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자연재해 안전교육이 유아의 안전문제해결사고 및 환경 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atural Disaster Safety Education on Young Children's Safety Problem-solving Abilities and Eco-friendly Attitudes

  • 투고 : 2018.10.29
  • 심사 : 2018.12.09
  • 발행 : 2018.12.30

초록

본 연구는 자연재해의 발생이 급증하는 현상을 반영하여 자연재해 안전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교육 활동을 구성하였으며, 유아의 안전문제해결사고와 환경 친화적 태도를 향상 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행정안전부와 충청북도 교육청에서 다루고 있는 자연재해 종류를 참고하여 지진, 황사, 폭염, 홍수, 태풍, 낙뢰, 화재, 폭설, 지구온난화를 교육내용으로 포함시켜 자연재해 안전교육 활동을 20회기로 계획하였다. 연구대상은 충청북도 C시에 위치한 K병설 유치원 만 4세 유아 20명을 실험집단으로, N병설 유치원 만 4세 유아 20명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의 경우 본 연구 활동을 진행하였고 통제집단의 경우 누리과정 생활주제에 기초한 일상적인 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자연재해 안전교육을 실시한 실험집단 유아들이 통제집단 유아들보다 안전문제해결사고와 환경 친화적 태도가 향상되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이루어진 자연재해 안전교육이 유아의 안전문제해결사고와 환경 친화적 태도 향상에 효과를 줄 수 있는 교육활동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제로 유아교육현장에서 자연재해 안전교육을 실시하고자 하는 현장 교사들에게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 In this study, educational activities were organize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natural disaster safety education by reflecting the recent rapid increases in natural disasters. The study focused on story-sharing, art, and game activities to effectively conduct natural disaster safety education for four-year-old children, and in doing so, aimed to improve the children's safety problem-solving abilities and eco-friendly attitude. Methods: Based on the types of natural disasters that are handled by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and the Chungcheongbuk-do Office of Education, earthquakes, yellow dust, heat waves, floods, typhoons, bolts of lighting, fires, snowstorms, and global warming were included as the study's educational contents, and a total 20 sessions of natural disaster safety education activities were planned. For the subjects, 20 four-year-old children at K Kindergarten attached to a school were selected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20 four-year-old children at N Kindergarten attached to a school were selected as a control group. Both kindergartens were located in C City, Chungcheongbuk-do. The experimental group was instructed to perform the study's education activities, whereas the control group only carried out general activities based on the Nuri Curriculum's subjects of daily life. Results: As a result,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d the natural disaster safety education, improved their safety problem-solving abilities and eco-friendly attitude when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group. This outcome proved that the natural disaster safety education conducted by the present study offers educational activities that can positively affect improvements in children's safety problem-solving abilities and eco-friendly attitude. Conclusion/Implications: Therefore, the present study is likely to provide concrete information to teachers who plan to conduct natural disaster safety education in the actual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문희, 김매희, 유정은(2010). 아동발달론. 고양: 공동체.
  2. 고정완(2016). 상황역할극 중심의 안전교육이 유아의 안전문제해결사고와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곽은복(2000). 유아 안전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및 효과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곽은복(2002). 보육시설에서의 유아 안전교육에 대한 방향모색. 한국보육학회지, 2(2), 7-23.
  5. 곽은복(2005). 생태 지향적 관점에 근거한 유아 환경교육의 전망. 아동교육, 14(1), 83-96.
  6. 국립방재연구원(2017). 자연재난. http://www.ndmi.go.kr/ 에서 2017년 7월 28일 인출
  7. 김뢰호, 권용수, 김혜영(2014). 재난안전관리분야 교육훈련의 효과성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인사행정학회보, 13(3), 385-401.
  8. 김미정(2018). 동화를 활용한 안전교육활동이 만 3세 유아의 안전지식 및 안전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선야(2015). 안전동화와 동요를 활용한 안전교육이 유아의 안전지식과 안전문제해결사고에 미치는 효과.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수향(2011). 안전에 관한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이 유아의 안전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1(2), 255-282.
  11. 김재우(2012). 교통안전 훈련을 위한 교육용 게임 디자인 연구. 광운대학교 정보콘텐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정원, 김유정(2005). 만 4-5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안전관련 행동과 자녀의 안전지식과의 관계연구, 한국보육학회지, 5(2), 21-41.
  13. 김진숙, 김호(2012). 이야기 만들기 극.연계활동이 유아의 안전지식 및 안전문제해결사고 능력에 미치는 효과. 육아지원연구, 7(1), 71-91.
  14. 김현옥(2013). 녹색환경 활동이 유아의 환경 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기후변화와 에너지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박성익, 최영수(1996). 학습의 조건과 교수이론. 서울: 교육과학사.
  16. 박세영(2012). 환경동화를 활용한 유아 환경교육활동이 친환경적 태도와 환경보전지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박순자(2005). 시청각 자료를 이용한 안전교육 활동이 유아의 안전문제 해결사고능력 및 안전지식에 미치는 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박은미(2012). 영상매체를 활용한 재난안전교육이 유아의 안전문제해결사고 및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서광선, 홍혜경(2004). 인터넷과 그림자료를 활용한 이야기 나누기가 유아의 언어표현 및 그림 표현 능력에 미치는 효과비교. 어린이미디어연구, 3, 71-88.
