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의복소비가치가 프리미엄급 린넨의류의 사용유용성과 용이성 및 신제품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lothing Consumption Value on Usefulness, Ease of Use and New Product Acceptance Intention of Premium Linen Apparel

  • 조현선 (한양여자대학교 섬유패션디자인학과) ;
  • 김찬호 (한양여자대학교 섬유패션디자인학과)
  • Cho, Hyeon-Seon (Dept. of Textile Fashion Design, Hanyang Women's University) ;
  • Kim, Chanho (Dept. of Textile Fashion Design, Hanyang Women's University)
  • 투고 : 2018.02.05
  • 심사 : 2018.06.07
  • 발행 : 2018.06.30

초록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clothing consumption value, usefulness of clothing and ease of use on the new product acceptance intention of premium linen apparel.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male and female consumers, and a total of 328 responses were analyzed. Frequency,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using SPSS WIN Ver.21.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lothing consumption value was classified into five factors: social value, fashionable value, individual value, practical value and emotional value. Usefulness and ease of use were found two factors and the new product acceptance intention of premium linen apparel was found one factor. Second, all factors of clothing consumption value had a positive effect on usefulness. The higher the values of the five factors of clothing consumption value, the higher usefulness. Third, fashionable value affected ease of use, but individual value had no positive effect on ease of use. The higher the fashionable value, the higher the ease of use, but, the higher the individual value, the lower the ease of use. Fourth, all factors of clothing consumption valu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new product acceptance intention of premium linen apparel. Therefore, clothing consumption value is important to the new product acceptance intention of premium linen apparel. Moreover, usefulness and ease of use influenced the new product acceptance intention of premium linen apparel. This shows that consumers' new product acceptance intention of premium linen apparel increases if the product is they are perceived to be useful and easy to use.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난도. (2007). (사치의 나라)럭셔리 코리아 : 심층 인터뷰를 통해 알아본 대한민국 명품소비 증후군. 서울:미래의 창.
  2. 김동우. (2011). 프리미엄 브랜드의 제품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상현. (2016). 소비자 제품보유, 정보소유, 혁신성이 신제품 웨어러블 디바이스 수용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 연구. 동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선희. (1999). 의복 소비가치의 구조와 의복관여 및 유행선도력과의 관계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지혜. (2017. 4. 14). CJ오쇼핑, 15일 'VW베라왕' 모던 린넨 재킷 론칭. 아시아투데이. 자료검색일 2017. 9. 6, 자료출처 http://www.asiatoday.co.kr/ view.php?key=20170414010008889
  6. 나수임. (2004). 직장여성의 의복소비가치에 따른 패션트렌드선호경향.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6(3), 67-81.
  7. 나윤규. (2010). 확장된 기술수용모형(ETAM)을 이용한 인터넷 쇼핑몰 패션상품 구매행동 연구 : 지각된 가치와 위험 및 신뢰의 영향을 중심으로. 인터넷전자상거래 연구 10(3), 27-49.
  8. 노미진, 박현희. (2011). 신념 요인, 지각된 즐거움, 신뢰가 스마트의류 수용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의류 가격 민감도의 조절효과. 한국산업경제학회지, 24(4), 2473-2497.
  9. 문희강, 추호정. (2008). 의복소비가치가 양면적 의복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복식학회지, 58(2), 1-14.
  10. 박소정. (2014). 친환경 의류 제품에 대한 소비가치와 위험지각이 중장년층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박신영. (2017. 5. 11). 린넨셔츠 한 벌로 여는 청량한 여름, '휘게 라이프' 뭐 별건가요. 파이낸셜뉴스. 자료검색일 2017. 10. 5, 자료출처 http://www.fnnews.com/news/201705111943322754
  12. 박재환, 이준원. (2008). 소비가치가 스포츠브랜드 제품수용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7(6), 445-456.
  13. 박철. (2011). 중국소바자들의 첨단제품 수용요인에 관한 연구 -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벤처창업연구지, 6(1), 83-107
  14. 박태희, 이명희. (2003). 백화점과 시장 구매자의 의복 소비가치와 소비자 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지, 53(7), 83-94.
  15. 박한나. (2018. 4. 10). 탑텐, 36가지 아이템을 담은 리넨 컬렉션 출시. Fashion biz. 자료검색일 2018. 5. 2, 자료출처 http://www.fashionbiz.co.kr /TN/?cate=2&recom=2&idx=166218
  16. 백선영, 이선재. (2000). 청소년 소비가치가 의류제품 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복식학회지, 50(6), 59-72.
  17. 서용모, 김형준. (2011). 세대 간 및 국가 간 차이에 따른 신제품 수용태도에 대한 실증 연구: 한국과 중국 소비자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10), 405-415. https://doi.org/10.5392/JKCA.2011.11.10.405
  18. 성영신, 이지량, 신주리, 정용기. (2004). 명품 vs 대중품 브랜드 로고에 대한 소비자 심리비교: fMRI를 통한 지각, 인지 및 정서 반응. 한국광고학회지, 15(4), 249-276.
  19. 손승혜, 최윤정, 황하성. (2011). 기술수용모델을 이용한 초기 이용자들의 스마트폰 채택행동 연구. 한국언론학회지, 55(2), 227-251.
  20. 송민석, 정기만. (2017). 모바일 쇼핑환경 하에서의 서비스 품질과 사용용이성이 구매자의 만족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30(6), 975-1007.
  21. 오진숙, 김정숙. (2009). 청소년소비자의 소비가치와 환경친화적 소비행동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7(10), 13-28.
