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유아의 죽음 개념화에 대한 인지발달적 분석

A Cognitive Developmental Analysis on Children's Understanding of Death

  • Yang, Sungeun (Dept. of Child Studies, Inha University) ;
  • Kim, Sang Lim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cheon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8.10.29
  • 심사 : 2018.12.10
  • 발행 : 2018.12.30

초록

유아를 대상으로 죽음에 대한 연구를 할 때는 구조화된 자료수집 방법 대신 유아의 반응에 민감하고 개방적인 질적 접근을 통해 이들의 사고과정을 이해해야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성인 연구자의 주도로 이루어진 연역적 논리의 양적방법이 갖는 한계를 극복하면서 유아가 죽음의 하위개념들을 어떻게 이해하고, 그 개념들 간의 관계를 어떠한 논리적 사고과정을 통해 형성하는지를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귀납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자료수집을 위해 Smilansky(1987)가 고안한 Death Concept Questionnaire 및 Corr와 Balk(2010)의 이론을 참고하여, 유아에게 죽음 하위개념 인식에 대한 일대일 면접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는 유아들이 죽음에 대한 이해를 획득해가는 과정 중에 있으며, 하위개념 별로 그 정도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하위개념에 대한 완전 획득의 비율이 높은 순서는 비가역성, 비기능성, 예측불가능성, 포괄성, 인과성, 그리고 필연성이었다. 한편, 이러한 6개의 하위개념들이 인지적 발달 수준에 대한 평가적 속성을 띄었다면 사후연속성은 사회문화적 영향을 받는 신념적 특성을 지닌다. 죽음 개념에 대한 개방형 추적질문을 통해 나타난 질적 결과는 유아가 죽음 개념을 획득 또는 획득하지 못하는 데에는 나름의 논리적 근거가 있으며, 이는 인지발달 단계의 특성인 동시에 사회문화적 학습에 의한 것이라는 점이다. 죽음의 하위개념들은 서로 연관되어 유아의 인지적 조작에 영향을 미치며, 이로 인해 특정 하위개념의 획득과 미획득 여부가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보편성과 인과성, 그리고 종국성과 사후연속성이 논리적으로 연계되는 특징적 반응이 나타났다.

Objective: Research on children's death concepts requires an approach considering social and cultural context. A qualitative method is necessary to explore children's cognitive process of understanding death. Thus, this study,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quantitative approach based on the deductive logic led by adult researchers, adopte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Methods: The data collection, referring to the theories of Corr and Balk (2010) and Smilansky (1987), used Death Concept Questionnaire. Each structured question was followed by open follow-up questions to explore how children understood each concept of death.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 children were still lacking in the acquisition of death sub-concepts. The qualitative result from open interview showed how children can and can not acquire the concepts of death. Conclusion/Implications: The study could be used in future development of death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for children's death education, which would help them coping with death related anxiety and loss experiences.

키워드

참고문헌

  1. 권성자(1984). 어린이들의 죽음에 대한 이해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남주(1984). 아동의 죽음 개념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상희(1986). 죽음에 대한 어린이의 이해도 및 부모와 교사의 의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양남(1993). 아동의 죽음 개념 발달에 관한 연구: 사람, 동물, 식물의 죽음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서현아(1998). 연령에 따른 유아의 죽음개념 인식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학회지, 19(1), 97-118.
  6. 양진희(2006). 유아의 죽음개념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아동학회지, 27(3), 1-27.
  7. 양진희(2007). 문학적 접근을 통한 죽음개념 교육이 유아의 죽음에 대한 인식 및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2(4), 49-74.
  8. 이정희(1988). 아동의 죽음개념형성 및 그 중재효과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이정희(2007). 아동의 죽음개념 발달과 죽음대비교육. 목포과학대학논문집, 31, 341-368.
  10. 이찬숙, 조메리명희(2009). 그림책을 활용한 죽음 교육이 유아의 죽음개념 및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 아동과 권리, 13(3), 417-437.
  11. 정경숙(1985). 아동의 죽음에 대한 개념과 인지적 발달과의 관계: 유치원에서 초등학교 3학년까지의 아동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정경숙(2000). 아동의 보존개념 발달수준과 죽음에 대한 정서경험수준이 죽음의 개념발달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정은미(1999). 종교와 죽음경험유무에 따른 유아의 죽음 개념 연구.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Corr, C. A. (2010). Children's emerging awareness and understandings of loss and death. In C. A. Corr & D. Balk (Eds). Children's encounters with death, bereavement, and coping (pp. 21-37). NY: Springer Publishing Company.
  15. Corr, C. A., & Balk, D. (Eds.). (2010). Children's encounters with death, bereavement, and coping. NY: Springer Publishing Company.
  16. Grollman, E. A. (1990). Talking about death: A dialogue between parent and child. MA: Beacon Press.
  17. Hunter, S. B., & Smith, D. E. (2008). Predictors of children's understanding of death: Age, cognitive ability, experience and maternal communicative competence. Omega: Journal of Death and Dying, 57(2), 143-162. https://doi.org/10.2190/OM.57.2.b
  18. Lonetto, R., & Templer, D. I. (1986). Death anxiety. DC: Hemisphere.
  19. Moore, J., & Moore, C. (2010). Talking to children about death-related issues. In C. Corr & D. Balk (Eds). Children's encounters with death, bereavement, and coping (pp. 277-291). NY: Springer Publishing Company.
  20. Nagy, M. (1948). The child's theories concerning death. The Pedagogical Seminary and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73(1), 3-27. https://doi.org/10.1080/08856559.1948.10533458
  21. Nagy, M. (1959). The child's view of death. In H. Feifel (Ed). The meaning of death (pp. 79-98). NY: McGraw Hill.
  22. Padgett, D. K. (1998). Qualitative methods in social work research: Challenges and rewards. CA: Sage.
  23. Richardson, F. J. (1993). Death education: A comparison of two programs for mothers of young childr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alifornia School of Professional Psychology, California.
  24. Slaughter, V., & Griffiths, M. (2007). Death understanding and fear of death in young children. Clinical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12(4), 525-535. https://doi.org/10.1177/1359104507080980
  25. Smilansky, S. (1987). On death: Helping children understand and cope. NY: Peter Lang Publishing, Inc.
  26. Speece, M. W., & Brent, S. B. (1984). Children's understanding of death: A review of three components of a death concept. Child Development, 55(5), 1671-1686. https://doi.org/10.2307/1129915
  27. Speece, M. W., & Brent, S. B. (1992). The acquisition of a mature understanding of three components of the concept of death. Death Studies, 16(3), 211-229. https://doi.org/10.1080/07481189208252571
  28. Speece, M. W., & Brent, S. B. (1996).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understanding of death. In C. A. Corr & D. M. Cor (Eds). Handbook of childhood death and bereavement (pp. 29-50). NY: Springer Publishing Company.
  29. Vygotsky, L. S. (1978).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MA: Harvard University Press.
  30. Wass, H., & Towry, B. J. (1980). Children's death concepts and ethnicity. Death Education, 4(1), 83-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