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atrol Monitoring Plan for Transmission Towers with a Commercial Drone and its Field Tests

상용화 드론을 이용한 송전선로 점검방안 및 현장시험

  • Kim, Seok-Tae (KEPCO Research Institute,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
  • Park, Joon-Young (KEPCO Research Institute,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
  • Lee, Jae-Kyung (KEPCO Research Institute,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
  • Ham, Ji-Wan (KEPCO Research Institute,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
  • Choi, Min-Hee (KEPCO Research Institute,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 Received : 2018.05.24
  • Accepted : 2018.07.11
  • Published : 2018.12.30

Abstract

Various types of robots running on power transmission lines have been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line patrol monitoring. They usually have complex mechanism to run and avoid obstacles on the power line, but nevertheless did not show satisfactory performance for going over the obstacles. Moreover, they were so heavy that they could not be easily installed on the lines. To compensate these problems, flying robots have been developed and recently, multi-copter drones with flight stability have been used in the electric power industry. The drones could be remotely controlled by human operators to monitor power distribution lines. In the case of transmission line patrol, however, transmission towers are huge and their spans are very long, and thus, it is very difficult for the pilot to control the patrol drones with the naked eye from a long distance away. This means that the risk of a drone crash onto electric power facilities always resides. In addition, there exists another danger of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with the drones on autopilot waypoint tracking under ultra-high voltage environments. This paper presents a patrol monitoring plan of autopilot drones for power transmission lines and its field tests. First, the magnetic field effect on an autopilot patrol drone is investigated. Then, how to build the flight path to avoid the magnetic interference is proposed and our autopilot drone system is introduced. Finall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patrol plan is confirmed through its field test results in the 154 kV, 345 kV and 765 kV transmission lines in Chungcheongnam-do.

과거 송전선로를 점검하기 위하여 선로를 주행하는 로봇시스템을 이용하여 점검방법이 있었으나 선로를 주행하기 위한 구동장치와 장애물을 회피하기 위한 복잡한 메커니즘 등으로 시스템 자체가 무거워 선로에 설치하기가 어렵고 선로의 장애물을 완벽하게 회피하여 주행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그래서 공중에서 비행하며 점검하는 비행로봇 형태가 개발됐고 최근 회전익 멀티콥터 형태 드론의 비행안정도가 높아짐에 따라 전력산업에도 전력설비 점검에 이용되기 시작했다. 배전설비를 수동조종으로 비행하는 드론을 이용하여 점검해 왔다. 그러나 송전선로나 철탑의 경우, 설비 규모가 크고 경간 거리가 멀어 비행 중인 드론의 위치와 송전선로간의 거리를 가늠하기 어렵기 때문에 드론을 수동으로 시계비행하며 송전선로를 점검하기에는 선로와의 충돌위험에서 자유롭기 어렵다. 또한, 수동조종으로 선정된 웨이포인트(Way-point)에 의존한 자동비행점검도 송전선로에 형성되는 자기장에 의해 드론의 전자식 나침판이 오작동하여 비행방향의 오류를 초래하므로 송전선로와의 충돌 가능성이 여전히 상존한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송전선로의 자기장을 영향에 대한 드론점검 작업환경을 조사하고 이를 근거로 자기장 영향권 밖에서 비행경로를 생성하여 고배율카메라와 열화상 카메라가 탑재된 상용화 드론을 이용하여 자동비행하면서 송전선로를 점검할 수 있는 체계를 소개한다. 또한, 이 점검체계를 이용하여 충남지역의 154 kV, 345 kV, 765 kV 등 전압별 실 선로에 대하여 적용한 현장시험결과를 소개하고자 한다.

Keywords

JROGG5_2018_v4n2_115_f0001.png 이미지

Fig. 1. LineScout의 현장시험 및 수리도구. (a) LineScout 프로토타입 현장시험[2], (b) LineArm와 Tool modules [3].

JROGG5_2018_v4n2_115_f0001.png 이미지

Fig. 1. LineScout의 현장시험 및 수리도구. (a) LineScout 프로토타입 현장시험[2], (b) LineArm와 Tool modules [3].

JROGG5_2018_v4n2_115_f0002.png 이미지

Fig. 2. Expliner의 주요구성 및 송전선 점검결과.

JROGG5_2018_v4n2_115_f0002.png 이미지

Fig. 2. Expliner의 주요구성 및 송전선 점검결과.

JROGG5_2018_v4n2_115_f0003.png 이미지

Fig. 3. AApe‐B의 현장시험과 점검사진 [6].

JROGG5_2018_v4n2_115_f0003.png 이미지

Fig. 3. AApe‐B의 현장시험과 점검사진 [6].

JROGG5_2018_v4n2_115_f0004.png 이미지

Fig. 4. 산동전력 과학연구원(SEPRI)의 개발 무인헬기 및 촬영영상. (a) visible ‐light image with 2× optical zoom, (b) Visible‐light image with 20× optical zoom, (c) Enlarged view of the insulatior in (b), (d) Infrared thermal image.

