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mpact of Child Care Type on Infant's Developmental Outcome: Focusing on the Care Type of at Home Nurturing and Daycare Center

영아기 돌봄유형이 영아발달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가정내 돌봄과 어린이집 돌봄의 비교를 중심으로

  • 최상설 (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8.01.30
  • Accepted : 2018.03.24
  • Published : 2018.03.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ild care type on infant's developmental outcomes assessed by K-ASQ, focusing on the child-centric role of nurture policy. For this, this study categorized child care type into types including home nurturing, child care center, and subtypes of each category. The finding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first-third wave data of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PSKC) are as follows. First, the child care center experience had rather positiv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all abilities in the infants comparing to home nurturing. Second, the time of attending child care center was different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motor, communication, and personal-social skill in infanthood. Finally, the accreditation of child care showed a difference only in terms of social development of infants. In conclusion, even if the experience of using child care center has positive impact on infant's developmental level, it is still in need of improving service quality such as reinforcing accreditation system.

본 연구는 보육정책이 가진 아동 발달적 기능에 초점을 두고, 돌봄의 유형이 영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했다. 구체적으로는 돌봄의 유형을 어린이집 돌봄, 가정내 양육으로 구분하고 이를 세분화하여 각 발달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한국아동패널 1-3차년도 자료를 활용, 발달 영역 별 중다회귀방법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의 이용이 영아의 운동기능 및 언어, 사회성의 모든 발달영역에 미치는 영향이 모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린이집 이용 시기에 따라서 각 발달 영역의 수준이 차이를 보였으며, 마지막으로 어린이집 인증여부는 영아의 사회성 발달 측면에서만 그 차이가 나타났다. 종합해 볼 때, 어린이집 이용이 영아의 발달 수준에 긍정적이라고 하더라도 어린이 평가인증 강화와 같은 서비스 질 제고 방안 역시 여전히 필요해 보인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수란, 이진순(2015). 유아기 사회성 및 인지.언어 발달 영향요인 분석. 한국보육학회지, 15(3), 265-291.
  2. 김기철, 이선채(2016). 영아교사의 성인애착과 교사효능감 및 민감성이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6(4), 201-226.
  3. 김기현, 강희경(1997). 양육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대한가정학회지, 35(5), 141-150.
  4. 김선희(2000). 학령기 아동의 행동문제 유형에 따른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인과모형 탐색. 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5. 김숙령(1996). 영유아의 보육경험과 사회.정서적 발달과의 관계에 대한 재고(再考). 한국영유아보육학, 6, 23-56.
  6. 김은설 외(2009). 보육종사자의 전문성 제고 방안 연구.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7. 김한나, 서소정(2012).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애착과 영아 발달간의 관계연구: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매개효과 검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1), 307-329.
  8. 남궁수진, 최영희(2008). 보육경험 및 보육의 질과 5세 유아의 사회.정서발달과의 관계.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9(1), 45-54.
  9. 민인식, 최필선(2009). STATA 기초통계와 회귀분석. 서울: 한국STATA학회.
  10. 백지숙, 권은주(2017). 부모-유아 상호작용, 또래상호작용,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언어 및 문해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7(2), 99-114.
  11. 보건복지부(2009). 아이사랑플랜. 보건복지부.
  12. 보건복지부(2010). 전국보육실태조사. 보건복지부.
  13. 보건복지부(2013). 2013년 3월 영유아 보육.양육 지원 현황.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14. 보육통계(2010). 2010년 보육통계. 보건복지부.
  15. 보육통계(2016). 2016년 보육통계. 보건복지부.
  16. 서문희, 김혜진(2012). 2012 보육정책의 성과와 과제.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17. 서문희, 최윤경, 김문정(2011). 2011 보육정책의 성과와 과제.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18. 신애선(2017). 영아교사의 애착 및 영아의 몸짓과 영아 언어발달 간의 관계. 한국보육학회지, 17(4), 121-143.
  19. 오정순(2012). 영아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과 양육 관련 특성을 중심으로. 생애학회지, 2(2), 51-65.
