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철재

Search Result 513,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충격완화형 철재 중앙분리대의 개발

  • 유경수;윤태양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10 no.4
    • /
    • pp.12-21
    • /
    • 1997
  • 차량충돌에 대하여 운전자의 안전확보를 위하여 새로 개발한 철재 중앙분리대에 대한 안전성 분석을 위하여 인체모형을 탑재한 실물차량 충돌실험을 실시하였다. 인체모형의 두부와 흉부, 대퇴부 및 차량의 무게중심점에서 가속도와 충격하중을 계측하여 철재 중앙분리대 방호울타리에 차량충돌시 운전자의 안전성을 검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철재 중앙분리대 방호울타리는 콘크리트 중앙분리대 방호울타리에 비해 운전자의 신체 상해치와 차량파괴 등에 있어서 뛰어난 충격흡수성능을 보여주었다. 2) 철재 중앙분리대 방호울타리는 콘크리트 중앙분리대 방호울타리의 경우 빈번히 발생하는 차량전복과 같은 2차사고의 유발 가능성이 전혀 없는 구조적 안정성을 보여주었다. 3) 경량의 차량충돌에 대하여 자체 탄성영역내에서 충격을 흡수하여 유지보수 측면에서 유리함을 나타냈다. 4) 충돌 수 충돌차량에 대한 차량유도성능이 뛰어났으며, 차량의 충돌후 이탈각도는 충돌각도의 60% 이내로 나타났다. 5) 철재 중앙분리대 방호울타리로부터 분리된 파편이 거의 없어 도로소통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 PDF

A Study on the Performance Comparison of S2 type Bridge Rails (S2급 교량용 방호울타리의 성능비교 연구 (F형 콘크리트와 철재 교량용 방호울타리를 중심으로))

  • 정봉조;주재웅;이성관;장명순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0 no.2
    • /
    • pp.117-124
    • /
    • 2002
  • 새로 개발한 철재 교량용 방호울타리는 기존 시설에 비해 충격흡수기능과 조망권 확보, 융설작업,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설계되었다. 본 연구는 새로 개발한 철재 교량용 방호울타리를 건설교통부의 $\ulcorner$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 - 교량용 방호울타리 편. 1999$\lrcorner$ 의 설계기준에 따라 기존 고속도로에 사용하고 있는 F형 콘크리트 교량용 방호울타리와 성능비교를 통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비교평가는 S2급 교량용 방호울타리의 시험기준으로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소형승용차를 대상으로 한 운전자의 안전도 평가에서는 두가지 시설 모두 강도성능, 충돌 후 차량 안전성능 구성 부재 비산 억제 성능 등 세 가지 기준을 만족하였으나, 가속도 기준에 있어서는 철재 교량용 방호울타리는 기준인 20g 이하인 18.2605g로 나타나 안전기준을 만족하였고, F형 콘크리트 교량용 방호울타리는 20.1791g로 나타나 기준을 약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안전기준의 범위에 있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둘째. 대형차량을 대상으로 한 방호울타리의 구조적 안정성 평가에 있어서는 F형과 철재 교량용 방호울타리 모두 평가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새로 개발한 철재 교량용 방호울타리는 국내 최초로 모의충돌시험과 실물차량 충돌시험을 통해 개발하였다는 의의를 가지고 있으며 성능측면에서도 기존의 시설에 비해 충분히 안전하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그러나 측정시설의 미비로 충돌후의 차량의 이탈속도나 이탈각도에 대하여 만족할 만한 수준의 결과를 제시하지는 못하였다.