JROGG5_2018_v4n2_115_f0004.png 이미지

Fig. 4. 산동전력 과학연구원(SEPRI)의 개발 무인헬기 및 촬영영상. (a) visible ‐light image with 2× optical zoom, (b) Visible‐light image with 20× optical zoom, (c) Enlarged view of the insulatior in (b), (d) Infrared thermal image.

JROGG5_2018_v4n2_115_f0005.png 이미지

Fig. 5. 스페인 RELIFO Project의 무인헬기 시스템 구성도 및 적용 사례 [9]. (a) RELIFO 시스템의 구성, (b) 적용사례 및 SMS와 이메일 알림기능.

JROGG5_2018_v4n2_115_f0005.png 이미지

Fig. 5. 스페인 RELIFO Project의 무인헬기 시스템 구성도 및 적용 사례 [9]. (a) RELIFO 시스템의 구성, (b) 적용사례 및 SMS와 이메일 알림기능.

JROGG5_2018_v4n2_115_f0006.png 이미지

Fig. 6. 국내 연선작업 및 배전선로 전력설비 점검 드론이용 사진 [출처: 전기신문].

JROGG5_2018_v4n2_115_f0006.png 이미지

Fig. 6. 국내 연선작업 및 배전선로 전력설비 점검 드론이용 사진 [출처: 전기신문].

JROGG5_2018_v4n2_115_f0007.png 이미지

Fig. 7. 소형 상용 드론을 이용한 활선 작업환경 분석 시험.

JROGG5_2018_v4n2_115_f0007.png 이미지

Fig. 7. 소형 상용 드론을 이용한 활선 작업환경 분석 시험.

JROGG5_2018_v4n2_115_f0008.png 이미지

Fig. 8. 송전선로 이격거리에 따른 자기장 세기 측정사례.

JROGG5_2018_v4n2_115_f0008.png 이미지

Fig. 8. 송전선로 이격거리에 따른 자기장 세기 측정사례.

JROGG5_2018_v4n2_115_f0009.png 이미지

Fig. 9. 드론 수직비행을 통한 거리별 자기장 영향 확인 시험.

JROGG5_2018_v4n2_115_f0009.png 이미지

Fig. 9. 드론 수직비행을 통한 거리별 자기장 영향 확인 시험.

JROGG5_2018_v4n2_115_f0010.png 이미지

Fig. 10. 자기장 영향으로 인한 전자식 나침판 오작동 발생.

JROGG5_2018_v4n2_115_f0010.png 이미지

Fig. 10. 자기장 영향으로 인한 전자식 나침판 오작동 발생.

JROGG5_2018_v4n2_115_f0011.png 이미지

Fig. 11. 765 kV 선로 자기장 세기 측정데이터.

JROGG5_2018_v4n2_115_f0011.png 이미지

Fig. 11. 765 kV 선로 자기장 세기 측정데이터.

JROGG5_2018_v4n2_115_f0012.png 이미지

Fig. 12. 송전선로 점검드론 운용절차.

JROGG5_2018_v4n2_115_f0012.png 이미지

Fig. 12. 송전선로 점검드론 운용절차.

JROGG5_2018_v4n2_115_f0013.png 이미지

Fig. 13. 345 kV 선로 안전비행 이격거리 설정.

JROGG5_2018_v4n2_115_f0013.png 이미지

Fig. 13. 345 kV 선로 안전비행 이격거리 설정.

JROGG5_2018_v4n2_115_f0014.png 이미지

Fig. 14. 765 kV 선로 안전비행 이격거리 설정.

JROGG5_2018_v4n2_115_f0014.png 이미지

Fig. 14. 765 kV 선로 안전비행 이격거리 설정.

JROGG5_2018_v4n2_115_f0015.png 이미지

Fig. 15. 고도측정용 드론 위치.

JROGG5_2018_v4n2_115_f0015.png 이미지

Fig. 15. 고도측정용 드론 위치.

JROGG5_2018_v4n2_115_f0016.png 이미지

Fig. 16. 드론의 송전선 투영점 Pt1에 대한 도식.

JROGG5_2018_v4n2_115_f0016.png 이미지

Fig. 16. 드론의 송전선 투영점 Pt1에 대한 도식.

JROGG5_2018_v4n2_115_f0017.png 이미지

Fig. 17. GCS와 점검드론과의 통신구조.

JROGG5_2018_v4n2_115_f0017.png 이미지

Fig. 17. GCS와 점검드론과의 통신구조.

JROGG5_2018_v4n2_115_f0018.png 이미지

Fig. 18. 송전선로 점검드론.

JROGG5_2018_v4n2_115_f0018.png 이미지

Fig. 18. 송전선로 점검드론.

JROGG5_2018_v4n2_115_f0019.png 이미지

Fig. 19. 철탑 GPS좌표측정용 좌표측정기.

JROGG5_2018_v4n2_115_f0019.png 이미지

Fig. 19. 철탑 GPS좌표측정용 좌표측정기.

