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Product Scarcity and Purchase Behavior in Location-Based Application Services

위치기반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서 제품의 희소성과 구매행동과의 영향

  • Wang Ming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Soonchunhyang University) ;
  • Hyeokjun Kwon (Department of IT Finance Management, Soonchunhyang University) ;
  • Jaewon Choi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Soonchunhyang University)
  • 왕밍 (순천향대학교 경영학과) ;
  • 권혁준 (순천향대학교 IT금융경영학과) ;
  • 최재원 (순천향대학교 경영학과)
  • Received : 2018.05.29
  • Accepted : 2018.06.26
  • Published : 2018.06.30

Abstract

Location-based services have distinctive service characteristics compared to the past online commerce used on the desktop. In any place,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can be used to access online and utilize online shopping, and it is more convenient for users. In addition, by providing shopping and service information specific to each loc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convenience to the consumers according to their locations. In addition, it provides scarcity of information as well as location, thereby increasing consumers' desire to purchas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scarcity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consumers in location-based services. The steps of scarcity are: first, a step without scarcity, Second, providing time limit information, Third, providing quantity limitation information, Fourth, the experiment was designed to provide time and quantity limitation, and 4 groups were analyzed through experimental stimul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dependent variable on the degree of scarcity by adding 'ubiquity', 'interactivity' and 'privacy' which are characteristics of location-based servic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carcity of time and scarcity of quantity limitation scarcity stimuli showed a moderating effect on ubiquity, interactivity and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and these variables also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ed positively. Consumer confidence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s.

위치기반 서비스는 데스크톱 기반에서 활용하던 과거의 온라인 커머스(Online Commerce)와는 차별적인 서비스 특성을 지닌다. 장소에 상관없이 이동 통신 기기를 활용하여 온라인에 접속하여 온라인 쇼핑을 활용할 수 있으며, 보다 편하게 사용자의 편의를 보장해준다. 위치 별로 특정적인 쇼핑 정보, 서비스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에게 위치에 따른 편익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위치뿐만 아니라 다양한 희소성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증대 시키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위치기반 서비스에서 희소성의 제공 단계에 따라 소비자의 구매의도 변화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희소성의 단계는 첫째, 희소성이 없는 단계, 둘째, 시간제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셋째, 수량 제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넷째, 시간, 수량 제한을 제공하는 단계로 실험 설계하여 실험 자극물을 통한 4집단 분석을 진행하였다. 위치기반 서비스의 특성인 편재성과 상호작용성, 프라이버시 염려의 변수들을 추가하여 희소성의 단계에 따른 종속변수의 영향력 차이에 대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시간제한과 수량 제한 희소성 자극물은 편재성, 상호작용성과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조절 효과를 나타냈으며, 해당 변수들도 직간접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프라이버시 염려는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순천향대학교 학술연구비 지원으로 수행하였음. 이 논문 또는 저서는 2017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7S1A3A2065831).

