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nalysis of R&D Investment Factors for Enhancing the Regional Domestic Competitiveness in China

중국의 지역 내 경쟁력 제고를 위한 R&D 투자요인 분석

  • 윤대상 (연세대학교 기술정책협동과정, 한중과학기술협력센터) ;
  • 이진호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기계공학부) ;
  • 박상현 (고려대학교안암병원 의생명연구센터)
  • Received : 2017.08.15
  • Accepted : 2017.09.15
  • Published : 2017.09.30

Abstract

China has become the group of two (G2) in almost fields including the scientific technology following the economic growth and joining the WTO in 2001. The main reason is that the government had strong intention for the industrialization of the scientific technology and connected the scientific technology and the economy. Typically, for analyzing the cause of the meteoric rise of China, the competitiveness of the scientific technology was analyzed by the entire score of the nation. However, in the case of China,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pattern of the development between the eastern, central, and western province. Also, the industrialization and the competitiveness of the scientific technology are difference because each province established the decentralization of power. Therefore, it is more meaningful to analyze the main factors of Chinese economic growth on a province unit. In this study, therefore, we analyzed the competitive of R&D in China by 124 indexes in 31 areas. The data was analyzed by Partial least squares regression analysis. In conclusion, the scale of the area and the ability of R&D of the company are very important factors for total amount of production in the area. And the journals, patents, the transfer of technical know-how and the investment of R&D are main factors of the amount of export on the high-tech product.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e factors which make the difference in the industrialization and the competitiveness of the scientific technology in China were analyzed. Finally, it will be helpful to establish the policy for the development of the industrialization and the scientific technology in Korea.

중국은 2001년 WTO 가입 등을 계기로 경제 성장을 거듭하여 과학기술 분야를 포함한 거의 모든 분야에서 G2 국가로 위상이 높아졌다. 이는 중국 정부의 일관성 있는 과학기술 중시정책과 함께 과학기술과 경제를 연계시킨 것이 주요 요인이다. 한편, 이러한 중국의 급부상 이유를 분석하는 데 있어 과학기술 경쟁력을 국가 단위의 총량적 통계량을 통해 분석해 온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광대한 중국의 경우 동부, 중부 및 서부 등 지역간의 발전 양상이 상이하고 각 지방은 경제적 지방분권이 확립되어 있어 지역마다의 산업화 및 과학기술 경쟁력의 차이가 존재한다. 따라서 중국의 경제성장의 주요 요인을 지역단위로 분석해 보는 것이 보다 의미가 있다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 31개 지역을 대상으로 124개의 다양한 지표를 통하여 중국의 지역 R&D 경쟁력을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기초적인 통계 분석과 부분최소제곱 회귀분석(Partial Least Squares Regression Analysis)을 통하여 각 지역의 경제성장 주요 지표인 지역내총생산과 첨단기술제품 수출액의 경쟁력 제고요인을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중국 지역의 규모 및 사회 인프라와 기업의 R&D 능력이 지역내총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주요한 요인이었으며, 과학기술논문, 특허, 기술이전 및 정부와 기업의 첨단기술 R&D 투자 등이 첨단기술제품 수출액의 핵심적인 요인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중국 지역의 산업 및 과학기술 경쟁력 차이를 만드는 요인에 대한 분석결과는 한국이 직면한 정체된 산업 및 과학기술 발전을 위한 정책 수립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승호.유만로 (2016), "중국의 지역별 R&D 효율성 분석 (2008-2013)", 동북아경제연구, 28(1): 137-169.
  2. 곽재원 (2013), 중국 차기정부의 과학기술정책과 국가전략 전망 : 최신 과학기술 정보 및 통계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3. 김우철 (2007), "법인세 부담이 기업의 투자활동에 미치는 효과 분석", 한국경제의 분석
  4. 김종섭 (2011), "국제경제 : 중국경제의 성장요인과 성장요인별 기여도에 관한 실증연구", 국제지역학회, 15(2): 151-173.
  5. 김천규.이상준 (2011), "중국의 12차 5개년계획에 제시된 중국의 국토전략.특성, 한국에 대한 시사점", 국토정책 Brief, 1-8.
  6. 노형진 (2005), "다변량분석 이론과 실제", 84-147.
  7. 박경선 (1997), "중국의 과학기술현황", 과학기술정책, (96): 106-119.
  8. 박성준 (2015), "중국제조 2025 계획과의 연계를 고려한 중국 1대1로 대응방향", 연구보고서, 1-46.
  9. 백서인 (2017), "중국의 성장과 혁신 : 사회, 정책, 기업의 변화와 시사점", 과학기술정책, 27(8): 12-19.
  10. 손성문.오대원.이정표.차경자 (2006), "중국 하이테크산업 클러스터 효율성 분석을 통한 지역 혁신 역량평가", 무역학회지, 31(2): 283-308.
  11. 윤대상.공창훈.김동하.신윤희.박건우 (2016), "한.중 전략적 산업 분야 협력 분석 및 방향", 한국정책과학학회보, 20(4): 89-108.
  12. 윤정원 (2014), "중국 지역간 기술혁신역량 격차에 관한 연구", 국제지역연구, 17(4): 231-258.
  13. 유정원 (2016), "스마트도시 건설의 중국적 함의 연구", 중국지역학회, 5:81-99.
  14. 장진규 (2001), 공공연구개발투자의 생산성 분석 방법론 개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5. 최경수 (2015), 중국의 경제구조 변화와 한국의 기회 (상), 한국개발연구원.
  16. 최성일 (2008), "중국의 지역별 수출과 경제성장의 인과관계 분석 (1952-2004)", 국제지역연구, 12(3): 449-465.
  17. 최해옥 (2016), "연결되는 공장,'중국제조 2025'", 과학기술정책, 26(8): 20-25.
  18. 홍성범.이춘근 (2000), "중국의 과학기술체제와 정책", 국별과학기술정책분석,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2: 1-186.
  19. 황석원.안두현.최승현.권성훈.천동필.김아름.박종혜 (2009), "국가연구개발사업 R&D 효율 성 분석 및 제고방안", 정책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316.
  20. Chun Ji Xuan.이기영 (2014), "중국 지역경제 동조현상 원인 분석", 한중사회과학학회, 32(0): 121-145.
  21. Eriksson, L., Johansson, E., Kettaneh-Wold, N. and Wold, S. (2001), "Multi- and Megavariate Data Analysis: Principles and Applications", Umea: Umetrics.
  22. Foster, R. N., Linden, L. H., Whiteley, R. L. and Kantrow, A. M. (1985), "Improving the Return on R&D -I", Research Management.
  23. Freeman, C. and Soete, L. (1997), The Economics of Industrial Innovation, The MIT Press.
  24. Hodge, M. (1963), "Rate Your Company's Productivity", Harvard Business Review.
  25. Hoskuldsson, A. (1988), "PLS Regression Methods", J. Chemometrics, 2(3): 211-228. https://doi.org/10.1002/cem.1180020306
  26. Martens, H. and Naes, T. (1989), Multivariate Calibration, John Wiley & Sons.
  27. Ranftl, R. M. (1978), "R&D Productivity: Study Report", Hughes Aircraft Company.
  28. Schankerman, M. (1981), "The Effects of Double-Counting and Expensing on the Measured Returns to R&D",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64: 627-6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