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the Industrial Linkage between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ies and Its Implications: Comparison of Seoul and Busan

지역별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상호 연관성 분석과 시사점: 서울과 부산의 비교

  • Yun, Kapsik (Department of Urban Planning & Engineering, Dong-A University)
  • 윤갑식 (동아대학교 도시계획공학과)
  • Received : 2018.05.25
  • Published : 2018.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industrial linkage between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ies in Seoul and Busan. In this paper, the industrial linkage between the manufacturing and the service industry is analyzed through input-output coefficient and production inducement coeffici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inkage of the service industry to the manufacturing in Seoul was higher than that of Busan. Second, Busan had a low input proportion of the service industry supplied by its own area to the manufacturing, so that the effect of the growth of Busan manufacturing on the regional economy is limited. Third, the linkage of manufacturing to service industry in Busan was found to be higher than that of Seoul. Finally, policy directions for improving the industrial linkage between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ies were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본 논문의 목적은 서울과 부산을 대상으로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상호 연관성 실태를 분석하고 이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투입산출계수와 생산유발계수를 통해 제조업에 대한 서비스업의 연관성과 서비스업에 대한 제조업의 연관성을 각각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서울의 주력 제조업인 소비재는 서비스업과의 연관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부산의 주력 제조업인 조립가공은 서비스업과의 연관성이 상대적으로 낮아 제조업에 대한 서비스업의 연관성은 서울이 부산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제조업 생산과정에 투입되는 서비스업의 자기지역 의존비율이 서울은 72.0% 이지만 부산은 49.0%로 낮아, 부산 제조업의 성장이 전산업에 미치는 효과가 제한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서비스업에 대한 제조업의 연관성은 전반적으로 부산이 서울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상호 연관성 제고를 위한 정책방향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종환 외, 2012, 부산지역 생산자서비스업의 일반균형 분석과 육성전략, 한국은행 부산본부.
  2. 김예지.이영성, 2010, "제조업과 서비스업 사이의 상호작용-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지역연구 26(4), pp.17-32.
  3. 김헌민.김경아, 2002, "도시경쟁력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상호연관성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36(1), pp.297-314.
  4. 박문수.이동희, 2017, 4차 산업혁명 시대 주요국 제조업과 서비스업 연관성 현황과 시사점, 산업연구원.
  5. 박문수.이동희.최지아, 2017, "대구경북지역의 제조업과 서비스업간 연관성 분석: 지역 산업네트워크 구조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9(1), pp.99-120.
  6. 산업경쟁력연구본부, 2017, 4차 산업혁명이 한국 제조업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산업연구원.
  7. 신창식.조한상, 2003, 우리나라 서비스업의 연관구조 및 경쟁력 분석, 한은조사연구, 한국은행.
  8. 윤갑식, 2015, "한국과 일본 서비스업의 구조와 산업연관 효과 비교분석," 아시아연구 18(3), pp.105-124.
  9. 이동희.구진경.박지혜, 2014, 산업생태계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서비스 클러스터 활성화 전략: 지식집약사업 서비스를 중심으로, 산업연구원.
  10. 이건우.하봉찬, 2013, 서비스화가 한국산업의 연관구조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산업연구원.
  11. 정호진.임용석, 2018, "경상남도 제조업과 정보통신/과학 기술서비스업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산업네트워크 구조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21(4), pp.161-180.
  12. 통계청, 2017, 한국표준산업분류.
  13. 한국은행, 2014, 산업연관분석 해설.
  14. Russo, G. and Schettkat, R., 2001, Structural economic dynamics and the final product concept, in Ten Raa, T. and Schettkat, R. (eds.), The Growth of Service Industries: The Paradox of Exploding Costs and Persistent.
  15. Singlemann, J., 1978, From Agriculture to Services: Transformation to Industrial Employment, Beverly Hills, CA: Sage Pub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