References

  1. 강문영, 치용수, 강학래, "의도적 광고 연구를 통한 소셜 미디어 기반 모바일 네이티브 광고효과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 제27권, 제2호, 2016, pp. 7-28. https://doi.org/10.14377/KJA.2016.2.28.7
  2. 고성현, 여준상, "한정메시지유형과 미용서비스유형이 미용서비스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미용학회지, 제23권, 제2호, 2017, pp. 262-268.
  3. 기소진, 이수영, "프라이버시 염려와 자기효능감에 따른 SNS 이용자 유형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7권, 제1호, 2013, pp. 81-110.
  4. 김민경, 최의주, 최보름, "모바일 기부 앱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Information Systems Review, 제18권, 제2호, 2016, pp. 107-125. https://doi.org/10.14329/isr.2016.18.2.107
  5. 김연종, 안병혁, "프라이버시 패러독스 현상이 SNS사용자의 개인정보 제공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정보학회 춘계학술대회, 2016, pp. 253-262.
  6. 김준우, 박수현, 이건희, 곽현호, "스마트 워치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개인 혁신성의 조절효과", 한국경영정보학회 춘계학술대회, 2016, pp. 81-88.
  7. 김해룡, 김지영, 윤승재, 이문규, "카카오톡 네트워크 외부성 효과", 마케팅연구, 제28권, 제2호, 2013, pp. 17-38.
  8. 노형진,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사용자 체험혁신전략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컴퓨터정보 학회논문지, 제20권, 제3호, 2015, pp. 169-176. https://doi.org/10.9708/JKSCI.2015.20.3.169
  9. 박은주, 강은미, "인디브랜드 소비자의 패션관여가 제품평가기준 및 소비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23권, 제2호, 2017, pp. 25-36. https://doi.org/10.18208/ksdc.2017.23.2.25
  10. 방민서, 모바일을 이용한 패션상품 구매자의 개인적 특성이 모바일 쇼핑 수용 및 구매의도 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2013, pp. 3-33.
  11. 손봉진, 최재원, "위치기반 앱 서비스를 통한 인지된 가치와 평판 형성을 위한 소비자 지식 구조", 지식경영연구, 제18권, 제1호, 2017, pp. 159-176. https://doi.org/10.15813/KMR.2017.18.1.008
  12. 송은지, "위치기반서비스(LBS)를 이용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시스템 개발 사례",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지, 제23권, 제1호, 2012, pp. 53-60. https://doi.org/10.9728/dcs.2012.13.1.053
  13. 안정용, 성용준, "시간관 유형에 따른 광고메시지 설득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제18권, 제4호, 2015, pp. 739-755.
  14. 유동호, 이지은, "희소성 메시지의 유형과 수준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영학연구, 제43권, 제5호, 2016, pp. 1679-1705.
  15. 윤일한 권순동, "라이프로그 이용이 기술 만족도와 잊혀질 권리 인식에 미치는 영향", 정보보호학회논문지, 제26권, 제3호, 2016, pp. 837-852. https://doi.org/10.13089/JKIISC.2016.26.3.837
  16. 윤준호, 김선경, "정부 웹 3.0 서비스의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공무원 초점에서", 한국지역정보학회지, 제19권, 제1호, 2016, pp. 139-163.
  17. 이성호, 모바일 콘텐츠 서비스의 유비쿼터스 속성이 지각된 상호 작용 및 행동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006, pp. 149-165.
  18. 이재용, 이철성, 이호배, "가격할인제품판매에서의 희소성 메시지 효과", 경영학연구, 제41권, 제6호, 2012, pp. 1591-1618.
  19. 이준기, 최희재, 최선아, "서비스 수용성에 대한 서비스 유용성 및 프라이버시가 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전자상거래학회지, 제12권, 제4호, 2009, pp. 37-51.
  20. 이준환, 김용준, 성정연, "레스토랑 경영에 초점을 맞춘 짧은 메시지와 통제를 통한 식당프로모션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호텔경영학연구, 제19권, 제6호, 2010, pp. 77-97.
  21. 이지나, "중국 소셜커머스의 소비가치가 만족과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제28권, 제6호, 2015, pp. 1645-1662.
  22. 장택붕, 임현아, 최재원, "위치기반 지식정보를 활용한 맛집 추천 앱의 효과: 프라이버시 계산을 중심으로", 한국전자거래학회지, 제22권, 제1호, 2017, pp. 89-106. https://doi.org/10.7838/JSEBS.2017.22.1.089
  23. 정원주, 신성혜, 박세범, "희소한 제품에 대한 소비자 지불의사에 파워가 미치는 영향", 연세경영연구, 제54권, 제1호, 2017, pp. 31-53. https://doi.org/10.15843/kpapr.31.1.201703.53
  24. 조정식, 김시온, 황장선, "희소성 메시지 유형에 따른 소비자 반응", 광고연구, 제111권, 2016, pp. 132-157.
  25. 최민재, "스마트폰 위치기반 서비스의 이용경험에 따른 개인정보 제공에 관한 탐색적 연구", 광고연구, 제96권, 2013, pp. 249-277.
  26. 최보미, 박민정, 채상미, "개인정보보호 기술수용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Information Systems Review, 제17권, 제3호, 2015, pp. 77-94. https://doi.org/10.14329/isr.2015.17.3.077
  27. 최수정, "스마트폰 기반 모바일거래 이용의 지각된 이용자 가치와 이의 결정요인", 한국전자거래학회지, 제18권, 제4호, 2013, pp. 273-299. https://doi.org/10.7838/JSEBS.2013.18.4.273
  28. Dinev, T., M. Bellotto, P. Hart, V. Russo, I. Serra, and C. Colautti, "Privacy calculus model in e-commerce a study of Italy and the Unitied State", European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Vol.15, No.4, 2006, pp. 389-402. https://doi.org/10.1057/palgrave.ejis.3000590
  29. Huhn, A. E., V. J. Khan, and P. Ketelaar, "Does location congruence matter? A field study on the effects of location-based advertising on perceived ad intrusiveness, relevance & valu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73, 2017, pp. 659-668. https://doi.org/10.1016/j.chb.2017.03.003
  30. Pawlasova, P. and V. Klezl, "Factors Affecting Perceptual Risk on Purchasing Service Coupons in Social Commerce", Acta University Agriculturae at Silviculturae Mendelianae Brunensis, Vol.65, 2017, pp. 2045-2054. https://doi.org/10.11118/actaun201765062045
  31. Lee, H. and J. Choi, "Why do people visit social commerce sites but do not buy? The role of the scarcity heuristic as a momentary characteristic",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Vol.8, No.7, 2014, pp. 2383-2399. https://doi.org/10.3837/tiis.2014.07.010
  32. Lynn, M., "Scarcity effects on value: Mediated by assumed expensiveness?", Journal of Economic Psychology, Vol.10, 1989, pp. 257-274. https://doi.org/10.1016/0167-4870(89)90023-8
  33. Shih-Chiao, C., C. Shui-Lien, and L. Miao-Jin, "The effects of hunger marketing in scarcity products", International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Research, Vol.3, No.3, 2017, pp. 20-23. https://doi.org/10.24178/ijbamr.2017.3.3.20
  34. Wu, G., "The mediating role of perceived interactivity in the effect of actual interactivity on attitude toward the website", Journal of Interactive Advertising, Vol.5, No.2, 2000, pp. 29-39. https://doi.org/10.1080/15252019.2005.107220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