill, which has been pointed out also by the Korean Constitutional Court. Thus, a re-revision is inevitable, and this time, we should proceed to rebuild the underlying structure of involuntary commitment. In this regard, it is crucial to eliminate the old-fashioned and unjustifiable burden as well as power of the so-called responsible person to protect the mentally-ill and to readjust the causes and standings to petition of the various types of involuntary commitment process. Also it is necessary to repeal involuntary commitment by guardian under the Civil Code, article 947-2 (2), which can no longer harmonize with modern involuntary commitment system.

정신보건법은 1995년 제정되어 2016년 정신건강복지법으로 전면개정되었다. 일련의 개정을 통하여 기왕에 제기되어온 문제 중 상당 부분이 해결되기는 하였으나, 기존의 틀을 유지한 채 대증요법으로 일관한 결과 문제 해결의 방법이 다소 거칠고, 그로 인한 부작용도 우려된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관점에서 우리 법의 기본 틀이 어디에서 왔고, 그 근본적인 한계는 무엇이며, 비교법적 관점에서 대안과 바람직한 개선 방향은 어떠한 지를 검토하였다. 나아가 이와 체계적으로 관련되어있는 민법상 피성년후견인 입원절차(제947조의2)에 관하여도 살펴보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나경, "'정신질환자 강제입원'의 법적 문제", 인권과 정의 제418호, 2011.
  2. 김형석, "피후견인의 신상결정과 그 대행", 가족법연구 제28권 2호, 2014.
  3. 문성제, "응급의료에서 의사의 주의의무와 법적 책임", 한국의료법학회지 제19권 1호, 2010.
  4. 민의원 법제사법위원회 민법안심의소위원회 편, 민법안심의록, 1957.
  5. 박은정, "정신보건법-정신질환자의 권리장전이냐 격리수용이냐", 법과 사회 제6호, 1992.
  6. 박인환, "새로운 성년후견제 시행에 따른 신상관계법령의 정비 -의료행위에 대한 동의와 정신병원등 입원절차를 중심으로-", 재산법연구 제29권 3호, 2012.
  7. 박인환, "새로운 성년후견제도에 있어서 신상보호 -신상결정의 대항과 그 한계-", 가족법연구 제25권 2호, 2011.
  8. 박인환, "정신장애인의 인권과 지역사회통합의 관점에서 본 2016년 정신건강증진법의 평가와 과제", 의료법학 제17권 1호, 2016.
  9. 박호균, "성년후견과 의료 -개정 민법 제947조의2를 중심으로-", 의료법학 제13권 1호, 2012.
  10. 변종필, "정신질환자 격리강박과 강제입원에 대한 감금, 감금치사죄의 성부", 비교형사법연구 제18권 1호, 2016.
  11. 보건복지부.국립정신건강센터 편, 2016년 국가 정신건강현황 2차 예비조사 결과보고서, 2016.
  12. 손흥수, "정신질환자의 자살과 의료과오책임", 의료법학 제7권 2호, 2006.
  13. 송호열, "성년후견법제의 도입에 따른 의료행위와 동의권", 의생명과학과 법 제7권, 2012.
  14. 신권철, "시설수용과 감금의 모호한 경계 -형제복지원 판결과 그 이후-", 사회보장법연구 제3권 1호, 2014.
  15. 신권철, "정신질환자의 강제입원과 퇴원: 인신보호법상 구제요건을 중심으로", 저스티스 통권 제113호, 2009.
  16. 신동운, 형법각론, 2017.
  17. 신은주, "정신질환자의 강제입원제도에 대한 문제점과 그 개선방안", 한국의료법학회지 제17권 1호, 2009.
  18. 이재경, "성년후견제도에 있어서 정신질환자에 대한 의료행위와 후견인의 동의권에 관한 연구", 가족법연구 제26권 3호, 2012.
  19. 이지은, "신상 결정 대행에 대한 법원의 감독 -개정 민법 제947조의2의 해석을 중심으로-", 비교사법 제19권 1호, 2012.
  20. 전병서, "정신질환자의 강제입원", 법률신문 제2214호, 1993. 5. 6.
  21. 정규원, "정신질환자의 비자의입원에 대한 검토", 한양대 법학논총 제25집 4호, 2008.
  22. 정종섭, 헌법학원론 제11판, 2016.
  23. 정태호, "보호의무자에 의한 정신질환자 강제입원.치료제도의 위헌성", 경희법학 제51권 2호, 2016.
  24. 제철웅,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 제43조 및 민법 제947조의2 제2항에 의한 비자의입원의 상호관계", 가족법연구 제31권 1호, 2017.
  25. 제철웅,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의 시행과 치료, 입원, 퇴원 절차에서의 정신장애인 지원 방안", 서울법학 제25권 3호, 2017.
  26. 최지숙 외, 의료급여 정신질환 수가체계 개선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2015년 연구용역보고서).
  27. 하명호, "정신보건법상 보호의무자에 의한 입원", 안암법학 제36호, 2011.
  28. Anfang and Appelbaum, "Civil Commitment -The American Experience", Isr. J. Psychiatry Relat. Sci. Vol. 43, No. 3 (2006).
  29. Baumann, Unterbringungsrecht, 1966.
  30. Committee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Concluding observations on the initial repor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4.
  31. Clare, Redley, Keeling, Wagner, Wheeler, Gunn, and Holland, Understanding the Interface between the Mental Capacity Act's Deprivation of Liberty Safeguards (MCA-DoLS) and the Mental Health Act (MHA), 2013.
  32. Jackson, Medical Law. Text, Cases, and Materials, 4th ed., 2016.
  33. Less, Die Unterbringung von Geisteskanken: Eine rechtsvergleichende Kritik der Zwangseiweisung in psychiatrische Krankenhause in den USA und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1989.
  34. Lonig, Treuhand: Interessenwahrnehmung und Interessenkonflikte, 2006.
  35. Melton, Petrila, Poythress, and Slobogin, Psychological Evaluations for the Courts: A Handbook for Mental Health Professionals and Lawyers, 3rd ed., 2007.
  36. Slobogin, Hafemeister, Mossman, and Reisner, Law and The Mental Health System. Civil and Criminal Aspects, 6th ed., 2014.
  37. Treatment Advocacy Center, State Standards Charts for Assisted Treatment, Civil Commitment Criteria and Initiation Procedures by State, 2011.
  38. Washington State Institute for Public Policy, Involuntary Civil Commitments: Common Questions and a Review of State Practices, 2015.
  39. WHO Resource Book on Mental Health, Human Rights and Legislation. stop exclusion, dare to care, 2005.
  40. 大谷實, 精神保健福祉法講義 第3版, 2017.
  41. 佐々木良行, "精神上の障害のある者に対する監督義務者等の責任", 法務硏究 第14号, 2017.
  42. 星野茂, "精神保健法上の保護義務者制度をめぐる諸問題(下) - 後見制度の再検討をふまえて-", 明治大 法律論叢 第65卷1号, 1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