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forming the Free Fare System in Urban Railway : A Case Study on Shinbundang Line

도시철도 무임수송제도 개선 방안 : 신분당선 사례

  • Kim, Ji Ye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 Kim, Sig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 Moon, Je Woong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김지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철도전문대학원 철도경영정책학과) ;
  • 김시곤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철도전문대학원) ;
  • 문제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철도전문대학원 철도경영정책학과)
  • Received : 2017.09.05
  • Accepted : 2017.10.31
  • Published : 2017.12.01

Abstract

Since most of the urban railway operating agencies are established and operated by local governments, Public Service Obligation(PSO) is given priority. Therefore, free riding is carried out based on individual laws and regulations. In Korea, as the aging population goes,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elderly passengers on the urban railways is leading to a free rider as a big part of the fiscal deficit of the city railway operators. However, there have been no previous researches on free pass riding, and especially, it is necessary to study free ride on private investment projects. Several alternatives including a full charge case, free-ride for 70 years old over case, and separate fare charge (900won) are considered. Separate fare charge (900won) was selected as the optimal alternative since there is no fare income adjustment between operating agencies and no subsidy from government.

대부분의 도시철도 운영기관은 지방자치단체가 설립하고 운영함에 따라 공공성이 우선시 되고 있으므로 개별 법령에 근거하여 무임승차를 시행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인구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도시철도 노인 승객의 증가에 따른 도시철도 운영기관의 재정 적자의 큰 부분으로 경로우대 무임승차가 대두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경로우대 무임승차에 관한 선행연구가 많이 이뤄지지 않은 실정이며, 특히 민간 투자사업에 대한 무임승차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신분당선 무임수송 개선 대안으로 전액 유료화, 70세 미만(65세~69세)유료화, 별도운임 유료화(900원)로 대안을 설정하였다. 별도운임만 유료화(900원)하는 대안이 신분당선(주)의 자체 별도운임으로 연락운임 정산이 필요 없고 정부에서 손실보전을 할 수준이 아니므로 최적의 대안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Hallym University (2013).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of Multipurpose Transportation Fee : Focusing on Subway Free Transit, Report, Korea.
  2. Korea Transport Institute (KOTI) (2015). 2015 National Transportation Survey and DB Implementation Project, Report,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