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Haeeumwonji and the Main Palace of the Goryo Dynasty

혜음원지와 고려 정궁지 건축유구의 특성에 대한 고찰

  • 우성훈 ((재)건축역사기술연구소)
  • Received : 2018.10.15
  • Accepted : 2018.12.20
  • Published : 2018.12.31

Abstract

This paper is to clarif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Haeeumwonji and the Main Palace of the Goryo Dynasty. The architectural techniques and construction methods such as embankment, stylobate, stairway, foundation stone, and pave are similar to those of the Haeeumwonji and the Main Palace of the Goryo Dynasty. In order to express the hierarchy of the area and building, the materials, techniques, and forms of the embankment, stylobate, stairway, foundation stone and pave were used differently. The paving of the floor of the main building and area is also an active expression of the hierarchy and status of the building area and the building through the use of building materials, techniques and forms. This result confirms the support of Goryeo royal family and the upper class for the construction of Haeeumwonji, which is recorded in the historical documents. And it also shows that the architectural techniques and processing method of the same period were shared in the capital and provinces, which is an important clue that proves that the capital-centered architectural technology has spread to the provinces. It is expected that additional research will be need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iod of 12th century architecture technique in which Haeeumwonji was built.

Keywords

KCOSB1_2018_v27n6_31_f0002.png 이미지

그림 2. 고려 정궁지 건물지 번호(『고려궁성(2012·2015)』 도면 이용 필자 작성24))

KCOSB1_2018_v27n6_31_f0003.png 이미지

그림 3. 3-1호 건물지 북쪽 배수로 바닥전 포장(『고려궁성(2012)』, 175쪽)

KCOSB1_2018_v27n6_31_f0004.png 이미지

그림 4. 1-2 건물지의 다듬은돌 및 자연석 지대석(『혜음원지(Ⅱ)』, 59쪽)

KCOSB1_2018_v27n6_31_f0005.png 이미지

그림 5. 혜음원지 건축 요소의 사용 위치(한국건축문화연구소, 2007년 도면 위 필자 표기)

KCOSB1_2018_v27n6_31_f0006.png 이미지

그림 1. 3-1호 건물지 통돌 면석(『고려궁성(2012)』, 180쪽)

표 1. 혜음원지와 고려 정궁지의 축대와 심석

KCOSB1_2018_v27n6_31_t0001.png 이미지

표 2. 계단 축조 기법

KCOSB1_2018_v27n6_31_t0002.png 이미지

표 3. 초석의 종류와 기법

KCOSB1_2018_v27n6_31_t0003.png 이미지

표 4. 혜음원지와 고려 정궁지의 포장

KCOSB1_2018_v27n6_31_t0004.png 이미지

표 5. 혜음원지와 고려정궁지의 배수로 시설

KCOSB1_2018_v27n6_31_t0005.png 이미지

References

  1. 동문선
  2. 단국대학교 매장문화재연구소, 파주혜음원지 발굴조사 보고서-1차-4차(I) (II), 파주시, 2006
  3. 국립문화재연구소, 개성 고려궁성, 2009
  4. 국립문화재연구소, 개경 고려궁성 남북공동 발굴조사 보고서 I, 2012
  5. 국립문화재연구소, 개성 고려궁성 남북공동 발굴조사 보고서 II, 2015
  6. 한국건축문화연구소, 파주용미리혜음원지 종합정비기본계획 보고서, 파주시, 2007
  7. (재)역사건축기술연구소, 혜음원지 복원 및 활용방안마련 종합정비계획, 파주시, 2016
  8. 김왕직, 알기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 동녘, 2007
  9. 국립문화재연구소, 한국 고대건축의 기단-경북.경남.대구.울산 편, 2012
  10. 목포대학교박물관, 2013 진도 용장성 발굴조사 약보고서, 2014
  11. 김재홍, 12세기 혜음원지 석조계단 유형과 특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8권, 제11호, 2012
  12. 남창근.김태영, 백제계 및 신라계 가구식 기단과 계단의 시기별 변화특성, 건축역사연구, 제21권, 1호,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