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Review for Development Strategy of Gyeongin Port

경인항의 발전 전략에 대한 소고

  • 이충효 (장안대학교 물류경영학과) ;
  • 선일석 (장안대학교 물류경영학과)
  • Received : 2017.08.02
  • Accepted : 2017.09.18
  • Published : 2017.09.29

Abstract

As competition in domestic and overseas ports intensify, new and small domestic ports are realizing certain limitations to independently secure competitiveness. This study collected data over 60 months with five modifications for container and general cargo volume around Gyeongin Port. Short-period (12 months) cargo volume was forecasted, which revealed the need for a middle-to-long-term development plan. First, the hinterland logistics complex of Gyeongin Por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coastal maritime facility through the quasi-public system for fishery product transportation and passenger services. It proposes to achieve this by opening channels to and from China for precision machinery, home network systems, LEDs, and machine industry items. second, specializing the ultra-light cargo transport route, and connecting the coastal island areas of the 5 West Sea Islands to Ara Waterway (Integrated Fishery Product Center of the 5 West Sea Islands). Third, on the basis of organic cooperation of government? local government ? port, the incentive and pre-circular support system would be required, and lastly, it shall carry out the adjustment of functions in nearby ports and specialization strategy simultaneously through the integrated operation of the ports in the capital areas.

국내외 항만간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국내 신생 및 중소형 항만이 자체적으로 경쟁력을 확보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인항을 중심으로 컨테이너 및 일반화물 물동량 5개변 60개월치의 데이터로 단기간 (12개월)의 물동량을 각각 예측하였고 중장기적으로는 어떠한 발전 방안이 필요한지 검토하였다. 첫 번째, 경인항 배후 물류단지와 연계하여 정밀기계, 홈네트워크시스템, LED, 기계공업 등의 품목을 대중국 항로로 유치하고, 두 번째, 초중량 화물 운송루트로 특화하고, 서해5도 연안섬 지역과 아라뱃길(서해5도수산물복합센터)을 연계함으로서 수산물 운반 및 여객선 준공영제를 통한 연안해운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세 번째, 정부-지자체-항만의 유기적인 협력을 바탕으로 인센티브 등 선순환 지원제도가 필요하고, 마지막으로 수도권 항만의 통합운영을 통해 인근항만간 기능 조정 및 특화전략이 병행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남석.최도원.전영환(2012), "새만금신항만 특화에 관한 결정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항국항만경제학회지, 제28권 제1호, 263-288.
  2. 김정수(2007), "상해 양산항과의 비교분석에 의한 부산 신항의 특화전략",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3권 제3호, 53-77.
  3. 김흥기.공덕암.강용수(2011), "마산항의 발전방향",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7권 제3호, 179- 206.
  4. 박병주.김종술(2012), "마산항 활성화를 위한 현안문제와 대응방안", 경남발전연구원.
  5. 박형창(2008), "새만금 신항의 특화항만 개발방안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4권 제2호, 283 -311.
  6. 선일석.박수홍(2014), "시계열 분석을 이용한 정보서비스업의 예측 및 도소매산업과의 인과관계 분석", e- 비즈니스연구, 제15권 제6호, 101-120.
  7. 임영태.박창호.최창호(2013), "수도권 무역항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 방안", 해운물류연구, 제29권 제3 호, 435-456.
  8. 이충효.선일석(2016), "연안해운 활성화 측면에서의 경인아라뱃길 활용방안",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 32권 제2호, 39-57.
  9. 이태휘.조건식.정현재.여기태(2013), "IPA기법을 활용 한 경인항 수요자 니즈분석", 해운물류연구, 제 29권 특집호, 741-763.
  10. 해양수산부(2016), 제3차 전국 항만기본계획 수정계획
  11. 현인규.박소진(2009), "평택당진항의 활성화 전략, 사회 과학연구", 제15권 제1호, 47-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