The Study on Material Characteristics of Slags Excavated from Iron Making Site (제철 유적 출토 철재(鐵滓)의 재료학적 특성 연구)

  • Kang, Yoon-Hee;Cho, Nam-Chul;Song, Hyeon-Jeong;Go, Hyeong-Sun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 /
    • v.26 no.2
    • /
    • pp.171-182
    • /
    • 2010
  • The slag excavated from Gyesil-ri in Gongju, Yeonje-ri in Cheongwon and Beopcheonsaji (temple) site in Wonju are analyzed by X-ray Fluorescence Analyzer, metallurgical microscope, SEM-EDS etc., for chemical composition and microstructure to figure out the raw material and the iron manufacturing technique. First of all, as a result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he total Fe-content of slag from Gyesil-ri is 39 to 44% and the modified rate is 15 to 21%, which is common in ancient iron slag. Yeonje-ri site is found the ancient iron-smelting furnace. The total Fe-content of slag from Yeonje-ri is 41 to 43% and modified rate is 18~30%, which is also the general value in the ancient slag. However only slag is excavated in the residential area at Beopcheonsaji site and there is no iron making relic. In addition, the result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contains that the total Fe-content of Beopcheonsaji site is 52 to 57%, and modified rate is 8 to 14%. It shows that the total Fe-content of Beopcheonsaji site is higher than relic from Gyesil-ri and Yeonje-ri and the modified rate is lower than other sites. This results mean that recollecting rate of Fe in Beopcheonsaji site is lower than other sites. Also, as a result of minor elements analysis, the slag from Gyesil-ri has the higher level of Ti, V and Zr than other sites and the microstructure are observed as magnetite and ulvospinel, so that the raw material of slag is iron sand. But the slag from Yeonje-ri and Beopcheonsaji site are identified to use iron ore. As a result of microstructure observation, fayalite, gray-columnar crystal, is found in the slag from Yeonje-ri and big wustite as main phase is observed in the slag from Beopcheonsaji site. This study show that the slag from Yeonje-ri is made of smelt ash produced during smelting works and the slag from Beopcheonsaji site is made of forging ash produced during forging work concerning the excavated location and the microstructure.

A field-replace case for the cutoff of water on a seawall (방조제 차수를 위한 현장대체공법 사례)

  • Kim, Joo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11a
    • /
    • pp.181-182
    • /
    • 2016
  • 방조제 차수공사를 실시하는 현장 지반의 하부에 철재이물질과 돌망태 와이어 등이 매립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된 상황에서 강널말뚝(sheet pile)을 풍화대까지 항타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므로 상부는 철재이물질(돌망태 등)이 없는 심도까지 T-4 및 Vibro Hammer 에 의한 강널말뚝(sheet pile)을 이용하여 차수하고, 철재이물질과 돌망태 와이어 등이 매립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된 하부 풍화대까지는 그라우팅에 의한 차수를 시도하는 현장차수방법을 시공하여 성공적으로 차수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액막의 유동 및 온도계산 모델에 의한 PCCS 열전달 현상 해석

  • 김성오;황영동;김영인;배윤영;장문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8.05a
    • /
    • pp.584-589
    • /
    • 1998
  • 범용 전산유체 해석코드인 CFX 4.1을 사용하여 철재격납용기 표면을 전열면으로 이용하는 피동격납용기냉각계통에 대한 열전달 현상해석을 수행하였다. 철재격납용기 내부와 외부 채널에서 발생하는 열전달 현상을 모사하기 위하여 액막의 유동 및 온도계산 모델을 범용 전산유체해석코드인 CFX4.1에 적용하여 철재격납용기 내.외부의 표면을 흐르는 액막의 높이, 액막내 온도분포, 철재격납용기 내.외부의 온도, 유속 및 부피분율 등을 계산하는 복합 열전달 해석 방법론을 개발하였다. 해석결과는 향후 실험 둥을 통한 검증이 필요하나 피동형 격납용기템각계통에서 발생하는 물리적 현상들의 복합적인 거동 분석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Forecasting the Steel Cargo Volumes in Incheon Port using System Dynamics (System Dynamics를 활용한 인천항 철재화물 물동량 예측에 관한 연구)

