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rchival Symposium for Rethinking Archives

기록학과 교육적 관점 기록향연, 몇 가지 단상

  • 이영남 (한신대학교 한국사학과)
  • Received : 2018.06.30
  • Accepted : 2018.07.27
  • Published : 2018.07.30

Abstract

Archival symposium was a time when men thought thoroughly about what archives were, and to carefully record such thoughts. In the time of archival symposium, I observed the people archiving. To bring out a thought for a man was a physical action that moves his own desire, language, emotion and senses simultaneously. In philosophy thought is not merely a logical and cognitive act. Thought is a physical act that includes logical thinking, feeling, emotion, will, and on. When there is a emotional change in the body, an idea about that change forms. Emotional change acts as a force that increases, decreases, accelerate and hinder the body's abilities. However, there were no suggestions for philosophical concepts from the start. Love is not taught by someone. At some point without oneself knowing we start love and really experience with our bodies what love is, and in this repeat love and undergo all these emotions. Would not the overall story of life be as such. It is different from building a car in a factory. When the archival symposium starts, we asked you to think about what archives are, and to record with such thoughts as reference. Archival symposium is still a proper noun. With the wish for it to become a general term, I report on the process and meaning of archival experiment that is the archival symposium.

기록향연은 인간에게 기록이란 무엇인가를 곰곰이 생각하면서 그 생각을 찬찬히 기록하는 시간이었다. 사람들이 기록하는 모습을 가만히 지켜보았다. 한 사람이 생각을 꺼낸다는 것은 그 사람의 욕망, 언어, 정서, 감각이 동시에 움직이는 신체적 활동이었다. 철학에서 생각은 논리적이고 인식적인 행위만이 아니다. 생각은 사고, 느낌, 정서, 의지 등을 망라하는 신체적(정신과 육체) 활동이다. 신체에서 어떤 정서적 변화가 생기면 그 변화에 대한 관념이 생긴다. 정서적 변화는 신체의 활동능력을 증가, 감소, 촉진, 저해하는 힘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처음부터 철학적 개념을 제시하지는 않았다. 사랑은 누가 가르쳐주지 않는다. 어느 순간 자신도 모르게 사랑하면서 사랑이 무엇인지 실감나게 몸으로 겪고 그 안에서 다시 사랑을 반복하면서 희노애락을 겪는다. 인생사가 대체로 이러지 않을까. 공장에서 자동차를 만드는 것과는 다를 것 같다. 기록향연이 시작되면, 무작정하고는 당신에게 기록이란 무엇인지 생각해보자고 했고, 그런 생각을 출처로 삼아 기록하자고 했다. 기록향연은 아직 고유명사이다. 일반명사가 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기록향연이라는 기록실험의 과정과 의미를 보고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곽건홍. 2011. 일상 아카이브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소론. 기록학연구, 29, 3-33.
  2. 김성도. 2017. 언어인간학. 파주: 21세기북스
  3. 박영숙. 2014. 이용자를 왕처럼 모시진 않겠습니다. 서울: 알마.
  4. 서은국. 2014. 행복의 기원. 파주: 21세기북스.
  5. 안의정. 2015. 사전과 정보란 무엇인가.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6. 엄태동 편저. 2001. 존 듀이의 경험과 교육. 서울: 원미사.
  7. 오명진. 2017. 개인 기록의 특성과 기록화 전략. 기록학연구, 53, 79-117.
  8. 이영남. 2012. 공동체아카이브, 몇 가지 단상. 기록학연구, 31, 3-42.
  9. 이영남. 조민지. 2014. 새로운 기록방법론을 위한 기호론적 접근. 기록학연구, 41, 113-173.
  10. 이해영. 2013. 기록조직론. 서울: 선인.
  11. 장영란. 2010. 철학의 치유적 논변과 실천적 기능. 현대유럽철학연구, 22,113-139.
  12. 장영란. 2011. 철학 상담과 철학적 대화법. 현대유럽철학연구, 25, 203-234.
  13. 조민지. 2011. 기억의 재현과 기록 기술담론의 새로운 방향. 기록학연구, 27, 89-118.
  14. 조민지. 2014. 기록과 기억의 문화정치: 국가기록 전시의 기호학적 접근. 한국외대 박사논문.
  15. 최유리. 임진희, 2016. 개인기록 관리 방안 연구: '나의 아카이브(My Archive)'. 기록학연구, 47, 5-49.
  16. 최재희. 2013. 영국의 마이너리티 역사교육과 기록물관리기관의 역할 확대 연구. 기록학연구, 36, 121-152.
  17. 파트리스 파비스(Patrice Pavice), 최준호, 유봉근, 김형기, 이난수. 2012. 수행성과 매체성: 21세기 인문학의 쟁점(인문학총서3). 서울: 푸른사상.
  18. 한동일. 2017. 라틴어 수업. 서울: 흐름출판.
  19. 황임경. 김호연. 2013. 구술사와 서사의학의 만남, 그 시론적 탐색. 의사학, 22(2), 357-388.
  20. Adam Smith. 1896. The Theory of Moral Sentiments. printed for Andrew Millar, in the Strand; and Alexander Kincaid and J. Bell, in Edinburgh. (김광수 역. 2016. 도덕감정론. 파주: 한길사).
  21. Bruner, Jerome. 1997. The Culture of Educa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강현석, 이자현 역. 2014. 브루너 교육의 문화. 파주: 교육과학사).
