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통상정보연구

검색결과 1,367건 처리시간 0.025초

국제통상정보학의 학문적 체계 (Formulating a Systematic Studies of International Commerce Information Systems)

  • 이호건
    • 통상정보연구
    • /
    • 제1권1호
    • /
    • pp.1-10
    • /
    • 1999
  • 우리 나라의 제반 여건에 비추어 볼 때 국제통상에서 정보가 차지하는 비중은 날로 높아가고 있는 반면, 국제통상정보학은 이제 연구 초기 단계임에도 불구하고 체계적인 연구 및 종합적인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 국제통상활동을 위한 환경정보의 분석과 활용을 중심으로 하는 국제통상환경정보, (2) 전자상거래와 무역업무자동화를 포함한 국제통상정보의 운영, (3) 제도적 법률적 측면을 연구하는 국제통상정보의 관리의 세 분야로 대별하고 주요 연구 대상으로 해외 지역정보, 자동화 시스템, 전자상거래 및 관련 법규를 선정하여 국제통상정보화의 체계적인 연구를 제안하고자 한다.

  • PDF

통상정보연구 메타분석 (Meta Analysis of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 이호형
    • 통상정보연구
    • /
    • 제19권2호
    • /
    • pp.259-273
    • /
    • 2017
  • 본 연구는 "통상정보연구"의 1999년 창간호에서부터 제18권 4호(2016년 12월)까지 지난 18년간 게재된 논문에 대한 메타분석이다. "통상정보연구"에 2016년까지 수록된 논문은 총 1047편이다. 학문분야를 본다면 전자무역, 상품 및 서비스혁신, 지역통상정보, 통상법제도, 통상협상 순으로 논문이 많이 게재되었다. 20편 이상 논문을 게재한 저자들의 전공분야가 15가지가 넘으므로 "통상정보연구"는 다양한 전공분야의 학자들이 논문을 게재하고 있는 다학제적인 논문집이다. 저자는 대부분 대학 소속이었고 연구비 수혜 논문의 비중은 19.7%이다. "통상정보연구"에 그동안 5편 이상의 논문을 게재했던 저자는 총 46명인데 이들의 H-지수는 5.6이다. "통상정보연구"의 2016년 영향력지수(IF)는 1.02이므로 "통상정보연구"의 무역학계 영향력이 높다고 볼 수 있다. 2002년 이후 집계된 "통상정보연구" 게재 논문들의 핵심 키워드는 전자상거래, 인터넷, 서비스무역, 중국, 전자무역, 한류, FTA, 중소기업, 해외직접투자 등이다. 그 중에서도 전자무역, FTA, 중국 세 가지 키워드가 가장 자주 등장하였다.

  • PDF

통상정보화의 실용성 제고를 위한 연구방향 (Interorganizational Information System Approach to Cyber Trade Researches)

  • 박승락;박문서
    • 통상정보연구
    • /
    • 제1권2호
    • /
    • pp.325-344
    • /
    • 1999
  • 연구방법론의 관점에서 통상정보학은 매우 다양한 방법으로 접근이 가능하며, 특히 정보통신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향상 새로운 접근 방법이 출현할 수 있다. 또한, 정보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국제전자상거래가 급격히 확산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수출기업의 단순한 무역자동화 수준을 벗어난 국제간 B to B 전자상거래의 전략적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때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통상정보학의 실용성 제고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방향으로써 전략 정보시스템과 조직이론을 가미한 조직간 정보시스템 이론을 제시함으로써, 조직간의 전략적 연계를 통한 전략적 통합정보시스템 구축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정보화의 이점을 통상학 분야에 도입하고, 전략적으로 활용 가치가 있는 정보를 생산, 저장, 유통 및 활용함으로써 학술적 비용발생을 최소화하며, 기업의 이윤 발생을 촉진함으로써 국가경쟁력의 확보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통상정보학의 궁극적인 지향 목표이다.

  • PDF

국제통상환경 변화에 따른 미국, EU, 일본, 한국의 통상 정책의 특징 및 수타의 차이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he Recent International Commercial Policies among the USA, EU, Japan, and Korea)

  • 변재웅
    • 통상정보연구
    • /
    • 제1권2호
    • /
    • pp.345-364
    • /
    • 1999
  • 최근 WTO 체제의 출범, 지역주의 확산 등으로 국제통상환경은 변화하고 있으며, 각국의 통상정책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미국, EU, 일본의 통상정책은 한국을 비롯한 국채통상환경 전반에 매우 민감한 영향을 주고 있다. 이러한 국제통상환경의 변화에 따라 필요한 것은 주요국의 통상정책 및 제도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미국, EU, 일본, 한국의 통상정책과 수단의 특징을 비교 분석하였는데, 각국 통상정책의 다양한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 PDF

