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for Development of Competency-Based Continuing Education System Depending on Nurses Clinical Ladder

간호사 임상경력단계에 따른 역량기반 보수교육시스템 개발을 위한 연구

  • 장금성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간호과학연구소) ;
  • 김희영 (동신대학교 간호학과) ;
  • 김남영 (호남대학교 간호학과)
  • Received : 2018.10.15
  • Accepted : 2018.11.29
  • Published : 2018.12.28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list of nursing competency for nurses' continuing education, and to propose a competency-based continuing education system according to nurses' clinical ladder. The definition of nursing competency was extracted by analyzing 10 studies. Also, the knowledge base of each nursing competency was confirmed through Carper and Chinn & Kramer's research. Nurses' clinical ladder and preliminary items of nursing competency behavior indicators were verified by seven experts for content valid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Nursing competencies were defined as 'evidence-based patient care', 'education and counseling', 'nursing management and leadership', 'law and ethics', 'professional value and development', 'research and policy development'. In addition, the validity of the 4 stages of clinical ladder and the 24 indicators of nursing competency were confirmed by exper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competency-based continuing edu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clinical ladder will be utilized as an effective human resource development strategy for improving the professionalism of nurses.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 보수교육을 위한 간호역량을 도출하고 간호역량의 정의와 지식기반을 규명하며, 경력단계를 구분하여 역량기반 보수교육시스템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국내외 문헌 10개를 분석하여 간호역량을 도출 정의하였고, Carper와 Chinn & Kramer의 연구를 근거로 각 간호역량의 지식기반을 규명하였다. 간호사 경력단계별 간호역량 행동지표를 개발한 후, 국내 전문가 7인을 선정하여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보수교육 이수를 위한 간호역량은 근거기반환자간호, 교육과 지도상담, 간호관리와 리더십, 법과 윤리, 직업가치와 전문성 개발, 연구와 정책개발이었다. 또한 보수교육 이수를 위한 임상경력 4단계 구분과 24개 간호역량 행동지표의 타당성을 확인하였고, 임상경력단계별 간호사 보수교육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임상경력단계에 따른 역량기반 보수교육시스템이 국내 간호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인적자원개발 전략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Keywords

CCTHCV_2018_v18n12_503_f0001.png 이미지

그림 1. 간호역량 레이더 포트폴리오

표 1. 간호역량 도출을 위한 분석문헌

CCTHCV_2018_v18n12_503_t0001.png 이미지

표 2. 간호역량 도출

CCTHCV_2018_v18n12_503_t0002.png 이미지

표 3. 간호역량의 지식기반

CCTHCV_2018_v18n12_503_t0003.png 이미지

표 4. 보수교육 이수를 위한 간호사 임상경력단계

CCTHCV_2018_v18n12_503_t0004.png 이미지

표 5. 임상경력단계별 간호역량 행동지표

CCTHCV_2018_v18n12_503_t0005.png 이미지

표 6. 임상경력단계별 간호사 보수교육방법

CCTHCV_2018_v18n12_503_t0006.png 이미지

References

  1.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page=153&CONT_SEQ=330381&SEARCHKEY=TITLE, 2016.3.9.
  2. 보수교육업무지침, 대한간호협회, 2015.
  3. 보건복지통계연보, 보건복지부, 2017(제63호).
  4. https://edu.kna.or.kr/main/MainView.do
  5. 간호교육평가원, "간호사 핵심역량," 2012. http://www.kabone.or.kr/HyAdmin/upload/goodFile/120121127132143.pdf
  6. 고정희, 간호사 보수교육프로그램의 핵심역량,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7. 고정희, 한미라, 허정, "서울지역 간호사 보수교육 실시 분석-오프라인교육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2권, 제6호, pp.527-538, 2014. https://doi.org/10.14400/JDC.2014.12.6.527
  8. 한상만, 이희수, "간호사의 계속교육 참여 동기에 관한 연구," 직업교육연구, 제29권, 제2호, pp.189-204, 2010.
  9. 조미영, "간호사의 보수교육프로그램 평가에 대한 중요도 인식," 성인간호학회지, 제25권, 제1호, pp.1-12, 2013. https://doi.org/10.7475/kjan.2013.25.1.1
  10. 안덕선, 이영미, 이태화, 김형섭, 한창호, 김정민, 등, 의료계 보수교육 실태평가 연구, 보건복지부 용역연구보고서, 2013.
  11. P. Benner, From novice to expert : Excellence and power in clinical nursing practice, Menlo Park, California : Addison -Wesley, 1984.
  12. 박영임, 김정아, 고자경, 정명실, 방경숙, 최명애, 유미수, 장혜영, "간호역량 규명을 위한 문헌 분석,"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9권, 제4호, pp.663-674, 2013. https://doi.org/10.5977/JKASNE.2013.19.4.663
  13. 대한간호협회, http://www.koreanurse.or.kr/about_KNA/definition.php
  14. 장금성, 간호사의 임상경력개발 모형구축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15. 김정아, 고자경, "역량기반 간호교육과정을 위한 핵심역량 모델링,"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1호, pp.7653-7647, 2015.
  16. B. A. Carper, "Fundamental patterns of knowing in nursing," ANS, Vol.1, No.1, pp.13-24, 1978.
  17. P. L. Chinn and M. K. Kramer, Integrated theory and knowledge development in nursing(7th ed.), St Louis, MO: Mosby Elsevier, 2008.
  18. 김미원, "핵심간호능력 중심 간호학실습교육목표 개발," 대한간호학회지, 제36권, 제2호, pp.389-402, 2006. https://doi.org/10.4040/jkan.2006.36.2.389
  19. 조명숙, 조용애, 김경희, 권인각, 김미순, 이정림, "간호사 임상경력관리체계 모형 개발," 임상간호연구, 제21권, 제3호, pp.277-292, 2015. https://doi.org/10.22650/JKCNR.2015.21.3.277
  20. 김금순, 임경춘, 강소영, 이영희, "전문간호사 핵심역량개발," 대한간호, 제52권, 제258호, pp.44-47, 2014.
  21. D. T. Cowan, I. J. Norman, and V. P. Coopamah, "A project to establish a skills competency matrix for EU nurses," British Journal of Nursing, Vol.14, pp.613-617, 2005. https://doi.org/10.12968/bjon.2005.14.11.18206
  22. Nursing and Midwifery Board of Australia (NMBA, 2006),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for the registered nurse," 2006.
  23. Canadian Nurses Association, "Framework for the practice of registered nurses in Canada," 2007.
  24. American Nurses Association, "The Nursing Process and Standards of professional Nursing Practice," 2010.
  25. Massachusetts Department of Higher Education Nursing Initiative, "Nursing core competencies Nurse of the future: Nursing core competencies," 2010.
  26. 장금성, 정향인, 최자윤, 유성희, 성찰과 근거에 기반한 간호교육과정 개선 연구, 전남대학교 교육과정 개선 연구 사업보고서, 2014.
  27. 김영희, 권인수, 김경덕, 박경민, 박현숙, 소향숙 등, 간호교육 사례중심 교수학습법, 포널스출판사, 2016.
  28. M. R. Lynn,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 Res, Vol.35, No.6, pp.382-385, 1986.
  29. D. F. Polit, C. T. Beck, and S. V. Owen, "Is the CVI an acceptable indicator of content validity? Appraisal and recommendations," Res Nurs Health, Vol.30, No.4, pp.459-467, 2007. https://doi.org/10.1002/nur.20199
  30. 곽미정, 간호사의 임상경력별 간호역량에 따른 실무교육 요구도,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