  22. Cassell, Eric J. 2004. The Nature of Suffering and the Goals of Medicine. Oxford University Press. (강신익 역. 2002. 고통받는 환자와 인간에게서 멀어진 의사를 위하여. 서울: 코기토).
  23. Christakis, Nicholas A., Fowler, James H. 2009. Connected The Surprising Power of Our Social Networks and How They Shape Our Lives. Little Brown and Company. (이충효 역. 2010. 행복은 전염된다. 파주: 김영사).
  24. CONNELLY, Michael F. 1988. Teachers as Curriculum Planners: Narratives of Experience. Teachers College Press. (강현석 외 역. 2007. 교사와 교육과정: 교사들의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파주: 양서원).
  25. Eleanor Wachtel. 2003. Original Mind. HarperCollins. (허진 역. 2018. 오리지널 마인드. 서울: xbooks).
  26. Gordon, Robert. 2011. Going Abroad Traveling Like an Anthropologist. Routledge. (유지연 역. 2014. 인류학자처럼 여행하기. 서울: 팬타그램).
  27. Gulino, Paul Joseph. 2004. Screenwriting The Sequence Approach. Continuum Intl Pub Group. (김현정 역. 2009. 시나리오 시퀀스로 풀어라. 서울: 황매).
  28. Hardt, Michael, Negri, Antonio. 2009. Commonwealth. Belknap Press. (정남영, 윤영광 역. 2014. 공통체: 자본과 국가 너머의 세상. 고양: 사월의 책).
  29. HOWARD, David. 1995. Tools of Screenwriting: A Writer's Guide to the Craft & the Elements of a Screenplay. St. Martin's Press. (심산 역. 1999. 시나리오 가이드. 서울: 한겨레출판).
  30. Jimerson, Randall C. 2009. Archives Power: Memory, Accountability, and Social Justice. ScarecrowPress.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역. 2016. 기록의 힘. 서울: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31. Johann Amos Comenius. 1657. Didactica magna. (정일웅 역. 2015. 요한 아모스 코메니우스의 대교수학: 수정판. 서울: 나눔사).
  32. Johann Amos Comenius. 1960. Johann Amos Comenius Pampaedia Allerziehung. Quelle & Meyer. (정일웅 역. 2008. 코메니우스의 범교육학. 서울: 그리심).
  33. Kitto, Humphrey, Kitto, H. D. F. 1991. The Greeks REISSUED | Paperback. Penguin Books. (박재욱 역. 2008. 古代 그리스, 그리스인들. 서울: 갈라파고스).
  34. Ludwig, Otto. 2005. Geschichte des Schreibens Bd. 1. Von der Antike bis zum Buchdruck. De Gruyter. (이기숙 역. 2013. 쓰기의 역사. 서울: 연세대학교 대학출판문화원).
  35. Mankiw. 2011. Principles of Economics. Cengage Learning. (김경환 외 역. 2013. 맨큐의 경제학. 서울: CENAGA Learning).
  36. Matt Hern. 1996. Deschooling our lives. New Society Publishers. (기영화, 김선주 역. 2004. 학교를 버려라. 파주: 나무심는사람).
  37. Meyer, Hilbert. 2004. Was ist guter Unterricht? Mit didaktischer Landkarte [GER] 11. Auflage. Cornelsen Vlg Scriptor. (손승남, 정창호 역. 2011. 좋은 수업이란 무엇인가. 서울: 삼우반).
  38. ORWELL, G. 2003. Why I Write. Penguin. (이한중 역. 2010. 나는 왜 쓰는가. 서울: 한겨레출판).
  39. Palmer, Parker J. 2011. Healing the Heart of Democracy The Courage to Create a Politics Worthy of the Human Spirit. Jossey-Bass. (김찬호 역. 2012. 비통한자들을 위한 정치학. 파주: 글항아리).
  40. Parker J. Palmer. 1997. The Courage to Teach: Exploring the Inner Landscape of a Teacher's Life. Jossey-Bass. (이종인, 이은정 역. 2008. 가르칠 수 있는 용기. 서울: 한문화).
  41. Philip Gourevitch. 2006. The Paris Review Interviews, Volume I. Picador USA. (김진아. 권승혁 역. 2014. 작가란 무엇인가1: 소설가들의 소설가를 인터뷰하다. 서울: 다른).
  42. platon / ${\pi}{\lambda}{\alpha}{\tau}{\omega}{\nu}$ 2002. apologia sokratous / ${\alpha}{\pi}o{\lambda}o{\gamma}i{\alpha}\;{\sigma}{\omega}{\kappa}{\rho}{\alpha}{\tau}o{\upsilon}{\varsigma}$. Pataki. (천병희 역. 2012. 소크라테스의 변론 / 파이돈 / 크리톤 / 향연. 파주: 숲).
  43. Roberts, Russ. 2015. How Adam Smith Can Change Your Life. Portfolio. (이현주 역. 2015. 내 안에서 나를 만드는 것들. 서울: 세계사).
  44. Shostak, Marjorie. 2000. Nisa: The Life and Words of a !Kung Woman The Life and Words of a Kung Woman. Harvard University Press. (유나영 역. 2008. 니사 Nisa. 서울: 삼인).
  45. Sinek, Simon. 2011. Start with Why How Great Leaders Inspire Everyone to Take Action. Portfolio. (이영민 역. 2013. 나는 왜 이 일을 하는가. 서울: 타임비즈).
  46. Strasser, Todd, Rhue, Morton, Coffin, Harriet Harvey. 1993. The Wave. Laurel Leaf Library. (김재희 역. 2017. 파도. 서울: 서연바람).
  47. William Glasser. 1986. Control theory pbk. Harper & Row. (김인자 역. 2013. 당신의 삶은 누가 통제 하는가. 서울: 한국심리상담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