JROGG5_2018_v4n2_115_f0020.png 이미지

Fig. 20. 송전선로 고도측정용 드론.

JROGG5_2018_v4n2_115_f0020.png 이미지

Fig. 20. 송전선로 고도측정용 드론.

JROGG5_2018_v4n2_115_f0021.png 이미지

Fig. 21. 고도측정 사례.

JROGG5_2018_v4n2_115_f0021.png 이미지

Fig. 21. 고도측정 사례.

JROGG5_2018_v4n2_115_f0022.png 이미지

Fig. 22. 345 kV 아산‐화성 T/L 11‐12 비행경로.

JROGG5_2018_v4n2_115_f0022.png 이미지

Fig. 22. 345 kV 아산‐화성 T/L 11‐12 비행경로.

Table. 1 송전설비 점검의 종류 [1]

JROGG5_2018_v4n2_115_t0001.png 이미지

Table. 1 송전설비 점검의 종류 [1]

JROGG5_2018_v4n2_115_t0001.png 이미지

Table. 2 송전설비 진단의 종류 [1]

JROGG5_2018_v4n2_115_t0002.png 이미지

Table. 2 송전설비 진단의 종류 [1]

JROGG5_2018_v4n2_115_t0002.png 이미지

Table. 3. 154 kV 및 345 kV 선로의 점검결과

JROGG5_2018_v4n2_115_t0003.png 이미지

Table. 3. 154 kV 및 345 kV 선로의 점검결과

JROGG5_2018_v4n2_115_t0003.png 이미지

Table. 4. 154 kV 및 345 kV 선로의 점검결과

JROGG5_2018_v4n2_115_t0004.png 이미지

Table. 4. 154 kV 및 345 kV 선로의 점검결과

JROGG5_2018_v4n2_115_t0004.png 이미지

References

  1.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송전선로 감시진단용 생체모방 드론 시스템 개발(세부과제)(1단계 중간보고서)", pp.19-20, 2017.
  2. N. Pouliot and S. Montambault, "Geometric Design of the LineScout, a Teleoperated Robot for Power Line Inspection and Maintenance,"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obotics and Automation, pp. 3970-3977, 2008.
  3. N. Pouliot and S. Montambault, "LineScout Technology: From Inspection to Robotic Maintenance on Live Transmission Power Lines,"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obotics and Automation, pp. 1034-1040, 2009.
  4. P. Debenest, M. Guarnieri, K. Takita, E. F. Fukushima, S. Hirose, K. Tamura, A. Kimura, H. Kubokawa, N. Iwama and F. Shiga, "Expliner‐Robot for Inspection of Transmission Lines,"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obotics and Automation, pp. 3978-3984, 2008.
  5. P. Debenest and M. Guarnieri, "Expliner‐From Prototype Towards a Practical Robot for Inspection of High‐Voltage Lines,"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pplied Robotics for the Power Industry, 2010.
  6. H. Wang, F. Zhang, Y. Jiang, G. Liu and X. Peng, "Development of an Inspection Robot for 500kV EHV Power Transmission Lines," IEEE/RSJ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lligent Robots and Systems, pp. 5107-5112, 2010.
  7. B. Wang, L. Han, H. Zhang, Q. Wang and B. Li, "A Flying Robotic System for Power Line Corridor Inspection,"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obotics and Biomimetics, pp. 2468-2473, 2009.
  8. B. Wang, X. Chen, Q. Wang, L. Liu, H. Zhang and B. Li, "Power Line Inspection with A Flying Robo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pplied Robotics for the Power Industry, 2010.
  9. J. I. Larrauri, G. Sorrosal and M. Gonzalez, "Automatic System for Overhead Power Line Inspection us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RELIFO Projec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Unmanned Aircraft Systems, pp. 244-252, 2013.
  10. L. F. Luque‐Vega, B. Castillo‐Toledo and A. Loukianov, "Power Line Inspection Via an Unmanned Aerial System Based on the Quadrotor Helicopter," IEEE Mediterranean Electrotechnical Conference, pp. 393-397, 2014.
  11. 한국전력공사 송변전운영처, 가공송전운영업무기준, H0‐송변‐기준‐0002, 2017.01.31.(개정)
  12. Fabio Bologna, "UAS Research - Results of Electrical Effects Testing," EPRI, February 2017.
  13. J. M. Bakhashwain, M. H. Shwehdi, U. M. Johar and A. A. AL‐Naim, "Magnetic Fields 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EHV Transmission Lines in Saudi Arabia," International Conference on Non‐Ionizing Radiation at UNITEN(ICNIR 2003), October 2003.
  14. Seok‐tae Kim, Joon‐young Park, Jae‐kyung Lee, In‐hyuk Choi, Ji-wan Ham, "Development of GPS Coordinates Measuring Algorithm for Transmission Tower" KEPCO Journal on Electric Power and Energy, Vol. 3, No. 2, December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