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터치스크린 환경에서 쿼티 자판 오타 교정을 위한 n-gram 언어 모델

N-gram based Language Model for the QWERTY Keyboard Input Errors in a Touch Screen Environment

  • 옹윤지 (건국대학교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 ;
  • 강승식 (국민대학교 소프트웨어학부)
  • 투고 : 2018.03.05
  • 심사 : 2018.04.05
  • 발행 : 2018.06.30

초록

스마트폰과 태블릿PC 등 터치스크린을 활용한 휴대기기의 사용이 늘어나면서 데스크탑 컴퓨터나 노트북으로 수행하던 작업을 스마트폰과 태블릿PC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일이 많아졌다. 그런데 휴대성을 갖춰야하는 스마트기기의 특성상, 쿼티 자판은 작은 화면 안에 조밀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점은 기계식 쿼티 자판을 사용할 때와는 다른 양상의 오타가 발생하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각 버튼이 차지하는 공간이 충분했던 기계식 쿼티 자판과 달리, 터치스크린에서의 쿼티 자판은 각 버튼에 할당되는 영역이 작아 사용자가 누르려고 의도했던 버튼이 아닌 주변의 버튼이 입력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어절 유니그램과 바이그램 확률을 이용한 n-gram 언어 모델 방법으로 터치스크린 환경에서 쿼티 자판으로 입력되는 문자 입력 오류를 자동으로 교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With the increasing use of touch-enabled mobile devices such as smartphones and tablet PCs, the works are done on desktop computers and smartphones, and tablet PCs perform laptops. However, due to the nature of smart devices that require portability, QWERTY keyboard is densely arranged in a small screen. This is the cause of different typographical errors when using the mechanical QWERTY keyboard. Unlike the mechanical QWERTY keyboard, which has enough space for each button, QWERTY keyboard on the touch screen often has a small area assigned to each button, so that it is often the case that the surrounding buttons are input rather than the button the user intends to pres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automatically correct the input errors of the QWERTY keyboard in the touch screen environment by using the n-gram language model using the word unigram and the bigram probability.

키워드

참고문헌

  1. 김호식, 전재웅, 최윤철, "터치스크린 기반 스마트폰에서의 한글 입력 기법,"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8, No.1, 263-265쪽, 2011년 6월.
  2. 박경민, 최훈, 이창건, 황인태, 이칠우, ""휴대단말을 위한 지능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플랫폼," 스마트미디어저널, 제1권, 제4호, 44-51쪽, 2012년 12월
  3. N. Henze, E. Rukzio, and S. Boll, "100,000,000 Taps : Analysis and Improvement of Touch Performance in the Large," Proc. of the 13th Int. Conf. on Human Computer Interaction with Mobile Devices and Services, Stockholm, Sweden, pp. 133-142, Aug. 2011.
  4. 최철, 박세진, 김철중, 권규식, "쿼르타이 키보드에 기초한 인간공학키보드설계를 위한 오타율분석,"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42-145쪽, 2000년 4월.
  5. M. Sarwar and T. R. Soomro, "Impact of Smartphone's on Society," European J . of Scientific Research, vol. 98, no. 2, pp. 216-226, Mar. 2013.
  6. A. Lahmati, and L. Zhong, "Studying Smartphone Usage: Lessons from a Four-Month Field Study," IEEE Trans. Mobile Computing, vol. 12, issue 7, pp. 1417-1427, July 2013. https://doi.org/10.1109/TMC.2012.127
  7. 정유선, 최동민, "스마트 기기 사용자 적응형 가변 키보드,"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제 12권, 제 6호, 1167-1172쪽, 2017년 12월
  8. 권오상, "터치스크린 기반 스마트폰에서 키보드 인접 오타 정정 방식을 이용한 입력어 추천 시스템 구축,"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39권, 1호, 67-69쪽, 2012년 6월.
  9. 박승현, 이은지, 김판구, ""한글 편집거리 알고리즘을 이용한 한국어 철자오류 교정방법,"" 스마트미디어저널, 제6권, 제1호, 16-21쪽, 2017년 3월
  10. 김민호, 권혁철, 최성기, "어절 n-gram을 이용한 문맥의존 철자오류 교정," 정보과학학회논문지, 제41권, 제12호, 1081-1089쪽, 2014년 12월
  11. B. Koo and K. Chung, "Accuracy based on the Widths of the Buttons on Smartphone Touchscreens," J .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vol. 26, no. 2, pp. 127-143, May 2013.
  12. 한성숙, 최진해, 홍지영, 오의택, 김수민, 전현주, "손 크기에 따른 운지 범위를 고려한 맞춤형 터치키보드의 사용성 개선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96-200쪽, 2014년 11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