  20. 안경숙, 허미화, 신애선(2018). 지속가능발전 내용이 포함된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자연환경 감수성과 환경 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육학회지, 18(3), 141-157.
  21. 양연숙, 장혜자, 김현지, 김연주, 송진영(2014). 영유아 미술교육. 파주: 양서원.
  22. 양진희(2005). 상황중심 안전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안전지식 및 안전문제해결사고에 미치는 효과. 아동학회지, 26(6), 367-383.
  23. 오숙현, 김해경(2013). 자연재해 교육이 초등학교 저학년 통합학급 아동의 환경 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11), 1004-1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1.1004
  24. 유미(2013). 현장적용을 위한 미술치료의 이해. 파주: 이담.
  25. 유종민(2015). 통합적 안전교육 프로그램 활동이 유아의 안전지식 및 안전문제해결사고능력에 미치는 효과.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윤선화, 정윤경, 이경선(2010). 영유아를 위한 안전교육과 안전교육 프로그램. 서울: 한국생활안전연합.
  27. 윤정희, 김희태(2018). 유아 지속가능발전교육 활동의 효과. 한국보육학회지, 18(1), 147-168.
  28. 이경애(2009). 동화를 활용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안전지식 및 안전문제해결 사고에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이기숙, 강연희, 박희숙, 배소연, 정미라(1997). 영유아를 위한 안전교육. 파주: 양서원.
  30. 이순자(2007). 유아교육기관 주변영역의 안전실태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7(4), 69-81.
  31. 이아롱(2012). 자연물을 활용한 게임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자연친화적태도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이영철(2007). 자연재해의 원인과 관리전략에 관한 연구: 사례 및 AHP 분석을 중심으로.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3. 이은우(2014). 자연 사진 감상과 연계한 숲 체험활동이 유아의 과학 과정기술 및 환경 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이인숙, 문수백(2006). 동화 짓기 활동을 통한 유아안전교육이 유아들의 안전문제해결사고와 안전지식에 미치는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3(3), 89-109.
  35. 이재수(2010). 자연재해의 이해. 서울: 구미서관.
  36. 이지영(2010). 친환경 녹색학교 구현을 위한 초등학교 실천사례 및 개선방안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이현숙(2004). 동화를 활용한 안전교육 통합 활동 프로그램의 유아 안전지식 및 안전문제해결 사고 증진 효과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인재천(2012). STS접근법을 활용한 통합적 유아 에너지 교육이 환경 친화적 태도와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2(3), 83-101.
  39. 임명희(2005). 어린이 보건.안전 체험실 운영의 교육적 효과성 확인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5(1), 105-121.
  40. 장소영(2011). 통합적 안전 교육활동이 유아의 안전문제 해결사고 능력에 미치는 영향.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장은숙(2011). 일본 방재교육에 관한 고찰. 한국일본교육학연구, 16(1), 127-136.
  42. 장은준(2013). 유아녹색성장교육이 유아의 환경 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정정희(1999). 환경교육: 취학 전 아동들의 환경에 대한 의식 고취와 책임감 있는 행동 개발을 위한 제언. 아동교육, 8(2), 159-166.
  44. 정희라(2016). 유아 교육기관 내 안전에 관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안전문제해결 사고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최은화(2002). 유아의 안전에 대한 지각 및 안전문제해결사고 능력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한민경, 김수향(2012).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자연재해 안전교육 실태 및 교사의 인식분석: 대구 및 경북을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6(1), 135-162.
  47. 한영숙, 최태식(2006). 경험중심 안전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안전지식 및 안전문제해결사고와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3(4), 47-79.
  48. 한유선(2014). 미디어를 활용한 안전교육이 유아의 안전문제해결사고와 안전지식에미치는 영향. 중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9. 허미애(2016). '주제관련 이야기 나누기'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과 교수 현황 조사연구. 유아교육학논집, 20(1), 97-122.
  50. 허윤정(2001). 통합적 접근에 의한 동물 기르기가 유아의 환경 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1. Ast. M. E. (1995). Preschool children's conceptualization of safety and moral rules.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Oklahoma state University.
  52. Cohen, S., & Trostle, S. (1990). This land is our land: Promoting ecological awareness in young children. Childhood Education, 66(5), 304-310. https://doi.org/10.1080/00094056.1990.10522545
  53. Dighe, J. B. (1993). Children and the earth. Young Children, 48(3), 58-63.
  54. Hendricks, C. M., & Reichert, A. (1996). Parents' self-reported behaviors related to health and safety of very young children. Journal of School Health, 66(7), 247-251. https://doi.org/10.1111/j.1746-1561.1996.tb06279.x
  55. Holt, B. (1988). Science with young children. Washington, DC: NAEYC.
  56. Kamii, C. (1982). Number in preschool and kindergarten. Washington, DC: NAEYC.
  57. Musser, L, M., & Diamond, K. E. (1999). The children's attitudes toward the environment scale for preschool children.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30(2), 23-30. https://doi.org/10.1080/00958969909601867
  58. Renaud, L., & Suissa, S. (1989). Evaluation of the efficacy of simulation games in traffic safety education of kindergarten children.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79(3), 307-309. https://doi.org/10.2105/AJPH.79.3.307
  59. Scott, R. J. (1992). Preventing injury: A safety curriculum for preschool-kindergart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Alabama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