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Status Analysis and Improvement of Heavy Cargo Logistics

중량물 물류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박두선 (목포해양대학교대학원 해상운송시스템학과) ;
  • 이청환 (목포해양대학교 대학특성화사업 e-Navigation 핵심인재양성사업단) ;
  • 최경훈 (목포해양대학교) ;
  • 박계각 (목포해양대학교 국제해사수송과학부)
  • Received : 2017.07.18
  • Accepted : 2017.09.04
  • Published : 2017.09.29

Abstract

Interest and demand in heavy cargo logistics is increasing and becoming more diverse as economic scales have expanded and manufacturing activity has increased. Although cargo moves via maritime and/or land transportation, there is currently insufficient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heavy cargo logist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rry out an in-depth analysis of heavy cargo laws, systems, logistics patterns, and current transportation status. By proposing measures to solve existing problems, this study aims to make an important and ongoing contribution to the scarcely studied field of heavy cargo logistics.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on the main seven factors show that transportation frequency and law/system structure have a positive effect on working conditions. Furthermore,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on the main seven factors show that the cargo weight variable is high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cargo size. Also, the working conditions variable is high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law/system structure. Detailed proposal measures to solve existing problem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lear concept of heavy cargo as numerous existing definitions differ. Second, laws and provisions relating to maritime and land transportation of heavy cargo need to be established and consolidated as current applicable legislation is insufficient. Third, the classification system for heavy cargo transportation needs improvement. Fourth, it is necessary to improve transportation performance statistics and the aggregate criteria system. Finally, the management system of heavy cargo also needs improvement.

중량물 물류에 대한 관심과 수요는 경제 규모가 확대되고 플랜트 산업이 활성화되는 추세에 따라 점점 더 많아지고 다양해지고 있다. 이러한 화물들이 해상운송 또는 육상운송을 통하여 이동하고 있으나 중량물 물류에 대한 실태 분석 연구 및 체계적인 조사는 전무하거나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연구가 거의 전무한 중량물 물류에 대하여 중량화물의 개념, 법령, 제도 및 운송현황을 심층 분석하고 실증 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문제점에 대하여 개선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중량물 물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회귀 분석 결과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는 근무환경이 종속 변수인 경우 운송 빈도와 법/절차/제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운송 빈도가 많지 않고 법/절차/제도가 양호하면 근무 환경이 좋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아울러 상관 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는 화물의 중량과 화물의 크기, 근무환경과 법/제도/절차이며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화물의 크기가 중량과 비례하고 있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법/절차/제도가 양호하면 근무환경이 좋은 것으로 인식하는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도출된 문제점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량화물에 대한 개념을 명확히 정립할 필요가 있다. 둘째, 중량화물과 관련한 육 해상운송 관련 법 규정 및 조항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중량화물 운송 수단에 대한 분류 체계를 개선하여야 한다. 넷째, 운송실적 통계 및 집계기준 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 다섯째, 중량물 물류 관리시스템을 개선하여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해양부 (2011), "중량화물 운송시장 진출방안에 관한 연구 , pp.39-47, 138.
  2. 권혁구.하헌구(2016), "물류산업과 화물자동차운송사업의 비용구조와 효율성 분석에 관한 연구 , 교통연구, 제23권 제1호, 한국교통연구원, pp.17-36.
  3. 김상열.류동근(2007), "연안운송 활성화를 위한 Modal Shift정책 개발에 관한 연구", 해운 물류연구, 제55호, pp.27.
  4. 김웅진(2000), "공로운송의 효율성 증대를 위한 화물운송 시스템의 활용에 관한 연구 , 물류학회지, 제10권 제1호, pp.1-3.
  5. 김태일(2011), "중량화물 운송시장 동향", 계간 해양수산, 제2호, 한국해양수산개발원, pp.140-144, 146-147, 151-155.
  6. 박홍균(2012), "지역에 따른 육상운송의 효율성과 생산성 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8집 제4호, pp.321-338.
  7. 성홍모.김성수.김찬성(2016), "출하중량과 화물차종의 결합선택모형 추정 - 국내 제조업 화주를 대상으로", 교통연구, 제23권 제1호, 한국교통연구원, pp.3-15,
  8. 안기명.김광희.박상희.하민호(2010), "중량화물 물류시장 진출방안", 한국해양수산개발원, pp.99,199-208.
  9. 이재학.송영태(2005), "국내 화물자동차운송업의 경쟁우위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물류학회지, 제15권 제1호, pp.165-166.
  10. 임광수.강상곤.안승범(2004), "연안운송 활성화 제약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0집 제2호, pp.253-270.
  11. 하헌구.민정웅(2006), "연안운송의 활성화를 위한 연계체계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2집 제2호, pp.19-32.
  12. 한국교통연구원, 2015 물류기술 산업 및 기술동향 분석", 제2부 물류기술 동향, pp.128-129, 143-145, 201-205.
  13. 한백수.추창엽(2000), "화물자동차운송의 과적 차량 단속 체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물류학회지, 제 10권 제1호, pp.48-49, 65-66.
  14. 홍성표.김찬성.박정하.장유진(2011), "도로 부문의 수송통계 개선방안 연구", 교통연구, 제18권 제4호, 한국교통연구원, pp.73, 75-78, 91-92.
  15. Abate, M., G. C. de Jong(2014), "The optimal shipment size and truck size choice - The allocation of trucks across haul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Policy and Practice, Vol.59, pp.262-277. https://doi.org/10.1016/j.tra.2013.11.008
  16. Cater, Craig R.(2005), "Purchasing Social Responsibility: An Integrative Framework"
  17. JouCater, Craig R. and Mariance M. Jennings(2002), "Logistics Social Responsibility and Firm Performance", International Journal of Physical Distribution and Logistics Management, Vol.35, No3, pp.177-194. https://doi.org/10.1108/09600030510594567
  18. Cater, Craig R. and Mariance M. Jennings(2004), "The Role of Purchasing Corporative Social Responsibility; A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Journal of Business, Vol.25, No1, pp.145-186.
  19. Ciliberti, Francesco, Pierpaolo Pontrandolfo and Barbara Scozzi(2008), "Logistics Social Responsibility; Standard Adoption and Practices in Italian Companies", International Journal of Production Economics, Vol.113, pp.88-106. https://doi.org/10.1016/j.ijpe.2007.02.049
  20. de Jong, G. C. and M. E. Ben-Akiva(2007), "A micro- simulation model of shipment size and transport chain choice",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B, Vol.41, pp.950-965. https://doi.org/10.1016/j.trb.2007.05.002
  21. F.Xavier, Martinez and J. Olivella(2005), "Short Sea Shipping Opportunities For the Pyrenean Cargo Flows", Journal of Maritime Research, Vol.II, No.2, pp.65-80.
  22. Kumapley, R. K, J. Fricker(1996), "Review of methods for estimating vehicle Mile Traveled",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Vol.1551, pp.59-66. https://doi.org/10.3141/1551-08