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Child Care Teachers' Mindfulness on Teacher Sensitivity: The Mediating Effect of Burnout

보육교사의 마음챙김이 교사민감성에 미치는 영향: 소진의 매개효과

  • 박나연 (이화여자대학교 아동학과) ;
  • 한세영 (이화여자대학교 아동학과)
  • Received : 2018.10.15
  • Accepted : 2018.11.23
  • Published : 2018.12.31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 care teachers' mindfulness, burnout, and sensitivity. Also, the effects of child care teachers' mindfulness on teacher sensitivity, including the mediating effects of burnout, were investigated. Methods: A total of 263 child care teachers who work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s and regressions using SPSS 21.0. Result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child care teachers' mindfulness, burnout and teacher sensitivity.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fulness and teacher sensitivity was partially mediated by burnout. To be specific, mindfulness not only had a direct effect on teacher sensitivity, but also had an indirect effect on teacher sensitivity through burnout. Among the three dimensions of burnout, the decrease of personal accomplishments had the biggest significant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fulness and teacher sensitivity. Conclusion/Implications: In conclusion,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mindfulness in reducing burnout and enhancing teacher sensitivity toward children. Also, this research ha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regarding the mindfulness of child care teachers and offers a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mindfulness training programs for child care teachers.

Keywords

BOJGB2_2018_v14n6_69_f0001.png 이미지

그림 1. 마음챙김이 교사민감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적 고갈의 매개효과

BOJGB2_2018_v14n6_69_f0002.png 이미지

그림 2. 마음챙김이 교사민감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비인간화의 매개효과

BOJGB2_2018_v14n6_69_f0003.png 이미지

그림 3. 마음챙김이 교사민감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취감 감소의 매개효과

표 1. 연구대상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BOJGB2_2018_v14n6_69_t0001.png 이미지

