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elebration of the Mansuseongjeol of Emperor Gojong

고종황제 만수성절 경축 문화

  • Received : 2016.12.31
  • Accepted : 2017.02.05
  • Published : 2017.02.28

Abstract

Mansuseongjeol was originally a term that referred to the birthday of Chinese emperors. In October 1897, when Emperor Gojong ascended the throne, his birthday could be called mansuseongjeol. The celebratory events for mansuseongjeol took place throughout various levels of society and regions. Various places and classes including government officials, foreigners, students, religious people, journalists, merchants, civic groups, and nation-wide open ports celebrated the birth of Emperor Gojong, and the classes celebrating the day became stronger and wider. In other words, in the sense that the celebration had the nature of being universal, national, and global in terms of classes, regions, and races, the event was distinguished. Due to such nature, celebrating culture proceeded in various ways and the imperial family provided donation. Celebration on mansuseongjeol extended to respect toward the emperor and patriotism so it contributed to strengthening the emperor's power and solidifying the unity of the people. Also, such an event was reported around the world through diplomats and reporters living in Korea, raising the national status of Korea in the world. However, after the breakout of Russo-Japanese War, Japan controlled the finance of the royal family, reduced the power of the emperor, and the celebration of mansuseongjeol was also reduced. Due to the suspension of royal family's financial support, crackdown from Japan, and the dethronement of Emperor Gojong, events for mansuseongjeol disappeared and only inside the palace, did formal celebrations continue centering on pro-Japan officials and Japanese people. The abdication of Emperor Gojong came with the collapse of Korean Empire and along with that, celebration of mansuseongjeol came to an end. In the circumstances, the culture of court banquet disintegrated, and the best performers of Korean Empire degenerated into mere entertainers. Though mansuseongjeol, the medium of expressing respect toward the emperor and patriotism, lost its status, it is significant that the cultural achievements, which were created during the process established with the support of the financial power of the royal family, serve as internal power that drove Korea's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history.

만수성절은 본래 중국 황제의 생일을 일컫는 용어이다. 조선의 경우 만수성절의 칭호를 쓸 수 없었지만, 개항 이후 자주적인 대외관계를 펼치기 위해 미국공사관을 설치한 해인 1888년부터 고종의 생일을 만수성절이라 칭했던 용례가 나타난다. 이어 1895년 무렵에는 만수성절이란 호칭이 더욱 널리 사용되었고, 고종이 황제로 즉위하면서 이를 기념한 경축 행사가 활성화 되었다. 대한제국 시기 만수성절 축하 행사는 각계각층에서 일어났다. 국내 관원, 외국인, 학생, 종교인, 언론인, 상인, 민간단체, 전국의 개항장 등 다양한 지역과 계층에서 고종황제 탄신을 기념하여, 축하 계층이 두텁고 넓었다. 즉 계층 지역 인종에서 보편성 전국성 국제성을 띠었다는 점에서 차별화 되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축하 문화 역시 다양하게 전개되었으며, 이들에게 황실후원금도 지급되었다. 당시 만수성절 경축은 황제에 대한 존경심과 애국심으로 확장되었기 때문에, 황제권 강화와 내국인의 민심 결속에 크게 기여하였고, 그런 모습이 국내에 상주하는 각국 외교관과 취재기자를 통해 세계에 보도되어, 국권 신장에도 영향을 끼쳤다. 그러나 러일전쟁 발발 이후 일제가 대한제국의 황실 재정을 장악하고 황권을 위축시키면서 만수성절 행사도 축소된다. 통감부 시기에는 황실지원금의 단절, 일제의 단속, 고종황제 강제 퇴위로 인해 만수성절 기념 행사가 거의 사라졌고, 궁중에서만 친일관료와 일본인을 중심으로 형식적인 경축연만 설행되었다. 고종황제의 권력 실축과 대한제국의 멸망은 한 몸이었고, 만수성절 경축도 동반 추락하였다. 그런 가운데 궁중 전통 연향 문화는 해체되고, 일제에 의한 공연 환경의 변화로 인해 대한제국 최고의 공연자들은 일개 유희물로 전락해 버렸다. 비록 황제를 향한 존경심과 애국심의 표출 창구였던 만수성절은 굴절되었지만 황실 자본력에 힘입어 구축된 행사 과정에서 창출된 문화적 성취들은 한국근현대문화사가 전개되는 내적 동력으로 작동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본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