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상거래무역 확산을 위한 법률개정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ay to Amendment of the Law for Diffusion of CBEC

  • 안병수 (서울디지털대학교 무역물류학과)
  • Ahn, Byung-Soo (Department of International Trade and Logistics, Seoul Digital University)
  • 투고 : 2017.02.17
  • 심사 : 2017.03.24
  • 발행 : 2017.03.31

초록

최근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전자상거래무역' 혹은 '국경을 넘는 전자상거래(CBEC)'에 대하여 우리정부는 수출증대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판단하에 적극적인 지원을 하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부처에서 산발적으로 추진되는 지원은 효과적이지도 효율적이지도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지원정책의 일관성과 효과성,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법률적으로 주무부처를 명확히 하고 타부처에 대하여는 협조의무를 부여하는 방안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기존에 부처별 업무영역에 따라 산재되어 있는 법률들을 각각 개정하거나 새로운 법률의 제정을 해야 한다. 그러나 이는 현실적으로 실행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기존 법률 중 가장 유사한 영역을 규정하고 있는 '전자무역 촉진에 관한 법률'을 개정하는 것이 실현가능한 대안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CBEC를 확산하기 위하여 이 법률의 개정을 하는 것이 다른 방안에 비하여 합리적이라는 점을 다양한 문헌자료를 통하여 제시하여 우리나라 CBEC의 확산, 특히 CBEC 수출의 확대에 기여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삼는다.

As to 'E-Commerce Trade' or 'The Cross Border E-Commerce (CBEC)' which has shown rapid diffusion, Korean government is providing active support on the basis of idea that it has profound impact on increase of export. However, sporadic support propelled by various ministries and agencies are not effective and efficient at all on actual circumstances. Consequently, in order to promote consistency,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supporting policy, it is desirable to clarify competent ministry and the duty of cooperation to the other ministries and agencies. For its own sake, it is necessary to amend each existing laws which scattered all over the business territory, or to legislate new enactments. Yet these methods are extremely tough to carry out, therefore, it seems that amending 'Electronic Trade Facilitation Act', which already exist and regulate 'paperless trade' would be a realistic alternative. For the diffusion of Korean CBEC especially export, in this study the author insists that amending this law to promote CBEC is the most reasonable way comparing to other ways with several reference materials.