표 2.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와 각 변인들의 기술통계

BOJGB2_2018_v14n6_69_t0002.png 이미지

표 3. 마음챙김이 교사민감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적 고갈의 매개효과

BOJGB2_2018_v14n6_69_t0003.png 이미지

표 3. 계속

BOJGB2_2018_v14n6_69_t0004.png 이미지

표 4. 마음챙김이 교사민감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비인간화의 매개효과

BOJGB2_2018_v14n6_69_t0005.png 이미지

표 5. 마음챙김이 교사민감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취감 감소의 매개효과

BOJGB2_2018_v14n6_69_t0006.png 이미지

References

  1. 강병재, 백영숙 (2013). 어린이집 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과의 관계에서 교수 창의성과 교수 효능감의 매개효과. 어린이미디어연구, 12(1), 145-168.
  2. 고경미, 이선경 (2017).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가 교사-유아 상호작용 및 가족-교사 간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3), 397-414. doi:10.22251/jlcci.2017.17.13.397
  3. 고경필, 심미영 (2017).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9), 313-333. doi:10.22251/jlcci.2017.17.9.313
  4. 김교헌 (2008). 마음챙김과 자기조절 그리고 지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2), 285-306.
  5. 김미영, 정옥분 (2014). 영아전담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교사민감성에 관한 연구 : 환경변인 및 개인변인을 중심으로. 인간발달연구, 21(2), 75-96.
  6. 김빛나, 임영진, 권석만 (2010). 탈중심화가 내부초점적 반응양식과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9(2), 573-596. doi:10.15842/kjcp.2010.29.2.014
  7. 김숙령 (2010). 영아-교사간 상호작용의 질적 수준과 교사의 민감성이 영아의 부모와 교사에 대한 애착과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61, 197-215.
  8. 김아령 (2015).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교사 민감성에 미치는 영향과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은희 (2011). 장애인 활동보조인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전주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정희, 최미경 (2013). 보육교사의 개인변인, 정서노동, 직무소진의 관계. 생태유아교육연구, 12(2), 51-68.
  11. 김지연 (2016). 보육교사 소진이 보육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심리적 안녕감의 매개 효과. 덕성여자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현지 (2008). 놀이상황에서 1세 영아의 상호작용 동기 및 어머니의 반응을 통해 본 상호작용의 의미 탐색.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도남희, 김정숙, 하민경 (2013). 영유아의 생활시간조사.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14. 박남수 (2012). 사무직 근로자의 마음챙김,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창의성, 소진, 조직몰입 사이의 관계에 대한 구조 분석. 보건과 사회과학, 32, 93-114.
  15. 박성현 (2006). 마음챙김 척도 개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박혜민, 채규만 (2012). 마음챙김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방략의 매개효과. 인지행동치료, 12(3). 259-274.
  17. 보건복지부 (2018. 3). 보육통계[2017. 12월말 기준]. http://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21&CONT_SEQ=344377&page=1에서 2018년 9월1일 인출
  18. 석은조, 신성철 (2008). 유아교사가 지각한 유아교육기관의 조직문화 유형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안.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1), 327-348.
  19. 신영일, 정신섭 (2017).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교사소진의 매개효과. 사회복지경영연구, 4(1), 155-181.
  20. 오선균 (2001). 보육교사 직무만족과 소진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오정윤 (2011). 보육교사 민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3), 25-47.
  22. 유경숙, 김수옥 (2004). 유아교사의 소진에 관한 연구. 아동교육, 13(2), 293-302.
  23. 유지연, 황혜정 (2015). 영아교사의 민감성, 효능감, 영아와의 상호작용이 영아의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3), 1-23. doi:10.14698/jkcce.2015.11.3.001
  24. 윤경미, 윤혜미 (2015). 보육교사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정서성, 건강상태 및 조직 건강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집의 정부재정지원여부에 따라.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9(4), 503-528.
  25. 윤지영 (2015).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분노표현방식과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조절효과.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이경열, 박영신 (2015). 보육교사의 마음챙김, 직무 스트레스, 교사 효능감 및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실행간의 관계. 생애학회지, 5(3), 47-63. doi:10.30528/jolss.2015.5.3.004
  27. 이나영, 국지윤, 김영옥 (2014).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정서노동의 매개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 89, 341-359.
  28. 이민선 (2015). 기혼보육교사의 다중역할과 심리적 소진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배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9. 이방실, 강수경, 정미라 (2016).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 열린교육연구, 24(3), 75-94. doi:10.18230/tjye.2016.24.3.75
  30. 이수련, 이정화 (2010). 유치원 교사의 경력에 따른 소진과 자아탄력성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30(6), 51-65. doi:10.18023/kjece.2010.30.6.003
  31. 이정숙 (2003). 교사경력과 유아연령에 따른 교사-유아의 상호작용. 계명대학교 유아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이정순, 박용순, 송진영 (2016). 국공립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과의 관계. 교육문화연구, 22(4), 379-407. doi:10.24159/joec.2016.22.4.379
  33. 이주영, 현혜진 (2017). 아이돌보미의 감정노동과 직무 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26(2), 85-92. doi:10.5807/kjohn.2017.26.2.85
  34. 이희은, 김현익, 우연희, 김순호, 문수백 (2012).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관련변인의 관계 구조 분석: 직무스트레스, 임파워먼트, 직장내 지지를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7(4), 75-97.
  35. 장성오, 김용미 (2011).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소진이 양육효능감과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발도르프교육연구, 3(1), 91-111.
  36. 장영희, 곽승주 (2004). 2세 영아-교사간 상호작용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아동학회지, 25(4), 71-92.
  37. 장현갑 (2004). 스트레스 관련 질병 치료에 대한 명상의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2), 471-492.
  38. 정연일 (2016).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 효과. 삼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정유정, 김진욱 (2017). 영아반 보육교사의 교사민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정서안정성, 대인관계 스트레스, 근무환경을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38(2), 205-218. doi:10.5723/kjcs.2017.38.2.205
  40. 조성연 (2004).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직무스트레스. 한국영유아보육학, 36, 23-44.
  41. 조성연 (2005).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소진. 한국생활과학회지, 14(1), 69-79.
  42. 조환이, 윤선아 (2014). 교사소진 연구 동향 분석. 뇌교육연구, 13, 77-100.