  22. 우박. (2017). 캐릭터의 기발한 귀여움이 소비자의 신제품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제품의 새로움의 조절효과.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이가나, 신수연. (2012). 20-30대 여성 소비자들의 소비가치 유형에 따른 해외 패션명품 브랜드 가방 구매행동.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4(4), 554-566. https://doi.org/10.5805/KSCI.2012.14.4.554
  24. 이동우. (2017. 5 .11). 신성통산, 프리미엄 린넨 컬렉션. EBN. 자료검색일 2017.10. 7, 자료출처 http://www.ebn.co.kr/news/view/890978
  25. 이명호, 소영진. (2015). 모바일 베이커리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과 용이성이 지속적 이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리학회지, 21(2), 171-186.
  26. 이승희, 이은옥, 우종필. (2011). 패션 T-commerce 구매의도에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확장 기술수용모형(TAM)을 중심으로, 소비자학연구지, 22(1), 93-115.
  27. 이원모. (2015). 기업 SNS 속성이 신제품 수용에 미치는 영향-브랜드 태도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e-비지니스연구지, 16(6), 335-357.
  28. 임채홍, 정석길. (2012). 소비자 제품수용 분석프로세스 연구. 디지털디자인학회지, 12(3). 351-359.
  29. 장희준. (2014). 프리미엄 견과류 제품의 특성이 소비자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산업창업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정경회, 유광길. (2009). 스포츠 신제품 수용의 혁신성, 감성적 소비가치 및 제품수용도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48(5), 197-206.
  31. 정수연, 박철. (2010). 온라인쇼핑가치가 사이트속성중요도와 쇼핑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비즈니스연구지, 11(1), 69-94.
  32. 주재우, 임수빈, 김유정. (2014). 마케팅 분야의 신제품 개발과 혁신관리에 대한 국내 연구성과 검토와 향후 연구방향에 대한 제언. 한국마케팅학회지, 29(6), 1-22.
  33. 진유, 황춘섭. (2014). 한국과 중국 20대 여성들의 의복소비가치가 럭셔리 패션브랜드 선호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도시 패션마켓을 중심으로. 유통과학연구, 12(12), 107-118.
  34. 채서일. (2006). 마케팅(4th ed.). 서울: 비앤엠북스.
  35. 채진미. (2010). 스마트 의류제품 유형에 따른 확장된 혁신기술수용모델. 한국생활과학회지, 19(2), 375-387. https://doi.org/10.5934/KJHE.2010.19.2.375
  36. 채효원. (2017. 6. 29). 유난히 덥다는 올 여름, '린넨'에 주목하자. 국민일보. 자료검색일 2017. 8. 17, 자료출처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1577638&code=61171811&cp=nv
  37. 허원회. (2012). 뉴실버세대의 디지털미디어수용과정에서 감성적 가치 요인이 미치는 영향. 서울과학기술대학교 NID융합기술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8. 황진숙, 조재정. (2012). 한국과 중국 소비자의 의복소비가치 및 패션브랜드 선호 차이. 한복문화학회지, 15(1), 57-68.
  39. Davis, F. D., R. P. Bagozzi., & P. R. Warshaw. (1989). User Acceptance of Computer Technology : a Comparison of two Theoretical Models. Management Science, 35(8), 982-1003. https://doi.org/10.1287/mnsc.35.8.982
  40. Dubis, B., & Duquense, P. (1993). The Market for Luxury Goods: Income Versus Culture.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27(1), 35-44. https://doi.org/10.1108/03090569310024530
  41. Ha, S., & Stoel, L. (2009). Consumer E-shopping Acceptance: Antecedents in a Technology Acceptance Model.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62(5), 565-571. https://doi.org/10.1016/j.jbusres.2008.06.016
  42. Im, S., Mason, C. H., & Houston, M. B.(2007). Does Innate Consumer Innovativeness Related to New Product/Service Adoption Behavior? The Intervening Role of Social Learning via Vicarious Innovativeness, Journal of Academy Marketing Science, 35(1), 63-75. https://doi.org/10.1007/s11747-006-0007-z
  43. Monroe, K. B. (1985). The effect of brand and price information on subjective product evaluations.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2(1), 89-90.
  44. Na, Y. K., & Jeong, H. Y. (2013). The effect of Fashion Leadership and Commerce Characteristics on the Acceptance Attitude of Fashion Mobile Commerc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15(1), 1-19.
  45. Nguyen, Thi Thuc. (2015). 환경 표시방식이 소비자의 신제품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해석수준의 매개 효과.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Putrevu, S., & Lord, K, R. (1994). Comparative and Noncomparative Advertising : Attitudinal Effects Under Cognitive and Affective Involvement Conditions. Journal of Advertising, 23(2), 77-90. https://doi.org/10.1080/00913367.1994.10673443
  47. Roehrich, G. (2004). Consumer Innovativeness Concepts and Measurement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7(6), 671-677. https://doi.org/10.1016/S0148-2963(02)00311-9
  48. Rogers, E. M., & Shoemaker, F. F. (1971). Communications of Innovations. New York.: A Cross-Cultural Approach.
  49. Sheth, J. N., Newman, B. I., & Gross, B. L. (1991). Why we buy what we buy : A the ory of consumption value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22(2), 159-170. https://doi.org/10.1016/0148-2963(91)90050-8
  50. Yu, J., Ha, I., Choi, M., & Rho, J. (2005). Extending the TAM for a T-commerce. Information and Management, 42(7), 965-976. https://doi.org/10.1016/j.im.2004.1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