키워드

참고문헌

  1. EY한영회계법인 언스트앤영 어드바이저리, "전자상거래무역 미래모델 수립 -Interim Report-,March 11, 2016
  2. 곽수영.유승균, 글로벌 Cross-Border B2C 전자상거래에 관한 탐색적 연구, e-비즈니스 연구, 제15권 제5호, 국제e-비즈니스학회, 2014.
  3. 서재용(관세청 통관기획과장), 전자상거래를 통한 수출지원 대책, 2015.4.2
  4. 권순국, "한.중 FTA 타결에 따른 한국 상품의 전자상거래 수출 활성화 방안", 관세학회지, 제16권 제2호, 한국관세학회, 2015.
  5. 김성.임재욱, "소비자특성이 해외직접구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貿易學會誌, 제40권 제4호, 한국무역학회, 2015.
  6. 김용운, "전자상거래를 활용한 소비재 수출 현황 및 활성화 계획", KIET 산업경제 2015.07
  7. 김철호, "B2C 국경간 전자상거래의 주요 쟁점에 관한 연구", 무역통상학회지, 제16권 제2권, 한국무역통상학회, 2016.
  8. 김태형.정재승 "해외직구 이용자의 만족도와 재구매에 관한 실증연구", 통상정보연구, 제18권 제1호, 한국통상정보학회, 2016.
  9. 문태현, "B2C 국제 전자상거래 소비자 이용행태 및 만족에 관한 탐색적 연구", 전자상거래학회지전자상거래학회, 제4권 제2호, 2003.
  10. 민병두 외, "중소기업의 해외 직접판매 지원을 위한 법률안"(의안번호 14592), 2015.4.3.
  11. 민병두 외, "중소기업의 해외 직접판매 지원을 위한 법률안"(의안번호 2813), 2016.10.21.
  12. 박상철, "국경을 넘는 전자상거래의 법적 쟁점과 정책적 시사점 -소위 "해외직구" 와 "역직구"를 중심으로-", 유통법연구, 제2권 제1호, 한국유통법학회, 2015.
  13. 박종현, "전자상거래 무역창업 투자를 위한 크라우드펀딩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통상정보연구, 제18권 제2호, 한국통상정보학회, 2016.
  14. 박종현, "해외직접구매 증가에 따른 소비자보호 연구", 통상정보연구, 제17권 제2호, 2015.
  15. 박필재.김정덕, "Cross-Border e-Commerce, 실크로드인가 신기루인가?", Trade Focus, Vol.12 No.40,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2013.7
  16. 백정(Ting Bai).노태석.남인우, "Analysis of Antecedents to Customer Satisfaction in Cross-Border E-Commerce", 전자무역연구, 제14권 제3호, 중앙대학교 한국전자무역연구소, 2016.
  17. 산업통상자원부 보도자료, 2014.11.5, 2015.5.7, 2015.5.21
  18. 안병수, "Cross Border e-Commerce거래에서의 위험에 관한 연구", 한국무역보험학회 학술대회자료집, 2015.11.20.
  19. 안병수, "Cross Border e-Commerce확대와 전자무역촉진에 관한 법률의 역할", 한국통상정보학회 정책토론회자료집, 2016. 3.25.
  20. 양종곤.권세인.유영목, "국가 간 전자상거래 현황 및 한국의 해외 직접판매를 위한 전략적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전자무역연구, 제14권 제1호, 중앙대학교 한국전자무역연구소, 2016.
  21. 이준봉.남경두, "국내 중소기업의 B2C 전자상거래 수출활성화 방안", 貿易硏究, 제12권 제6호, 한국무역연구원, 2016.
  22. 이진명.나종연,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온라인 해외직접구매에 대한 소비자 반응 분석", 소비자학연구, 제26권 제5호, 한국소비자학회, 2015.
  23. 이진명.나종연, "해외직접구매에 있어서 소비자 갈등에 관한 근거이론적 분석", 소비문화연구, 제18권 제4호, 한국소비문화학회, 2015.
  24. 이현정.조현정, "전자상거래에 있어서 온라인분쟁해결제도(ODR)에 관한 연구: ODR의 신뢰성 및 확실성 구축",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제12권, 제3호,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2012.
  25. 임재욱, "해외직접구매물품의 물류프로세스 및 통관 상의 문제점에 관한 연구",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제15권 제6호,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2015.
  26. 정석모.박승락, "우리나라 B2C 전자상거래 촉진요인이 온라인쇼핑과 해외직접구매에 미치는 영향", 통상정보연구, 제18권 제2호, 한국통상정보학회, 2016.
  27. 조혁수.이정선 "소비자 특성이 해외직접구매 관심도 결정에 미치는 영향", 통상정보연구, 제18권 제3호, 한국통상정보학회, 2016.
  28. 한국무역협회 북경지부, "중국내 B2C 전자상거래와 해외직구 동향 -중국내 한국관 개설 현황을 중심으로-, 2015.10
  29. 한국무역협회, 알고가자! B2C - 중소기업을 위한 B2C 해외직판 가이드북(요약본), 2015.10
  30. 한국소비자원, 해외직구 이용실태 및 개선방안, 2014.6
  31. Ting, Bai.Nam, Inwoo, "A Comparative Study on Antecedents to the Customer Satisfaction with Cross-Border E-commerce in Korea and China", ASIA MARKETING JOURNAL, Vol. 18 No. 2, 한국마케팅학회, 2016.
  32. Martens, Bertin, "What does Economic Research tell us about Cross-border e-Commerce in the EU Digital Single Market? - A Summary of Recent Reseatch", JRC TECNICAL REPORTS, 2013.5
  33. ECC-Net, "Fraud in Cross-Border e-Commerce", 2014
  34. Chung, Ha-Sung, "Online ADR for the E-Commerce? European Union's ADR Legislation for Cross-Border Online Trade", 중재연구, 제25권 제3호, 한국중재학회, 2015.
  35. Lee, Hyun-jung, "Online Dispute Resolution(ODR) as Reality for Cross-border E-commerce: Some Examples", 國際商學, 제29권 제3호, 한국국제상학회, 2014.
  36. International Post Corporation, IPC Cross-Border E-Commerce Report, 2010
  37. McDermott, Keira, Key Business Drives and Opportunities in Cross-Border eCommerce, 2015, CNP.PAYVISION
  38. Kommerskollegium National Board of Trade(Sweden), "E-Commerce - New Opportunities, New Barriers - A survey of e-commerce barriers in countries outside the EU", 2012.4
  39. Liu, Rong Kun.Park, Suk Jae , "Analysis on the Logistics Modes of China Cross-border E-commerce - Focusing on B2C Transactions", 해양비즈니스, 제32호, 한국해양비즈니스학회, 2015.
  40. Kim, Shina .Jiang, Wei .Chun, Eunha, "A STUDY ON THE SHOPPING VALUES, ATTITUDES AND BEHAVIORAL INTENTIONS OF CHINESE CONSUMERS TOWARD CROSS-BORDER SHOPPING", Global Marketing Conference, 글로벌지식마케팅경영학회, 2016.
  41. U.S. Department of Commerce Global Markets, "Cross-border eCommerce-China", January 2015
  42. Zhang, Yuan-Yuan.Chong, Ye, "A Study of Operation Mode in Cross-Border Mini E-Commerce Auto Parts Industry", International Journal of u- and e- Service, Science and Technology, Vol.9 No.5, Science & Engineering Research Support Society, 2016.
  43. http://www.crossborder-ecommerce.com/, 15 Feb.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