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A 기반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통상정보연구'의 연구동향 분석

Research Trend Analysis of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Using SNA-based Keyword Network Analysis

  • 양근우 (계명대학교 경제통상학부 전자무역학전공)
  • 투고 : 2017.02.16
  • 심사 : 2017.03.24
  • 발행 : 2017.03.31

초록

1999년 창간된 이래 학술지 '통상정보연구'는 통상정보 및 시스템, 전자무역, 지역연구, 전자상거래, 서비스무역, 무역 관련 법규 등 관련 분야 연구자들의 우수한 연구 성과를 확산하는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소셜 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통상정보연구에 게재된 연구 논문의 키워드 분석을 통해 통상정보 분야 주요 연구 동향 및 특징을 파악하였다. 학회 홈페이지를 통해 수집한 논문 키워드 자료를 분석에 맞도록 수정한 후 동시 출현 연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용 자료를 생성하였다. 네트워크 분석과 시각화를 위해 NodeXL Pro를 활용하였으며 클러스터링 분석을 통해 통상정보 분야 연구자들의 주요 연구 관심 분야 및 특징을 파악하였다. 또한 융복합 연구에 중개자 역할을 하는 주요한 연구 키워드들도 도출하였다.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has been playing an important role of disseminating the outstanding research results in the fields such as trade information and systems, e-trade, regional studies, e-commerce, service trade, trade laws since 1999. This paper aims to find the research trends and distinguished characteristics in the field of trade information by analyzing research keywords of the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this journal using a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 Research keyword data collected from the homepage of the academic society were cleaned and transformed into the co-occurrence network data, which are suitable for social network analysis. NodeXL Pro was used to analyze and visualize the pre-processed data. Through clustering analysis, the most important subject fields or interests were identified as well as those which worked as intermediaries for interdisciplinary researche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동준․이길남, "SNA(Social Network Analysis)를 활용한 한국무역학회지 공저자 네트워크 분석", 무역학회지, 제40권 제5호, 한국무역학회, 2015, pp.1-23.
  2. 고재창․조근태․조윤호,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살펴본 기술경영의 최근 연구동향", 지능정보연구, 제19권 제2호,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13, pp.101-123. https://doi.org/10.13088/jiis.2013.19.2.101
  3. 곽기영, 소셜네트워크분석, 도서출판 청람, 2014.
  4. 김동래․권기석․정석봉,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경영학 연구의 지식구조 분석", 의사결정학연구, 제23권 제1호, 한국의사결정학회, 2015, pp.111-125.
  5. 김택원․오진호․우수한, "E-logistics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및 체계분석", 통상정보연구, 제18권 제1호, 한국통상정보학회, 2016, pp.29-54.
  6. 박근영, "한국 문화사회학 연구의 구조와 흐름", 문화와 사회, 제20권, 한국문화사회학회, 2016, pp.79-114.
  7. 박지원․박한우, "페이스북 팬페이지의 동시댓글 데이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분석: 대구.경북 유력 후보자를 중심으로",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제16권 제6B호, 한국자료분석학회, 2014, pp.3243-3253.
  8. 이경희․홍성호, "사회 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활용한 충북 혁신도시 이전기관의 R&D 네트워크 분석", 지역정책연구, 제24권 제2호, 충북연구원, 2013, pp.1-22.
  9. 이춘수․이장로, "한국인터넷무역 논문의 분류와 분석", 통상정보연구, 제4권 제1호, 한국통상정보학회, 2002, pp.149-172.
  10. 장세은․이수호,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세계 해운경제의 연구 주제와 동향에 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2권 제1호, 한국항만경제학회, 2016, pp.79-95.
  11. 정희석․조준동, "사회연결망(SNA)을 이용한 사용자 경험 분석",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한국HCI학회, 2014, pp.327-333.
  12. 조성은․박한우, "정부부처의 소셜미디어 소통방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8호, 한국콘텐츠학회, 2013, pp.160-170. https://doi.org/10.5392/JKCA.2013.13.08.160
  13. 최진호․김희수․임남규, "기술예측을 위한 특허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지능정보연구, 제17권 제4호,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11, pp.227-240. https://doi.org/10.13088/JIIS.2011.17.4.227
  14. 하민호․신홍범, "사회연결망분석(SNA)을 통한 스포츠조직 운영의 효율성 제고 방안", 한국체육과학회지, 제24권 제2호, 한국체육과학회, 2015, pp.649-661.
  15. 허균, "플립러닝 연구 동향에 대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제28권 제3호,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016, pp.872-880. https://doi.org/10.13000/JFMSE.2016.28.3.872
  16. 홍순만, 소셜 네트워크의 세계와 빅데이터 활용, 파워북, 2013.
  17. NodeXL Korea, 노드엑셀 따라잡기, 패러다임북, 2015.
  18. Clauset, A., Newman, M. E. J. and Moore, C., "Finding Community Structure in Very Large Networks", Physical Review.E, Statistical, Nonlinear, and Soft Matter Physics, Vol.70, No.6, 2004, 066111. https://doi.org/10.1103/PhysRevE.70.066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