  20. 이경례, 문혁준(2013). 영아보육교사의 발달지식, 교사효능감, 전문성 지원환경이 전문성 발달 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3(3), 163-182.
  21. 이경하, 서소정(2009). 영아 및 어머니의 사회인구적 특성 변인, 어머니의 양육지식, 양육효능감, 양육스트레스가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7(3), 87-102.
  22. 이기숙, 김영옥, 박경자(2005) 보육 경험과 유아의 인지 및 사회성 발달. 幼兒敎育硏究, 25(6), 255-276.
  23. 이영자, 이종숙, 이정욱(1997). 보육시설 경험이 1, 2, 3세아의 구어 및 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10, 31-74.
  24. 임명희, 박윤조(2011). 영아의 의사소통능력 및 정서발달과 영아특성변인, 어머니특성변인 간의 관계. 한국보육학회지, 11(4), 57-82.
  25. 임순화, 박선희(2010). 어머니의 사회경제적 지위, 자녀수에 따른 양육스트레스와 영아의 표현어휘 발달과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7(1), 251-278.
  26. 임현주, 최항준, 최선녀(2012). 친지의 사회적지원, 부부특성, 어머니의 양육특성이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3(2), 91-109. https://doi.org/10.5723/KJCS.2012.33.2.91
  27. 장영은(2016a). 생애 초기 보육경험과 만 4세 유아의 사회정서발달 간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4(4), 1-19. https://doi.org/10.7466/JKHMA.2016.34.4.1
  28. 장영은(2016b). 유아기 어휘발달을 예측하는 보육경험 및 가정환경의 영향력: 소득수준에 따른 분석. 한국보육학회지, 16(3), 115-139.
  29. 정미라, 권정윤, 박수경(2011). 12개월 영아의 발달과 가정환경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31(5), 371-389.
  30. 정옥분(2012). 영아 발달. 서울: 학지사.
  31. 정혜욱, 이옥형(2011). 영유아 발달의 이해. 서울: 집문당.
  32. 조현희, 이귀옥(1998). 보육 경험이 3-4세 아동의 언어 수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 16, 173-192.
  33. 조혜진, 이기숙(2004). 유아의 사회, 정서발달에 미치는 가족특성, 보육경험 및 기질 변인 분석. 유아교육연구, 24(4), 263-285.
  34. 최경숙(2000). 발달심리학: 아동, 청소년기. 서울: 교문사.
  35. 최미나, 신나나(2015). 보육경험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2), 283-310. https://doi.org/10.14698/jkcce.2015.11.283
  36. 최상설, 홍경준(2012). 아동돌봄 유형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영아기 돌봄유형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39(3), 29-57.
  37. 최윤경, 이윤진, 김세현, 나지혜(2012). 아동발달관점에서 본 육아지원기관 이용시간 고찰: 스트레스호르몬 조사를 중심으로.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38. 한국보육진흥원(2013). 인증통과 현황. http://www.kcpi.or.kr에서 2018. 1. 10일 인출.
  39. 허계형, Squires, J., 이소영, 이준식(2006). K-ASQ(한국형 Ages & Stages Questionnaires) 부모작성형 유아 모니터링 체계. 서울: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40. 현정환(2003). 보육시설 보육경험이 영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論考. 敎授論叢, 14, 581-606.
  41. Andersson, B. E.(1989). Effect of public day-care: A longitudinal study. Child Development, 60(4), 857-866. https://doi.org/10.2307/1131027
  42. Andersson, B. E.(1992). Effect of daycare on cognitive and socioemotional competence of thirteen-year old Swedish schoolchildren. Child Development. 63, 20-36. https://doi.org/10.2307/1130898
  43. Belsky, J.(1984).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A process model. Child Development, 55, 83-96. https://doi.org/10.2307/1129836
  44. Bowlby, J.(1978). Attachment and loss: Attachment(Vol.1.) Middlesex, England, Penguin.
  45. Bradley, R. H., & Vandell, D. L.(2007). Child care the well-being of children. Archives of Pediatrics & Adolescent Medicine, 161, 669-676. https://doi.org/10.1001/archpedi.161.7.669
  46. Broberg, G., Wessels, H., Lamb, M. E., & Hwang, C. P.(1997). Effects of daycare on the development of cognitive abilities in 8-year-olds: A longitudinal study. Developmental Psychology, 33, 62-89. https://doi.org/10.1037/0012-1649.33.1.62
  47. Bronfenbrenner, U.(1979).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Experiments by nature and desig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48. Buss. A. H., & Plomin, R.(1984). Temperament: Early developing personality traits. Hillsdale, NJ: Erlbaum.