  43. 최미곤, 황인옥 (2016). 보육교사의 인성과 직무만족도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9(2), 169-197.
  44. 최승숙 (2011). 교사 소진과 효능감이 교사와 영유아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최형성 (2015).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9(5), 193-212.
  46. 한국보육진흥원 (n.d). 마음성장 프로젝트. https://mindup.kcpi.or.kr/biz_guide/biz_cover에서 2018년 11월 10일 인출
  47. 한임순, 이순례, 김향자, 권용은 (1997). 어린이집 교사의 소진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10, 97-130.
  48. 홍순덕, 김형길 (2017). 호텔직원의 감성지능이 문화적 공감, 심리적 소진, 회복탄력성, 고객지향 성에 미치는 영향.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17(4), 245-266.
  49. Abenavoli, R. M., Jennings, P. A., Greenberg, M. T., Harris, A. R., & Katz, D. A. (2013). The protective effects of mindfulness against burnout among educators. Psychology of Education Review, 37(2), 57-69.
  50.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doi:10.1037//0022-3514.51.6.1173
  51. Bishop, S. R. (2002). What do we really know about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Psychosomatic Medicine, 64(1), 71-83. doi:10.1097/00006842-200201000-00010
  52. Brown, K. W., Ryan, R. M., & Creswell, J. D. (2007). Mindfulness: Theoretical foundations and evidence for its salutary effects. Psychological Inquiry, 18(4), 211-237. doi:10.1080/10478400701598298
  53. Cohen-Katz, J., Wiley, S. D., Capuano, T., Baker, D. M., & Shapiro, S. (2005). The effects of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on nurse stress and burnout, part II: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y. Holistic Nursing Practice, 19(1), 26-35. doi:10.1097/00004650-200501000-00008
  54. Flook, L., Goldberg, S. B., Pinger, L., Bonus, K., & Davidson, R. J. (2013). Mindfulness for teachers: A pilot study to assess effects on stress, burnout, and teaching efficacy. Mind, Brain, and Education, 7(3), 182-195. doi:10.1111/mbe.12026
  55. Gerber, E. B. (2003). Predictors of teacher sensitive caregiving in center-based child car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USA.
  56. Gerzina, H. A., & Porfeli, E. J. (2012) Mindfulness as a predictor of positive reappraisal and burnout in standardized patients. Teaching and Learning in Medicine, 24(4), 309-314. doi:10.1080/10401334.2012.715255
  57. Hamre, B. K., & Pianta, R. C. (2001). Early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the trajectory of children's school outcomes through eighth grade. Child Development, 72(2), 625-638. doi:10.1111/1467-8624.00301
  58. Harris, A. R., Jennings, P. A., Katz, D. A., Abenavoli, R. M., & Greenberg, M. T. (2016). Promoting stress management and wellbeing in educators: Feasibility and efficacy of a school-based yoga and mindfulness intervention. Mindfulness, 7(1), 143-154. doi:10.1007/s12671-015-0451-2
  59. Hulsheger, U. R., Alberts, H. J. E. M., Feinholdt, A., & Lang, J. W. B. (2013). Benefits of mindfulness at work: the role of mindfulness in emotion regulation, emotional exhaustion, and job satisfac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8(2), 310-325. doi: 10.1037/a0031313
  60. Jennings, P. A. (2014). Early childhood teachers' well-being, mindfulness, and self-compassion in relation to classroom quality and attitudes towards challenging students. Mindfulness, 6(4), 732-743. doi:10.1007/s12671-014-0312-4
  61. Jennings, P. A., & Greenberg, M. T. (2009). The prosocial classroom: Teacher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e in relation to student and classroom outcome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79(1), 491-525. doi: 10.3102/0034654308325693
  62. Kabat-Zinn, J. (2003). Mindfulness-based interventions in context: Past, present, and future. Clinical Psychology: Science and Practice, 10(2), 144-156. doi:10.1093/clipsy/bpg016
  63. Kabat-Zinn, J., Lipworth, L., & Burney, R. (1985). The clinical use of mindfulness meditation for the self-regulation of chronic pain.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8(2), 163-190. doi:10.1007/bf00845519
  64. Krasner, M. S., Epstein, R. M., Beckman, H., Suchman, A. L., Chapman, B., Mooney, C. J., et al. (2009). Association of an educational program in mindful communication with burnout, empathy, and attitudes among primary care physicians. Jama, 302(12), 1284-1293. doi:10.1001/jama.2009.1384
  65. Langer, E. J. (2008). Mindfulness, 마음챙김: 생각을 여는 심리학(이양원 옮김). 서울: 동인(원판 1990).
  66. Lutz, A., Brefczynski-Lewis, J., Johnstone, T., & Davidson, R. J. (2008). Regulation of the neural circuitry of emotion by compassion meditation: Effects of meditative expertise. PLoS ONE, 3(3), e1897. doi:10.1371/journal.pone.0001897
  67. Lutz, A., Slagter, H., Dunne, J., & Davidson, R. (2008). Attention regulation and monitoring in meditation. Trends in Cognitive Science, 12(4), 163-169. doi:10.1016/j.tics.2008.01.005
  68. Maslach, C. (1986). Stress, burnout and workaholism. In R. R. Killberg, P. E. Nathan, & R. W. Thoreson (Eds.), Professionals in distress: Issues, syndromes and solutions in psychology (pp. 53-73).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doi:10.1037/10056-004
  69. Maslach, C., & Jackson, S. E. (1981).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Journal of Occupational Behavior, 2(2), 99-113. doi:10.1002/job.4030020205
  70. Roeser, R. W., Schonert-Reichl, K. A., Jha, A., Cullen, M., Wallace, L., Wilensky, R., et al. (2013). Mindfulness training and reductions in teacher stress and burnout: Results from two randomized, waitlist-control field trial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05(3), 787-804. doi:10.1037/a0032093
  71. Roeser, R. W., Skinner, E., Beers, J., & Jennings, P. A. (2012). Mindfulness training and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n emerging area of research and practice. Child Development Perspectives, 6(2), 167-173. doi:10.1111/j.1750-8606.2012.00238.x
  72. Zelazo, P. D., & Cunningham, W. (2007). Executive function: Mechanisms underlying emotion regulation. In J. Gross (Ed.), Handbook of Emotion Regulation (pp. 135-158). New York: Guilford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