  • Park, Sung-Il;Jung, Hyun-Jae;Jeon, Jun-Woo;Yeo, Gi-Tae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28 no.2
    • /
    • pp.75-93
    • /
    • 2012
  • The steel cargoes as the core raw materials for the manufacturing industry have important roles for increasing the handling volume of the port. In particular, steel cargoes are fundamental to vitalize Port of Incheon because they have recognized as the primary key cargo items among the bulk cargoes. In this respect, the IPA(Incheon Port Authority) ambitiously developed the port complex facilities including dedicated terminals and its hinterland in northern part of Incheon. However, these complex area has suffered from low cargo handling records and has faced operational difficulties due to decreased net profits. In general, the import and export steel cargo volumes are sensitively fluctuated followed by internal and external economy index. There is a scant of research for forecasting the steel cargo volume in Incheon port which used in various economy index. To fill the research gap,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predict the steel cargoes of Port of Incheon using the well established methodology i.e. System Dynamics. As a result, steel cargoes volume dealt with in Incheon port is forecasted from about 8 million tons to about 10 million tons during simulation duration (2011-2020). The 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 (MAPE) is measured as 0.0013 which verifies the model's accuracy.

A Study on the Safe Transportation of a Non-Standardized Cargo (Steel Box) for General Cargo Ships (일반화물선에서 비표준화물(철재상자)의 안전한 운송을 위한 고찰)

  • Kim, Ji-Hong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43 no.6
    • /
    • pp.444-449
    • /
    • 2019
  • The "Standard on Cargo Stowage and Securing" implemented to safely stow and secure the cargo of international shipping vessels and domestic car ferries, has also been applied to general cargo ships transported between domestic ports since J anuary 2018. As a result, a new type of cargo, such as a non-standardized steel box transported by general cargo ships to major ports in Korea from Jeju Island in Korea, must be factored as the method of safe stowage and securing according to the legal classification of cargo. This study analyzed the legal status of a steel box by analyzing the actual size, shape of steel box through field verification, collection of data from relevant agencies and finally proposed the methods of safe stowage and securing for a steel box in the cargo holds of general cargo ships. According to the relevant domestic laws and international regulations, steel boxes could be classified as pallette boxes with protective outer packing, a type of non-standardized cargo. Additionally, when a steel box is loaded into the cargo hold of general cargo ships, a method of loading and transporting them must be factored so that there is no gap in the cargo hold of ships. Verification of the safety of the tightly loading and transportation measures in the reviewed cargo hold was verified through safety of the hull structure and securing of the ship's stability. As a result of verification of the safety of the hull structure, the value of the structural strength on both sides and the floor of the cargo hold for the total weight of cargo that can be loaded in the cargo hold was satisfied, and the value of the ship's stability was satisfied with the value of GoM and the restoration of the three cross-sectional stability curve areas.

The Development of Al Casting Tank for 145kV 40kA GCB (145kV 40kA GCB용 Al 알루미늄 주물탱크 개발)

  • Han Dong Young;Cho Nak Keun;Lee Keun Ho;Kim Jung Bae;Song Won Pyo;Ko Hee Suk;Choi In Hyu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summer
    • /
    • pp.1028-1030
    • /
    • 2004
  • 최근 세계시장이 Al-Casting 외함(알루미늄 주물탱크)을 적용한 GCB(Gas Circuit Breaker) 및 GIS(Gas Insulated Switchgear)를 선호하고 있으며, 이는 철재 외함에 비해 많은 이점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알루미늄 외함은 철재 용접형 제품에 비해 중량이 가벼워 취급 및 운반이 용이할 뿐 아니라 장기 사용 시에도 발청의 우려가 없으며, 2층 이상의 건물에 신설 또는 증설시 건물의 중량 제한에 따른 제약 조건에서 훨씬 자유롭다. 또한 Casting은 Welding형에 비해 분기부 전계 강도가 유리하고, 알루미늄은 철에 비해 열발생량이 적어 외함크기 축소가 가능하다. 또한 제작공정이 철재 용접외함에 비해 단순하고 대량생산에 유리하다. 이로 인해 외함이 표준화되고 GIS 모듈화가 완성되면 기종별 Series화하여 대량생산 체제 구축에 유리하게 된다. 점진적인 인건비 상승으로 용접형 외함의 단가상승이 예상되며, GCB의 경우 Al Casting형이 원가면에서도 유리하다. 이에 당사 GCB 및 GIS 제품 경쟁력 향상 및 수출시장 적극공략을 목적으로 현행 GCB 및 GIS 철재 용접형외함을 알루미늄 Casting 외함으로의 변경, 개발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Al Casting 외함을 개발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에 대해 소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