  49. Clarke-Stewart, K. A.(1992). Consequence of child care-one more time: A rejoinder. In A. Booth(Ed.), Child care in the 1990s trends and consequence. NJ: Erlbaum.
  50. Egeland, B., & Hieser, M.(1995). The long-term consequences of infant day-care and mother-infant attachment. Child Development, 66, 474-485. https://doi.org/10.2307/1131591
  51. Gupta, N. D., & Simonsen, M.(2010). Non-cognitive child outcomes and universal high quality child care. Journal of Public Economics, 94, 30-43. https://doi.org/10.1016/j.jpubeco.2009.10.001
  52. Hoechle, D.(2007). Robust standard errors for panel regressions with cross-sectional dependence. The Stata Journal, 7(3), 281-312. https://doi.org/10.1177/1536867X0700700301
  53. Jacob, J. I.(2009). The socio-emotional effects of non-maternal childcare on children in the USA: A critical review of recent studies.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79, 559-570. https://doi.org/10.1080/03004430701292988
  54. Katz, L. G.(1992). Early childhood programs: Multiple perspectives on quality. Childhood Education, 69(2), 66-71. https://doi.org/10.1080/00094056.1992.10520891
  55. Kessler, R. C. et al.(2002). Short screening scales to monitorpopulation prevalence and trends in nonspecific psychological distress. Psychological Medicine, 32(6), 959-976. https://doi.org/10.1017/S0033291702006074
  56. Lekhal, R.(2012). Do type of childcare and age of entry predict behavior problems during early childhood? Results from a large Norwegian longitudina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36(3), 197-204. https://doi.org/10.1177/0165025411431409
  57. Loeb, S. et al.(2007). How much is too much? The influence of preschool centers on children's social and cognitive development. Economics of Education Review, 26, 52-66. https://doi.org/10.1016/j.econedurev.2005.11.005
  58. Love, J., & M, et al.(2003). Child care quality matters: How conclusions may vary with context. Child Development, 74, 1021-1033. https://doi.org/10.1111/1467-8624.00584
  59. Marshal, M., & Chassin, L.(2000). Peer influence on adolescent alcohol use: The moderating of parental support and discipline. Applied Developmental Science, 4(2), 80-89. https://doi.org/10.1207/S1532480XADS0402_3
  60. Mash, E. J., & Johnston, C.(1983). Perceptions of child behavior problems, parenting self-esteem, and mother's reported stress in younger and older hyperactive and normal childre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1, 86-99. https://doi.org/10.1037/0022-006X.51.1.86
  61. NICHD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1996). Characteristics of infant child care factors: Contributing to positive caregiving.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1(3), 269-306. https://doi.org/10.1016/S0885-2006(96)90009-5
  62. NICHD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2003). Does quality of childcare affect child outcomes at age 4X1/2? Developmental Psychology, 39, 451-469. https://doi.org/10.1037/0012-1649.39.3.451
  63. NICHD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2006). Child-care effect sizes for the NICHD Study of Early Child Care and Youth Development. American Psychologist, 61, 99-116. https://doi.org/10.1037/0003-066X.61.2.99
  64. Shaffer, D. R.(2002). Developmental psychology: Childhood and adolescence. CA: Wadsworth Thomson Learning.
  65. Thelen, E.(1990). Dynamical systems and the generation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J. Colombo & J. Fagen(Eds.), Individual differences in infancy: Reliability, stability, prediction. NY: Lawrence Earlbaum Associa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