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Variation and Distribution of Anions and Cations in the Aerosols of Jeju Island

제주지역의 대기질 중의 음이온 및 양이온의 분포와 변이성

  • Sin, Bangsik (Dept. of Naturopathy, Dongbang Culture Graduate University) ;
  • Lee, Hyung H. (Dept. of Biological Sciences, Konkuk University) ;
  • Lee, Keun Kwang (Dept. of Naturopathy, Dongbang Culture Graduate University)
  • 신방식 (동방대학원대학교 자연치유학과) ;
  • 이형환 (건국대학교 생명과학과) ;
  • 이근광 (동방대학원대학교 자연치유학과)
  • Received : 2018.03.05
  • Accepted : 2018.03.14
  • Published : 2018.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and variation of the anion and cation number in the aerosols at 16 sites in the Jeju area. The average value of anion counts was raged from 449.35 ions/cm3 at Jeju city to 3471.25 ions/cm3 in the Chunjiyeon falls. In order, the lowest Jeju-si < hamdeok < 1100 m < farm < gyorae A < saryoni < jeolmul < gyorae B < geomunoreum < halla forest < hallasan garden < seongpanak < dongbaeksan < jeongbang < wonyang, respectively.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nion counts of the measured values in the order of elevation. The mean value of cation measurements was from 90 ions/cm3 for Cheonjiyeon, to 729.8 ions/cm3 for Halla forest garden, which showed the highest value. In order, the lowest 729.8 ions/cm3 of Cheonjiyeon < 1100 m < dongbaeksan < Jeju-si < saryoni < wonyang < seongpanak < hamdeok < jeongbang < gyorae B < jeolmul < Farm < gyorae A < halla forest < geomun and < halla garden, respectively. The geographically low area and the high area were measured low and difference in the two ion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ontent of the anion, cation and/or altitude were significant each other in the variance analysi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nion and cation content and/or altitud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396, p<.001). In conclusion, the result of showing the temporal distribution and variation of the anion and cation content in the aerosols in Jeju island forests provides important information for healthcare.

