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Confidential Records Management System in Japan

일본의 비밀기록관리 체제에 대한 연구 특정비밀보호법 제정·시행을 둘러싼 논의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8.03.31
  • Accepted : 2018.04.19
  • Published : 2018.04.30

Abstract

Japan has enacted the Public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Law from 2011 in order to prevent mismanagement of records management and to fulfill accountability to the public. However, in 2013, The Designated Secrets Protection Act was enacted before the Public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Law brought changes to administrative institutions. The Designated Secrets Protection Act have raised concerns that the public's right to know and the transparency of administration are being retreated, especially the development of freedom of information and records management systems. This article analyzed the background of the establishment of Designated Secrets Protection Act and the contents of legal composition. It also identified the possibility of human rights abuse in the aptitude assessment system, the lack of independent monitoring agencies, the impossibility of internal accusations, and the possibility of wide confidentiality designation. Furthermore, analyzed how the problem affects Japanese records management and freedom of information system. Through this, I suggested the improvement of the system of the secret level records management system in Korea, the establishment of the clear purpose of the secret record management, the application of the Tshwane principle,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independent and professional monitoring agency.

일본은 행정기관의 기록관리 부실을 방지하고 국민에 대한 설명책임을 다하기 위하여 2011년부터 공문서관리법을 시행하였다. 그러나 공문서관리법이 행정기관에 변화를 가져오기도 전에 2013년 특정비밀보호법이 제정되었다. 특정비밀보호법은 국민의 알 권리와 행정의 투명성을 후퇴시킨다는 우려를 불러일으켰으며, 특히 기록관리 및 정보공개 체제 발전에 걸림돌이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특정비밀보호법의 제정 배경과 법률 구성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특정비밀보호법이 내포한 적성평가 제도의 인권침해 가능성, 독립적인 감시기관의 역할 미비, 내부고발이 불가능한 구조, 광범위한 비밀지정 가능성의 문제점을 확인하고, 그 문제점이 일본의 기록관리 및 정보공개 체제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우리나라의 비밀기록관리 체제 개선 시 법률 수준의 제도 정비, 비밀기록관리의 명확한 목적 설정, 트와니 원칙의 준용, 독립적이고 전문적인 감시기관 설치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근태. 2017. 미국의 비밀기록관리제도에 관한 연구: 행정명령(E.O를 중심으로). 경북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남경호. 2011. 일본의 공문서관리법 시행에 따른 기록관리 체제 검토. 기록학연구, 30, 205-247.
  3. 이진석. 2015. 일본의 특정비밀보호법과 언론의 자유. 언론중재, 2015년 봄호, 78-85.
  4. 전진한. 일본 특정비밀보호법에 어떤 비밀이 숨어있나?. 정보공개센터 홈페이지(http://www.opengirok.or.kr/3768, 2018년 2월 25일 열람).
  5.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기록관리혁신전문위원회. 2005. 국가기록관리혁신 로드맵(대통령 보고용).
  6. 정상기. 2014. 국민의 알권리를 제한하는 일본의 특정비밀보호법과 그 숨은 의도. 과학기술법연구, 20집 제1호, 419-464.
  7. 한영학. 2014. 知る権利と国家機密. マス.コミュニケーション研究, No.85, 123-141.
  8. International Council on Archives. 2016. Basic Principles on the Role of Archivists and Records Managers in Support of Human Rights. .
  9. The Japan Society For Archival Science(JSAS). 2013. 特定秘密保護法案に対する意見表明. .
  10. 內閣官房. 2017. 特定秘密の指定及びその解除並びに適性評価の実施の状況に関する報告.
  11. 大阪弁護士会秘密保護法対策本部. 2016. 特定秘密保護法の運用上の課題-適用の限定, 無力化, 法の廃止に向けて. 1-69.
  12. 瀬畑 源. 2018. 公文書問題-日本の 闇の核心. 集英社.
  13. 瀬畑 源.久保 享. 2014. 国家と秘密-隠される公文書. 集英社.
  14. 三木 由希子. 2015. 特定秘密保護法-制定の経緯と背景とその影響 自治總硏 通卷 438号. 1-26.
  15. 日本弁護士連合会. 2013. 国家安全保障と情報への権利に関する国際原則(ツワネ原則) 全文日本語訳.
  16. 情報公開クリアリングハウス. 秘密指定制度日米比較(1)-秘密指定制度の違い, 制度の目的(https://clearing-house.org/?p=821). (2018년 2월 25일 열람).
  17. 衆議院 情報監視審査會. 2017. 2017年 年次報告書.
  18. 秘密保全のための法制の在り方に?する有識者?議. 2011. 秘密保全のための法制の在り方について.
  19. 내각 관방(內閣官房) 홈페이지. .
  20. 내각부 홈페이지. .
  21. 일본아카이브즈학회, http://www.jsas.info/modules/news/article.php?storyid=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