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search on the Syntactic-Semantic Analysis System on Compound Sentence for Descriptive-type Grading

서술형 문항 채점을 위한 복합문 구문의미분석 시스템에 대한 연구

  • Received : 2018.08.30
  • Accepted : 2018.10.19
  • Published : 2018.11.30

Abstract

The descriptive-type question is appropriate for deep thinking ability evaluation, but it is not easy to grade. Since, even though same grading criterion, the graders produce different scores, we need the objective evaluation system. However, the system needs the Korean analysis. As the descriptive-type answering is described with the compound sentence, the system has to analyze the compound sentence. This paper develops the Korean syntactic-semantic analysis system for compound sentence and evaluates performance of the system. This system selects the modifiee of the word phrase using syntactic-semantic constraint and semantic dictionary. The 93% accurate rate shows that the system is effective. This system will be utilized in descriptive-type grading and Korean processing.

서술형 문항은 수준 높은 사고능력 평가에 적합하나 채점이 쉽지 않다. 동일한 채점기준을 적용하더라도 채점자마다 서로 다른 채점을 할 수 있으므로 객관적인 채점 시스템이 필요하다. 그렇지만 채점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표현 언어인 한국어 분석이 전제되어야 한다. 특히 서술형 문항의 답변은 단문형태가 아닌 복문이 내포된 복합 문장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복합문의 한국어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서술형 문항의 자동 채점을 위해 한국어의 복합문을 구문의미 분석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시스템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이 시스템은 의미속성 사전을 활용하여 대상 구문의 의미적 제한조건을 검사하고 적합한 피수식 대상을 선별하여 구문의미분석을 실행한다. 실험 데이터에 대해 93%의 정확률을 얻어 제안한 시스템이 효과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시스템은 서술형 문항 채점에 활용할 수 있고 한국어 처리의 응용영역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정상목.한병래.송기상 (2005). LSA를 이용한 서술형 주관식 평가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한국정보교육학회, 9(2), 288-298.
  2. 조우진.오정석.이재영.김유섭 (2005). 의미커널과 한글 워드넷에 기반한 지능형 채점 시스템.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12-A(6), 539-546.
  3. 강원석 (2007). 구문-격의미 정보를 이용한 주관식 문제 채점 시스템 설계 및 구현.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0(5), 61-69.
  4. 박일남.강승식.노은희.김명화.성태제 (2013). 정답 템플릿 작성 방식에 의한 한국어 서답형 문항 자동채점 시스템. 정보과학회논문지 : 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19(12), 630-636.
  5. 박소영.김수홍.임해창 (2004). 문장성분의 다양한 자질을 이용한 한국어 구문분석 모델.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11(6), 743-748.
  6. 박의규.나동열 (2006). 한국어 구문분석을 위한 구묶음 기반 의존명사 처리. 인지과학, 17(2), 119-138.
  7. 안광모.서영훈 (2011). 구문분석의 중의성 해소를 위한 전처리 규칙의 확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5(2), 159-165.
  8. 박용욱.권혁철 (2013). 구간 분할과 논항정보를 이용한 구문분석시스템 구현에 관한 연구.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16(3), 366-374.
  9. 박용욱 (2009). 의존문법 기반의 구간 분할법 을 활용한 한국어 구문 분석기.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논문지, 13(8), 1705-1712.
  10. 남웅.윤애선.권혁철 (2014). 무제한 한국어 의존 구문분석기 'PNU-KLParser 2.0'의 개발. 정보과학회논문지 : 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20(6), 354-358.
  11. 이공주.김재훈 (2003). 규칙에 기반한 한국어 부분 구문분석기의 구현.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10(4), 389-396.
  12. 강원석.황도삼 (2004). 다국어 질의응답을 위한 한국어 해석 시스템 설계 및 구현. 한국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7(4), 43-50.
  13. 강원석.황도삼.Jung H Kim (2014). 구문 의미분석을 이용한 유사문서 판별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3), 40-51. https://doi.org/10.5392/JKCA.2014.14.03.040
  14. 박천음.이창기 (2017). 포인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한국어 의존 구문 분석. 정보과학회논문지, 44(8), 822-831.
  15. 유혜원 (2009). 한국어 구문분석 방법론 연구 -복문 구조 분석을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 50, 153-183.
  16. 김재훈.선충녕.홍상욱.이성욱.서정연.조정미 (1999). KTAG99: 새로운 환경에 쉽게 적응하는 한국어 품사 태킹 시스템. 제11회 한글 및 한국어정보처리 학술대회논문집, 99-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