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racteristics of Gwanbuk-ri remains, Buyeo, inferred from the analysis of iron artifacts from District "Na"

부여 관북리 유적 "나" 지구 출토 제철유물의 분석을 통한 제철유적의 성격 추론

  • Hong, Ju-Hyun (Curatorial Affairs Division, Buyeo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Han, Song-I (Exhibition & public Relation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Maritime Cultural Heritage) ;
  • Kim, So-Jin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Han, Woo-Rim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Jo, Nam-Cheol (Dep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홍주현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실) ;
  • 한송이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전시홍보과) ;
  • 김소진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 한우림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 조남철 (국립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Received : 2016.11.07
  • Accepted : 2017.02.17
  • Published : 2017.03.30

Abstract

In this research,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iron artifacts from the late 6th-century to early 7thcentury Baekje remains in Gwanbuk-ri, Buyeo, specifically of the nine iron artifacts including slags, furnace walls and ingot iron excavated in the District "Na", were examined by observing their chemical compounds and microstructures. As a result, GB1 and GB6 were determined to be proto-reduction lumps whereas GB2, GB3, GB4 and GB5 were determined to be tempered slags, respectively. Also, he furnace wall GB7 were containing mullite and cristobalite, which are high temperature index minerals, The extrusion temperature was found out to be about $1200{\sim}1300^{\circ}C$, and it is most likely that the smelting temperature in the furnace was in that temperature range. GB8 ingot iron was determined to be a forged ironware. This ingot iron was an intermediary product for making ironware and its nonmetallic inclusions displayed similar microstructure and contents compared to the forged iron. Because of the existence of proto-reduction lumps and forged iron, the iron making facility located in District "Na" most likely had a small-scale iron making facility that handled iron bloom smelting and refining processes.

본 연구에서는 부여 관북리 유적 "나" 지구에서 출토된 9점의 제철 관련 유물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여 제철유구의 성격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GB1과 GB6은 반환원괴로 확인되며, GB2, GB3, GB4, GB5는 정련 과정에서 생성된 단야재로 확인되었다. 노벽 시편인 GB7의 내측에서는 고온지시광물인 Mullite, Cristobalite가 확인되었고, $FeO-Al_2O_3-SiO_2(FAS)$ 삼원상태도에 대입한 단야재의 정출온도는 $1200{\sim}1300^{\circ}C$로 확인되었다. 덩이쇠인 GB8은 괴련강계 단조철기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철기제작을 위한 중간소재로 사용된 것으로 보이며, GB8의 내부에서 관찰되는 비금속 개재물은 단야재의 조직과 성분이 유사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부여 관북리 유적 "나" 지구의 제철유적은 직접제철법으로 생산된 괴련철의 정련을 기본으로 하는 소규모 제철시설이었던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경신, 1992, 한국 전통 도자기 문화의 과학기술적 연구 한국과학사회지 14권 1호, 한국과학사학회, pp.32-36
  2.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2009, 부여 관북리 백제 유적 발굴보고 III, p.74, 75, 90, 102
  3.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2014, 중원지역 제철유적 출토유물의 자연과학적 분석보고서
  4. 국립해양유물전시관 학예연구실, 2001, 부여 궁남지 유적 출토 목재유물 수종분석 3 宮南池 II,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5. 권인철, 2016, 라만 마이크로분광법을 이용한 TiO2함량에 따른 사철 제련재의 미세결정 연구,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금속용어사전편찬위원회, 1998, 금속용어사전, 성안당
  7. 김권일, 2009, 경주 황성동 유적 제철유구의 검토 원삼국시대 경주 황성동 유적의 성격, 영남문화재연구원, p.97
  8. 김익주.엄나리.오난영.정홍석.선소정, 2010, 나주 복암리 유적 출토 목간의 수종분석 나주 복암리유적I 1-3차 발굴조사보고서 -분석 -,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p.21
  9. 노태천, 2000, 한국고대 야금기술사 연구, 학연문화사, p.256, 416
  10. 박장식, 2009, 부여 관북리 왕경지구 출토 금속관련 유물의 금속학적 분석을 통한 유적지의 성격 추정 부여 관북리 백제유적 발굴보고 III,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p.545
  11. 박장식, 2005, 포천 반월산성 출토 철 슬래그 분석결과 포천 반월산성 동벽정비구간 발굴조사 보고서, 매장문화재연구소 학술총서 제27책, 단국대학교매장문화재연구소.포천시, pp.136-137
  12. 박장식, 2003,부여 사비성 내 군수리 유적지 출토 철제유물의 금속학적 조직분석 부여 사비성 내 군수리 유적지 발굴 보고서,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13. 송지애, 2011, 백제 풍납토성 화재주거지 탄화유기물 식별 한국전통문화연구 9, 한국전통문화대학교
  14. 신경환.최영민, 2012, 한국 고대 제철관련 유물의 금속학적 연구 주요유적 종합 보고서IV 한반도의 제철유적,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p.623, 628, pp.621-622
  15. 신경환.이남규.장경숙.남수진, 2009, 경주 문산리 유적 I 단야공방지 출토 철기 및 제철관련유물의 분석 고찰 경주 문산동 유적I-사진 -, 신라문화유산연구원.경상북도개발공사
  16. 신종환, 2012, 조선시대의 제철문화 주요유적 종합 보고서IV 한반도의 제철유적,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17. 엄영근.허광주, 2007, 문경 고모산성에서 발굴된 신라시대 지하식 목구조물의 목재식별 목재공학 35(6), 한국목재공학회
  18. 이남규, 2012, 한반도를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 고대 철기 문화 연구동향 -초기철기-원삼국시대를 중심으로- 동아시아 고대 철기문화연구, 국립문화재연구소
  19. 이도원, 2004, 한국의 전통 생태학, 사이언스북스
  20. 이민우, 2014, 한반도 중부지역 백탄요의 운용 방식 연구 고고학 13(3), 중부고고학회, pp.123-157
  21. 이병훈.소명기, 2013, 강원도 영서지역 출토 분청사기의 조성 및 미세구조 분석 -원주 법천사지를 중심으로-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26(3), 한국분석과학회, p.220
  22. 정창주.김남일.오경영, 1992, 자기소지에서 Quartz의 cristobalite화에 미치는 알칼리 금속산화물의 영향 한국세라믹학회지 29(12), 한국세라믹학회, pp.986-988
  23. 최광진, 2003, 鐵器 및 靑銅器 遺物 製作에 관한 考古金屬學的 硏究,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14, 15
  24.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2012, 주요유적 종합 보고서IV 한반도의 제철유적, p.754, 764, 7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