본 연구는 제주의 휴양림 지역을 중심으로 16개 지점을 정해서 일간 별에 따른 대기질 중의 음이온과 양이온수를 측정하여 그 분포와 변이에 대한 연구가 목적이었다. 측정 평균수의 범위는 제일 낮은 제주시 4449.35 ions/cm3, 제일 높은 천지연폭포는 3471.25 ions/cm3 의 범주로 나타났다. 순서로 보면, 제일 낮은 제주시< 함덕 < 1100 m < 농장 < 교래A < 사려니 < 절물 < 교래B < 거문오름 < 제주시< 한라 숲길 < 한라산 수목원 < 성판악 < 동백산 < 정방 < 원양< 천지연 순이었다. 고도순으로 측정치의 음이온 본 연구는 제주의 휴양림 지역을 중심으로 16개 지점을 정해서 일간 별에 따른 대기질 중의 음이온과 양이온수를 측정하여 그 분포와 변이에 대한 연구가 목적이었다. 측정 평균수의 범위는 제일 낮은 제주시 4449.35 ions/cm3, 제일 높은 천지연폭포는 3471.25 ions/cm3의 범주로 나타났다. 순서로 보면, 제일 낮은 제주시< 함덕 < 1100 m < 농장 < 교래A < 사려니 < 절물 < 교래B < 거문오름 < 제주시< 한라 숲길 < 한라산 수목원 < 성판악 < 동백산 < 정방 < 원양 < 천지연 순이었다. 고도순으로 측정치의 음이온수치 함량의 차이를 일정하게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p<.001)가 있었다. 양이온 평균수가 낮은 천지연폭포는 90 ions/cm3, 제일 높게 나타난 한라산 수목원의 수는 729.8 ions/cm3이었으며, 그 차이는 729.8 ions/cm3로 높게 나타났다. 높은 순서로 보면 제일 낮은 천지연 < 1100 m < 동백산 < 제주시 < 사려니 < 원양 < 성판악 < 함덕 < 정방 < 교래B < 절물 < 농장 < 교래A < 한라산 숲길 < 거문오름 < 한라수목원 순으로 측정되었다. 음양이온 모두 지형적으로 낮은 지대와 높은 지역은 함량이 낮게 측정되었다. 음이온과 양이온 및 고도의 분산분석에서 측정지역 간의 함량차이는 모두 유의성이 있었고, 또한 음이온과 양이온의 함량차이도 유의성이 있었으며, 고도와의 차이도 모두 유의성이 있었다. 상기의 음이온, 양이온 함량과 고도와의 요인간의 상관관계분석에서도 정적인 상관관계가 유의하게 나타났다(r=.396, p<001).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제주도 지역의 곶자왈 대기질 중의 이온의 분포에 대한 기초 연구로서 삼림욕을 통한 건강관리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수치함량의 차이를 일정하게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p<.001)가 있었다. 양이온 평균수가 낮은 천지연폭포는 90 ions/cm3, 제일 높게 나타난 한라산 수목원의 수는 729.8 ions/cm3 이었으며, 그 차이는 729.8 ions/cm3 로 높게 나타났다. 높은 순서로 보면 제일 낮은 천지연 < 1100 m < 동백산 < 제주시 < 사려니 < 원양 < 성판악 < 함덕 < 정방 < 교래B < 절물 < 농장 < 교래A < 한라산 숲길 < 거문오름 < 한라수목원 순으로 측정되었다. 음양이온 모두 지형적으로 낮은 지대와 높은 지역은 함량이 낮게 측정되었다. 음이온과 양이온 및 고도의 분산분석에서 측정지역 간의 함량차이는 모두 유의성이 있었고, 또한 음이온과 양이온의 함량 차이도 유의성이 있었으며, 고도와의 차이도 모두 유의성이 있었다. 상기의 음이온, 양이온 함량과 고도와의 요인간의 상관관계분석에서도 정적인 상관관계가 유의하게 나타났다(r=.396, p<001).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제주도 지역의 곶자왈 대기질 중의 이온의 분포에 대한 기초 연구로서 삼림욕을 통한 건강관리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Carmichael, G.R., Y. Zhang, L.L. Chen, M.S. Hong, and H. Ueda. 1996. Seasonal variation of aerosol composition at Cheju Island. Korea. Atmos. Environ. 30(13): 2407-2416.
  2. Carmichael, G.R., M.S. Hong, H. Ueda, L.L. Chen, K. Murano, J.K. Park, H. Lee, Y. Kim, C. Kang, and S. Shim. 1977. Aerosol Composition at Cheju Island, Korea. J. Geophys. Res. 102(D5): 6047-6061.
  3. Chen, L-L., G.R. Carmichael, M.S. Hong, H. Ueda, S. Shim, C. H. Song, Y.P. Kim, R. Arimoto, J. Prospero, D. Savie, and K. 1977. Murano. Influence of continental flow events on the aerosol composition at Cheju Island, South Korea. J. Geophys. Res. 102(D23): 28,551-28,574.
  4. Kang, H.Y. 2003. Secrets of phytoncides. Historiesnet, Seoul, pp. 27-29.
  5. Kim, H.C., S.S. Oh, Y.C. Song, and Y.J. Kim. 2013.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phytoncide in Jeolmul Natural Recreation Forest of Jeju. J. Naturopathy 2(2): 89-98.
  6. Kim, H.C., S.S. Oh, Y.C. Song, and Y.J. Kim. 2013.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phytoncide in Seogwipo Natural Recreation Forest. J. Naturopathy 2(2): 99-107.
  7. Lee, B.K. and H.H. Lee. 2012. A study on the effects of human physiology after forest phytoncide therapy. J. Naturopathy 1(1): 14-20.
  8. Lee, B.K. and H.H. Lee. 2013. Effects of occupational and social stress after forest therapy. J. Naturopathy 2(2): 108-114.
  9. Lee, H.H. and K.D. Bae. 2007. Water of life and gene business. World Science, Seoul, pp. 19-22.
  10. Lim, S., M. Lee, G. Lee, S. Kim, S. Yoon, and K. Kang. 2012. Ionic and carbonaceous compositions of PM10, PM2.5 and PM1.0 at Gosan ABC superstation and their ratios as source signature. Atmos. Chem. Phys. 12(4): 2007-2024. doi:1-.5194/acp-12- 2007-2012.
  11. Muller-Dietz, H. 1956. Phytoncides and phytoncide therapy. Deutsch. Med. Wochenschr. 81(24): 983-984. (Article in German)
  12. Sin, B.S., D.H. Im, and K.K. Lee. 2017. Changes of stress hormone cortisol after visiting the Gotjawal Forest in Jejudo. J. Kor. Acad.-Indust. Co. Soc. 18(10): 471-479.
  13. Song, K.P. 2016. Plants of ecological school for Gotjawal. The Reports of Ecological School for Gotjawal. The Gotjawal Trust of Jeju, Jeju, pp. 63-65.
  14. Song, S.T. 2000. Distribution of lithology of Aa rubble flows in Jeju Island Korea. Busan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Busan. pp. 5-6.
  15. The Gotjawal Trust of Jeju, Korea. www.jejutrust.net, Jej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