SNA 기반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통상정보연구'의 연구동향 분석 (Research Trend Analysis of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Using SNA-based Keyword Network Analysis)

  • 양근우
    • 통상정보연구
    • /
    • 제19권1호
    • /
    • pp.23-42
    • /
    • 2017
  • 1999년 창간된 이래 학술지 '통상정보연구'는 통상정보 및 시스템, 전자무역, 지역연구, 전자상거래, 서비스무역, 무역 관련 법규 등 관련 분야 연구자들의 우수한 연구 성과를 확산하는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소셜 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통상정보연구에 게재된 연구 논문의 키워드 분석을 통해 통상정보 분야 주요 연구 동향 및 특징을 파악하였다. 학회 홈페이지를 통해 수집한 논문 키워드 자료를 분석에 맞도록 수정한 후 동시 출현 연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용 자료를 생성하였다. 네트워크 분석과 시각화를 위해 NodeXL Pro를 활용하였으며 클러스터링 분석을 통해 통상정보 분야 연구자들의 주요 연구 관심 분야 및 특징을 파악하였다. 또한 융복합 연구에 중개자 역할을 하는 주요한 연구 키워드들도 도출하였다.

  • PDF

통상문제와 표준화

  • 최병일
    • TTA소식
    • /
    • 제5권4호통권20호
    • /
    • pp.9-15
    • /
    • 1993
  • 이 부분은 지난 7월 13일 한국통신연구센터에서 한국통신(연구개발단)과 공동개최한 정보통신 표준화동향 세미나중 한국통신 연구개발단 동향분석실에서 발표한 $\ulcorner$통상문제와 표준화$\lrcorner$를 전문게재한 것으로 궂은 날씨탓에 참석치 못한 분들이나 그 외 협회 활동에 관심있는 분들게 표준화의 경제적 쟁점, 표준과 무역장벽 등 통상문제 관련 표준화 활동사항에 관하여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리라 사료되어 소개해 보았다.

  • PDF

지방자치단체 통상진흥정책의 효율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전라북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romotion of Trade Policy of Local Governments - Jeollabukdo -)

  • 김주완
    • 통상정보연구
    • /
    • 제3권1호
    • /
    • pp.241-260
    • /
    • 2001
  • 최근 지방자치단체는 세계화 개방화 정보화 기술화라는 메가트렌드와 지방화 분권화 자치화라는 국내외 환경변화에 직면하고 있어 그 생존과 발전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지역개발 및 지역경제발전이 시급하다는 위기의식을 가지고 있다. 과거 국가적인 차원에서 주도되어 왔던 지역경제개발정책이 이제는 지방자치단체에 의하여 지역적 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경제정책의 대외적인 측면인 통상정책분야는 최근의 시대적 흐름에 비추어 볼 때 그 개발의 주체가 지방자치단체이어야 하며 지방자치단체의 정책영역 중에서도 비중이 가장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통상진흥정책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중앙정부차원에서 제공되어지는 통상자료는 수도권 중심의 자료가 대부분이어서 그 자료를 이용할 때는 해당 지방의 중소기업에 맞게 지방자치단체가 보완 수정해줄 필요가 있다. 특히, 세계화와 지방자치시대 이후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지방자치단체는 국내외적인 통상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통상진흥전략을 신축적으로 운용하여야 한다.

  • PDF

물류정보시스템의 활용 과제와 대응방안 (Strategic Implications of Lagistics Information Systems)

  • 이규훈
    • 통상정보연구
    • /
    • 제1권1호
    • /
    • pp.47-65
    • /
    • 1999
  • 물류활동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물류정보시스템의 구축이 필수적이다. 그리고 물류정보시스템은 각 물류활동의 문제점에 대한 명확한 관리지표를 제시할 수 있는 통합적인 시스템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연구결과 물류정보시스템에는 통합, 의사결정지원, 유연성, 예외적인 처리, 성과측정, 피드백, 물류관리 지식 등에 문제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물류정보를 합리적, 유기적으로 결합, 제공하여 물류비용 절감과 고객서비스 향상을 기하고 상대적 우위를 차지하기 위한 전략적인 차원의 물류정보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 PDF

복합운송주선업의 정보인프라 수준과 성과에 관한 연구 (Effect of information Infrastructure Level on Forwarder's Business Performance)

  • 이정세
    • 통상정보연구
    • /
    • 제1권2호
    • /
    • pp.167-181
    • /
    • 1999
  • In this research the levels of information infrastructure of selected forwarders were measured and analyzed a relationship with business performance. The selected forwarder was consisted of local forwarder group and foreign invested forwarder group. In this analysis the level of information infrastructure of foreign invested forwarder group was higher than local forwarder group, and accordingly their performance was found a difference. i. e. A positive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he level of information infrastructure and forwarders' business performance by means of correlation analysi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