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ison & Analysis of Electronic Commerce of Korea's FTA

한국의 FTA전자상거래규정 비교·분석

  • Kim, Yun-keun (Department of International Trad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Park, Bok-Jae (Division of Logistics & Commerc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김윤근 (전남대학교 무역학과) ;
  • 박복재 (전남대학교 물류통상학부)
  • Received : 2017.05.19
  • Accepted : 2017.06.16
  • Published : 2017.06.30

Abstract

Though electronic commerce has grown rapidly in international trade, there is no basic consensus for its concept and rule applied. So WTO has done practice of not imposing customs duties on digital contents and been researching overall on electronic commerce through Work Program while many countries of the world attempt to obtain their interests by stipulating chapter of electronic commerce in their FTAs. This paper has compared and analysed chapter of electronic commerce in all the FTAs which Korea has signed and enforced. Korea's FTA stipulates commonly no customs duties, the other chapter's priority when chapter of electronic commerce conflicts the other chapter, electronic authentication,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nd consumer protection. But it has weak consistency and framework as it has different provisions for the objects of electronic commerce respectively, reserves classification & applied rule for electronic commerce, stipulates differently on non discrimination treatment and so on. Korea should participate in the research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 including WTO and cope actively and elastically by analysing the provisions of electronic commerce of the other countries' FTA such as USA, EU, CHINA and so on.

국제무역에서 전자상거래가 차지하는 비중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지만, 가장 기본적인 개념정의와 적용규범에 대한 합의도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WTO에서는 '디지털 콘텐츠'에 잠재적 무관세를 시행하는 한편 작업계획(Work program)을 통해 전자상거래에 대한 폭넓은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각국은 FTA 등의 협정을 통해 자국의 이익을 추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이 체결 시행하고 있는 FTA 중에서 전자상거래에 관한 규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한국의 FTA전자상거래 규정은 무관세, 다른 장(chapter)의 규정과 충돌 시 다른 장의 규정 우선, 전자인증, 개인정보보호, 소비자보호 등에 대해서는 공통적이지만, 전자상거래의 대상을 각기 다르게 정의하고 있고, 전자상거래의 분류 및 적용규범에 대해서는 유보하고 있으며, 비차별대우에 대해 다르게 규정하는 등 일관성이 부족하고 체계적이지 못한 상황이다. 한국은 WTO 등의 연구에 참여하고, 미국, EU, 중국 등이 체결 시행하고 있는 FTA전자상거래 규정을 분석하여 적극적 탄력적으로 대처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권현호, "WTO에서의 디지털 상품교역에 대한 적용규범", 국제법학회논총 제49권 제1호, 2004, pp.87-108.
  2. 김정곤.나승권.장종문.이성희.이민영, "국제디지털 상거래의 주요 쟁점과 한국의 대응방안",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15.
  3. 김철호, "국제무역 패러다임의 변화와 전자무역관습에 관한 연구", e-비즈니스연구 제15권 제1호, 2014, pp.123-142.
  4. 문영수.박복재 "주요 FTA 상대국과의 디지털 제품 국제경쟁력 분석", 통상정보연구 제13권 제2호, 2011, pp.205-234.
  5. 박복재.문영수, "디지털 콘텐츠 교역의 확산이 조세 수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국가 간 비교 연구", 전자무역연구 제10권 제4호, 2012, pp.21-37.
  6. 박영기.김종섭, "전자적 형태의 무체물의 국제거래 확산에 따른 관세누수 추정과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관세학회지 제16권 4호, 2015, pp.71-89.
  7. 박형래, "전자적 형태의 무체물에 대한 관세부과 원리의 쟁점과 과세방법 고찰", 한국국제 경영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1, pp.53-68.
  8. 서민교, "전자상거래에 관한 한.미 FTA의 평가와 향후 과제", e-비즈니스연구 제9권 제2호 2008, pp.87-110.
  9. 안병수, "전자상거래무역 확산을 위한 법률개정방안에 관한 연구", 통상정보연구 제19권 제1호, 2017, pp.3-21
  10. 윤창인, "FTA협상 관련 한국의 전자상거래 주요 쟁점 및 대응", 대외경제정책연구원 , 07-12, 2007.
  11. 한민정, "한국의 TPP참여전략에 관한 연구: 전자상거래를 중심으로", 통상정보연구 제15권 제1호, 2013, pp.309-330.
  12. Lior Herman, "Multilateralising Regionalism: The Case of E-Commerce", OECD Trade Policy Papers, No. 99, OECD Publishing, 2010.
  13. Susanne Teltscher, "From Physical to Digital Delivery: Definition, Scope and Tariff Revenue Implications of Electronic Goods Trading", Proceedings of the 34th Hawai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ystem Science, 2001.
  14. WTO, WORK PROGRAMME ON ELECTRONIC COMMERCE, Adopted by the General Council on 25 September 1998.
  15. WT/MIN(98)/DEC/2. MINISTERIAL CONFERENCE Second Session Geneva, 18 and 20 May 1998.
  16. WT/MIN(15)/42/WT/L/977. MINISTERIAL CONFERENCE Tenth Session Nairobi, 15-18 December 2015.
  17. FTA강국코리아(http://www.fta.go.kr)
  18. WTO www.wto.org/ Trade topics other topics / Electronic Comme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